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기초 정보

단선 vs 연선 – 도체 구조의 차이와 실무 영향 - 전선 기초 #05.

Wired Grafia 2025. 4. 12.


전선도 심지가 다르다? 써보면 바로 느낌 옵니다


전선을 만져보면 어떤 건 딱딱하고, 어떤 건 엄청 유연합니다.
처음엔 그냥 굵기 차이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전선의 심지 구조가 다르더라고요.

바로 단선(Solid)이냐, 연선(Stranded)이냐의 차이!
이번엔 이 둘이 어떤 구조이고, 실제로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정리해봤습니다.


🧱 단선 vs 연선, 구조부터 다르다

단선 (Solid) 구리나 알루미늄 한 가닥으로 된 심선
연선 (Stranded) 얇은 도체 여러 가닥을 꼬아서 만든 구조

📌 그냥 육안으로 봐도 구분됩니다: 단선은 깔끔하게 하나, 연선은 자르면 여러 가닥이 보임!


🔍 장단점 한눈 비교

항목 단선 (Solid) 연선 (Stranded)
유연성 낮음 (딱딱함) 매우 높음
전기적 손실 낮음 살짝 높음
가격 저렴 약간 비쌈
내구성 잘 부러지지 않음 마모·피로에 강함
시공성 배관·고정배선에 유리 가동·이동배선에 유리
납땜성 낮음 좋음

📎 정리하자면:

  • 단선은 고정배선용
  • 연선은 이동/유연성 필요한 곳

🏡 단선이 쓰이는 곳

단선은 기본적으로 고정 배선용입니다.
직선 유지가 잘되고, 시공 후 흔들림이 없어서 건축 내 배선에 딱이에요.

용도 전선 예시
벽 내부 배선 VVF, IV, HIV
분전함 내부 KIV (일부 단선 구조)
조명 회로 VVR

📌 단선은 굽힐 수는 있지만 자주 움직이는 곳에는 비추천!


🛠️ 연선이 쓰이는 곳

연선은 유연성이 강해서 이동하는 장비나 기기 배선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용도 전선 예시
플러그, 전원 코드 VCTF, H05VV-F
산업 제어 패널 CVVS, LiYCY
기기 내부 배선 UL1015, UL2464
자동화/로봇 케이블 Drag Chain 케이블

📎 연선은 꺾고 접고 말아도 버틸 수 있게 설계되어 있어요.


🧪 구조 차이에 따른 성능 차이도 존재

① 유연성

  • 단선은 일정한 모양을 잡기 쉬움
  • 연선은 자유롭게 휘어짐 → 설치 용이

② 전도율

  • 같은 단면적 기준, 단선이 약간 더 우수
  • 하지만 실제로는 차이가 크진 않음

③ 단선 수치 규격

  • KS/IEC 기준: 0.75㎟, 1.5㎟, 2.5㎟ 등
  • AWG 기준은 대부분 연선용 기준임

🧾 실무에서 느낀 포인트

케이블을 다뤄보면서 ‘왜 이건 부드럽고 저건 뻣뻣하지?’ 싶었던 경험이 있다면
그건 거의 100% 단선/연선 차이였습니다.

📌 요약하자면:

  • 단선은 고정 설치, 연선은 유연 배선에 적합
  • 전선의 구조는 설치 방식과 용도에 직접적 영향
  • 연선은 가격이 살짝 더 비싸지만 시공성 최고
  • 견적서나 도면에도 연선/단선 여부가 반영된다

이제 전선 자르지 않아도 딱 만져보고 감 잡을 수 있을 것 같아요 😎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