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기초 정보

전선의 규격이란? - 전선 기초 #04.

Wired Grafia 2025. 4. 11.

굵기 숫자 하나에 의미가 이렇게 많았다고?


전선 관련 정보를 보다 보면
“이건 2.5SQ로 주세요”, “이건 12AWG입니다” 같은 말이 자주 나옵니다.
솔직히 예전엔 대충 굵은 거, 얇은 거 정도로만 생각했는데…

공부해보니까 이 숫자 하나에
전기 용량, 안전성, 가격, 인증 조건까지 전부 담겨있더라고요.

이번엔 제가 정리한 전선 규격의 핵심 – 단면적, AWG, 허용전류 개념을 공유드려요.
숫자만 보고 감 잡을 수 있게 됩니다.


📏 단면적 = 전선 굵기의 기준

전선 규격은 도체의 단면적(㎟) 기준으로 표기됩니다.
보통 “스퀘어(SQ)”라고도 부르죠.

표기 의미
2.5㎟ = 2.5SQ 도체의 절단면적
AWG (American Wire Gauge) 미국식 번호 단위 – 숫자 작을수록 굵음

두 단위는 아래처럼 대응됩니다:

AWG 비고
18 0.82 약 0.75SQ
16 1.31 약 1.25SQ
14 2.08 약 2SQ
12 3.31 약 3.3SQ
10 5.26 약 5.5SQ

🔋 허용 전류(A) = 안전하게 흘릴 수 있는 최대 전류

단면적이 굵을수록 당연히 전류도 많이 흘릴 수 있습니다.
이때 기준이 되는 게 바로 허용 전류(A)입니다.

단면적 허용전류 (공기중 기준) 예시
1.5㎟ ~14A 조명, 콘센트
2.5㎟ ~18A 일반 가전
4.0㎟ ~25A 전기레인지
6.0㎟ ~32A 중형 설비
10㎟ ~45A 대형 설비/분전반

주의: 실제 시공 환경(배관/온도/다심 여부)에 따라 허용 전류는 달라집니다.


🧠 실무용 전선 크기 간단 가이드

용도 권장 전선 크기
LED 조명, 센서 0.75~1.5㎟
일반 콘센트 2.5㎟
에어컨, 보일러 4.0~6.0㎟
분전반 메인선 10~16㎟
전동기/인버터 6~25㎟
태양광 출력 4~10㎟

실제로 전력량(W)을 전압으로 나누면 전류가 나오고, 그 전류에 맞는 전선 굵기를 고르면 됩니다.

📌 예시:

3,500W / 220V = 약 15.9A → 2.5㎟ 전선 필요


📦 실제 견적에서 자주 쓰이는 표기

표기 해석
CVV 2C x 1.5 1.5㎟ 도체 × 2심 전력/제어선
VCTF 3C x 0.75 연선형 코드선, 플러그용
H07RN-F 4G 2.5 고무 외피 + 접지 포함 4심 전선
2.5㎟, 0.6/1kV 정격전압까지 포함 표기

도면이나 스펙시트에 나오는 이런 코드들,
이제는 딱 보면 어느 정도 이해가 되더라고요.


🧾 정리하면서 느낀 포인트

전선 규격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전류, 발열, 가격, 감리 통과 여부까지 연결된 핵심 요소였습니다.

📌 요약하자면:

  • 전선 굵기 = 도체 단면적 (㎟ or AWG)
  • 단면적이 커질수록 허용 전류↑, 가격↑
  • 허용 전류는 환경(배관/온도/다심)에 따라 달라진다
  • 규격만 읽을 줄 알아도 견적, 감리 대응력 급상승!

이제 규격은 단순히 “굵다/얇다”로 구분할 수 없다는 걸 확실히 알게 됐어요.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