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케이블배송 3

납기란? 날짜 하나에도 기준과 책임이 다르다 - 운송 방식과 스케줄 관리 #15.

견적을 주고받을 때 자주 등장하는 질문.“납기는 얼마나 걸리나요?”“이거 납기 꼭 맞춰야 합니다.”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납기’가 출고 기준인지, 도착 기준인지,혹은 공장 기준인지, 고객 기준인지 제대로 정리되지 않으면일정 엇갈림은 물론이고 신뢰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이번 편에서는 납기라는 개념, 그리고 실무에서 어떻게 정의하고 관리하면 좋은지 정리해본다.📘 납기(納期)란?납기란 약속된 날짜까지 제품을 ‘제공’해야 하는 기한이다.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제공”이 누구 기준이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출고 기준창고에서 제품이 출고되는 날짜선적 기준선박/항공에 실리는 날짜 (B/L 기준)납품 기준고객이 제품을 실제로 수령하는 날짜도착 기준통관 + 배송 완료 후 도착하는 날짜🧭 예시로 보는 납기 기준 차이..

배송, 출고, 선적, 납품 / 이 말들, 다 같은 뜻이 아니더라구요 - 운송 방식과 스케줄 관리 #14.

“이거 배송됐나요?”“선적은 끝났나요?”“출고는 언제인가요?”“오늘 납품 맞죠?”물류 업무를 하다 보면 비슷한 말 같은데 쓰임새가 다른 단어들이 꽤 많다.특히 실무 커뮤니케이션에서는 말의 정확한 의미를 짚어야 일정이 엇갈리지 않는다.이번엔 이런 헷갈리는 물류 표현들을 기준별로 깔끔하게 정리해본다.📦 출고(出庫)창고에서 제품이 나간 순간즉, 재고 상태에서 ‘배송 중’으로 전환되는 시점이다.SAP나 ERP에서도 출고 처리 이후부터 배송 상태로 바뀜“오늘 출고됩니다” = 오늘 창고에서 나갑니다주로 누가 쓰냐?→ 공장/창고/본사 담당자 기준🚛 배송(配送)운송이 실제로 진행되는 과정트럭에 실려 고객 쪽으로 이동 중일 때를 의미한다.“배송 중” = 운송 중 (배달 완료 아님)“배송 완료” = 실제 수령지에 도착..

내륙운송과 크로스도킹, 항구에서 고객까지 어떻게 갈까? - 운송 방식과 스케줄 관리 #10.

항공이든 해상이든 수입품이 무사히 항구나 공항에 도착하면,이제 "잘 끝났네~" 싶지만… 실무는 그다음부터 또 시작이다.바로 국내에서 고객까지 도착하는 과정,즉 내륙운송(Trucking) 단계다.그리고 최근에는 이 과정에서 ‘크로스도킹’이라는 방식도 점점 눈에 띄기 시작했다.이번엔 이 두 가지를 실무 관점에서 간단하게 정리해본다.🚛 내륙운송 (Inland Trucking)이란?내륙운송은 항구나 공항에서 물류센터, 창고, 고객까지의 육상 운송 단계를 말한다.예를 들어,하노이 노이바이 공항에 도착한 제품을호치민의 고객 창고로 보내거나하이퐁 항에서 하노이 본사까지 트럭 운송하는 과정→ 이 전부가 내륙운송이다.자주 쓰는 차량1톤, 5톤 트럭 / 컨테이너 트럭 (20ft, 40ft) 등운송 조건DDP일 경우, 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