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lszh전선 4

RoHS & REACH, 환경 인증이 전선 단가에 미치는 영향 - 전선 인증 #35.

환경규제가 전선 원가에 미치는 진짜 영향력, 생각보다 큽니다전선 견적서를 보면 가끔 ‘RoHS 대응’, ‘REACH 통과’라는 문구가 눈에 띕니다.예전엔 “그냥 친환경 인증인가보다” 하고 넘겼는데,지금은 이 환경 인증이 전선 단가와 수출 가능 여부까지 좌우한다는 것을 실감하게 됐습니다.이번 글에서는RoHS와 REACH의 차이점, 규제 항목, 전선 제조·납품 시 고려사항, 단가 상승 요인을 정리해보겠습니다.♻️ RoHS란?RoHS = 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EU의 유해물질 사용 제한 지침2006년부터 모든 전자·전기 제품에 적용전선도 해당 품목에 포함됨📌 제한 물질 (10종)물질 기준치 (최대 허용 함량)납 (Pb)0.1%카드뮴 (Cd)0.01%수은 (Hg)0.1%..

IEC 60332, 60754, 61034 해설 (난연, 저할로겐, 연기 밀도 기준 총정리) - 전선 인증 #31.

감리용 전선은 ‘전기 스펙’보다 ‘불에 얼마나 잘 버티냐’가 더 중요할 때가 많다전선 공부를 하다 보면 감리나 납품요건에서 자주 마주치는IEC 60332 / IEC 60754 / IEC 61034이 세 가지 기준은전기 성능이 아니라, 화재 시 ‘얼마나 안전한가’를 보는 기준입니다.이번 글은전선의 난연성, 유독가스 방출, 연기 밀도를 판단하는국제 기준 3종을 실무 관점에서 정리해봅니다.🔥 1. IEC 60332 – 난연 시험📌 목적전선이 불에 얼마나 잘 견디는가를 시험📎 종류시험내용기준60332-1단심 케이블 1가닥 시험540mm 이하 연소60332-2굵은 단선용보완60332-3다심 다발 시험화염 확산성 판단A, B, C, D, E, F 등급 → A가 가장 높은 난연 등급감리에서는 일반적으로 IEC ..

도체·절연·외피별 원가 비중 분석 / 제품별 상세 비교 - 전선 기초 #23

같은 2.5SQ라도 ‘구리값’이 다르다?지난 글에서 “전선 원가의 70%는 도체”라고 말씀드렸습니다.그런데 이 비중은 전선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달라집니다.왜냐하면 어떤 전선은 차폐가 들어가고,어떤 전선은 절연체나 외피가 두껍거나 특수소재를 쓰기 때문이죠.이번 글에서는전선 구성 3요소 – 도체, 절연, 외피의 원가 비중을 실제 제품별로 비교해봤습니다.🧵 전선 구성 요소 요약도체 (Conductor)구리 or 알루미늄단면적(mm²), 심선 수, 연선/단선 여부로 무게 결정절연체 (Insulation)도체를 전기적으로 감싸는 재료PVC, XLPE, 고무, LSZH 등 다양외피 (Sheath)전체 전선을 보호하는 외부 커버내충격성, 방수성, 난연성 확보📊 제품별 구성 비중 예시 (단심/2심 기준, 100m당..

전선에 쓰이는 절연체 종류 비교 (PVC, XLPE, 고무, LSZH) - 전선 기초 #21.

전선 성능은 절연체가 결정한다전선을 자르면 속에 있는 구리선(도체)만큼 중요한 게바로 절연체(Insulation)입니다.예전엔 그냥 “PVC는 보통이고, XLPE는 좋다더라” 정도로만 알고 있었는데요,실제로는 절연체에 따라 전선의 용도, 가격, 내구성, 난연성, 설치성까지 전부 달라지더라고요.이번 글은 전선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PVC, XLPE, 고무(Rubber), LSZH 절연체에 대해 비교 정리해봤습니다.🧪 1. PVC (Polyvinyl Chloride)특징가장 흔한 절연재, 경제성 우수온도 등급-15℃ ~ 70℃ or 90℃장점가공 쉬움, 저렴함, 범용성단점연소 시 유독가스 발생 (할로겐 포함)📌 대부분의 실내용 저전압 전선은 PVC 절연을 사용합니다.예: CVV, VCTF, H05VV-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