굵기 숫자 하나에 의미가 이렇게 많았다고?
전선 관련 정보를 보다 보면
“이건 2.5SQ로 주세요”, “이건 12AWG입니다” 같은 말이 자주 나옵니다.
솔직히 예전엔 대충 굵은 거, 얇은 거 정도로만 생각했는데…
공부해보니까 이 숫자 하나에
전기 용량, 안전성, 가격, 인증 조건까지 전부 담겨있더라고요.
이번엔 제가 정리한 전선 규격의 핵심 – 단면적, AWG, 허용전류 개념을 공유드려요.
숫자만 보고 감 잡을 수 있게 됩니다.
📏 단면적 = 전선 굵기의 기준
전선 규격은 도체의 단면적(㎟) 기준으로 표기됩니다.
보통 “스퀘어(SQ)”라고도 부르죠.
표기 | 의미 |
2.5㎟ = 2.5SQ | 도체의 절단면적 |
AWG (American Wire Gauge) | 미국식 번호 단위 – 숫자 작을수록 굵음 |
두 단위는 아래처럼 대응됩니다:
AWG | ㎟ | 비고 |
18 | 0.82 | 약 0.75SQ |
16 | 1.31 | 약 1.25SQ |
14 | 2.08 | 약 2SQ |
12 | 3.31 | 약 3.3SQ |
10 | 5.26 | 약 5.5SQ |
🔋 허용 전류(A) = 안전하게 흘릴 수 있는 최대 전류
단면적이 굵을수록 당연히 전류도 많이 흘릴 수 있습니다.
이때 기준이 되는 게 바로 허용 전류(A)입니다.
단면적 | 허용전류 (공기중 기준) | 예시 |
1.5㎟ | ~14A | 조명, 콘센트 |
2.5㎟ | ~18A | 일반 가전 |
4.0㎟ | ~25A | 전기레인지 |
6.0㎟ | ~32A | 중형 설비 |
10㎟ | ~45A | 대형 설비/분전반 |
※ 주의: 실제 시공 환경(배관/온도/다심 여부)에 따라 허용 전류는 달라집니다.
🧠 실무용 전선 크기 간단 가이드
용도 | 권장 전선 크기 |
LED 조명, 센서 | 0.75~1.5㎟ |
일반 콘센트 | 2.5㎟ |
에어컨, 보일러 | 4.0~6.0㎟ |
분전반 메인선 | 10~16㎟ |
전동기/인버터 | 6~25㎟ |
태양광 출력 | 4~10㎟ |
실제로 전력량(W)을 전압으로 나누면 전류가 나오고, 그 전류에 맞는 전선 굵기를 고르면 됩니다.
📌 예시:
3,500W / 220V = 약 15.9A → 2.5㎟ 전선 필요
📦 실제 견적에서 자주 쓰이는 표기
표기 | 해석 |
CVV 2C x 1.5 | 1.5㎟ 도체 × 2심 전력/제어선 |
VCTF 3C x 0.75 | 연선형 코드선, 플러그용 |
H07RN-F 4G 2.5 | 고무 외피 + 접지 포함 4심 전선 |
2.5㎟, 0.6/1kV | 정격전압까지 포함 표기 |
도면이나 스펙시트에 나오는 이런 코드들,
이제는 딱 보면 어느 정도 이해가 되더라고요.
🧾 정리하면서 느낀 포인트
전선 규격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전류, 발열, 가격, 감리 통과 여부까지 연결된 핵심 요소였습니다.
📌 요약하자면:
- 전선 굵기 = 도체 단면적 (㎟ or AWG)
- 단면적이 커질수록 허용 전류↑, 가격↑
- 허용 전류는 환경(배관/온도/다심)에 따라 달라진다
- 규격만 읽을 줄 알아도 견적, 감리 대응력 급상승!
이제 규격은 단순히 “굵다/얇다”로 구분할 수 없다는 걸 확실히 알게 됐어요.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 > 기초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선 규격 코드 체계 총정리 [IEC, KS, UL, JIS 비교] - 전선 기초 #06. (4) | 2025.04.13 |
---|---|
단선 vs 연선 – 도체 구조의 차이와 실무 영향 - 전선 기초 #05. (0) | 2025.04.12 |
전선 구조 요소 / 도체, 절연, 외피 완전 정리 - 전선 기초 #03. (2) | 2025.04.10 |
전선의 주요 종류 및 계통도 - 전선 기초 #02. (0) | 2025.04.09 |
전선이란 무엇인가? - 전선 기초 #01.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