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2025/04/21 9

차폐 구조별 비교 / 나선형, 편조형, 드레인 방식 차이 - 전선 생산, 설계 #46.

잡음 많은 현장, 신호 깨지는 이유는 차폐 설계 때문입니다설비에서 센서 신호가 튀거나,PLC에서 통신 오류가 생기거나,공장 소음에 민감한 장비에 전선을 설치하려다 보면누구나 이런 말을 듣게 됩니다:“차폐선으로 바꾸셔야 해요.”예전엔 “차폐선이 뭐 특별한 전선인가?” 싶었는데,지금은 전선 내부 구조부터 설계 방식까지 차폐 구조에 따라 완전히 달라진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이번 글에서는나선형(SP), 편조형(Braided), 드레인 방식(Foil + Drain)의 차이점과 실무 적용법을 정리해봅니다.🧲 1. 차폐(Shielding)의 목적외부 전자파(EMI), 전자기 간섭(RFI), 유도 전류로부터 신호선 보호신호선 내부 잡음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도 방지통신, 계장, 제어, 센서, 오디오 전선에는 거의 필수..

전선 외경 계산법, 절연 + 외피 + 중심심 기준 계산 - 전선 생산, 설계 #45.

배관 설계, 커넥터 선택, 견적 산정까지… 전선 외경 하나로 결정됩니다설계서를 보다가 가장 흔히 마주치는 전선 조건 중 하나:“외경: Ø7.2 ±0.3mm”이 수치 하나 때문에 배관이 바뀌고,케이블 커넥터가 교체되고,심지어 전선 가격도 오르내립니다.이번 글에서는전선 외경(Overall Diameter, OD)이 어떻게 계산되는지,그리고 어떤 설계·시공·견적 요소에 영향을 주는지 전부 정리해보겠습니다.🔍 전선 외경(OD)이란?도체 + 절연 + 배열 구조 + 외피까지 포함한 전선의 전체 두께단위: mm표기 예시: “Ø6.5 ±0.3mm”📌 케이블 타입, 절연체, 외피 두께, 심선 수, 배열 방식에 따라 외경은 달라짐1️⃣ 단심선 외경 계산 (단일심 전선)✅ 공식외경 = 도체 외경 + (절연 두께 × 2)..

FCL vs LCL, 컨테이너를 혼자 쓸까, 같이 쓸까? - 운송 방식과 스케줄 관리 #12.

포워더한테 견적을 요청하면 가끔 이렇게 되묻는다.“이건 FCL로 하실 건가요, LCL로 하실 건가요?”처음엔 "그게 뭐지…?" 싶었는데,알고 보니 이게 컨테이너 운송 방식을 정하는 매우 중요한 선택지였다.오늘은 실무 기준으로 FCL과 LCL의 차이와 선택 기준을 정리해본다.🚢 FCL (Full Container Load)이란?말 그대로 컨테이너 하나를 ‘우리 회사 전용’으로 꽉 채우는 방식이다.20GP든 40HQ든, 한 컨테이너를 전부 단독 사용혼재 없이 우리 제품만 실림비용은 컨테이너 단위로 정해진다 (CBM과 무관)실무 장점✔️ 운송 리스크 낮음 (혼재 없이 단독)✔️ 납기 예측이 쉬움✔️ 제품 수량이 많을 때 비용 효율적📦 LCL (Less than Container Load)이란?이건 하나의 ..

케이블의 연신율과 인장강도, 소재 성능 기준 이해하기 - 전선 생산, 설계 #44.

‘질긴 전선’의 기준은 무엇일까?전선 사양서를 보다 보면“절연체: 인장강도 ≥ 10MPa, 연신율 ≥ 125%”같은 항목을 자주 보게 됩니다.예전엔 “이건 뭔가 숫자가 높으면 좋은 거겠지?” 정도로만 생각했는데요,지금은 이 수치들이 전선의 피복이 얼마나 찢어지지 않고,얼마나 늘어나는지를 나타내는 안전지표라는 걸 정확히 이해하게 됐습니다.이번 글에서는연신율/인장강도 개념부터 KS/IEC 기준, 시험 방식, 실무 적용 사례까지 정리해봅니다.🧮 연신율(Elongation)이란?전선 피복을 당겼을 때 원래 길이 대비 얼마나 늘어나는가단위: % (예: 150%면 원래 길이의 1.5배까지 늘어남)예시:100mm 길이의 시편이 끊어지기 전까지 250mm까지 늘어남→ 연신율 = (250-100)/100 = 150%?..

절연 두께 기준 정리 (KS/IEC별 최소두께 비교) - 전선 생산, 설계 #43.

절연 두께 0.6mm와 0.8mm, 이게 왜 단가에 큰 차이를 만들까?전선을 견적하거나 감리 대응을 하다 보면종종 절연 두께 0.6mm vs 0.8mm 같은 표기 차이를 만납니다.예전엔 “두꺼우면 더 좋지 않나?” 했는데, 지금은 알죠.절연 두께는 안전성과 제조 단가, 감리 통과율까지 좌우하는 핵심 사양이라는 걸요.이번 글에서는KS, IEC 등 대표 규격에서 요구하는 최소 절연 두께 기준,그리고 실무에서 이 두께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절연 두께란?도체를 감싸 전기적 절연을 제공하는 피복층의 두께보통 mm 단위 (e.g. 0.6mm, 0.8mm)기준은 전압, 단면적, 사용 용도에 따라 결정📊 KS / IEC 기준 절연 두께 (예시)전선 종류정격 전압규격 예시최소 절연 두께 (mm..

도체 연선의 종류 (Class2, Class5, Twisted Pair 구조 차이) - 전선 생산, 설계 #42.

‘심선 수’보다 더 중요한 건, ‘어떻게 꼬였느냐’입니다“2.5SQ 짜리 전선이면 다 똑같죠?”예전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하지만 실제 전선을 만져보면 어떤 건 딱딱하고, 어떤 건 부드럽게 휘고,어떤 건 살짝 꼬여 있고, 또 어떤 건 손에 감길 정도로 유연합니다.그 차이를 만드는 핵심이 바로도체 연선 구조 (Stranding Class)입니다.이번 글에서는Class2, Class5, Twisted Pair 등 주요 연선 구조의 특징, 용도, 단가 차이를 정리해드립니다.🧩 1. 연선이란?연선 = 여러 가닥의 얇은 동선을 꼬아서 하나의 전선으로 만드는 구조목적: 유연성 확보 + 피로 강도 향상 + 손상 방지종류: Class2 (보통 연선), Class5 (유연 연선), Twisted Pair 등📌 같은 단..

Core란? 가닥, 심선, 코어, 뭐가 뭘까? - 전선 용어 #13.

전선 규격에서 “2C”, “3C”, “4C” 같은 표기를 자주 보셨을 거예요.여기서 C는 바로 Core(코어)의 약자인데요,도대체 Core란 뭐고, 가닥, 심선이랑은 뭐가 다를까요?🧪 Core란?Core = 전선 내부의 ‘하나의 도체 + 절연체’로 이루어진 단위입니다.쉽게 말해, 우리가 흔히 말하는 ‘한 가닥’이라고 보면 돼요.📌 1C = 단심 1가닥,3C = 절연처리된 심선 3가닥을 의미합니다.🧩 구조 이해[3C 케이블 예시]→ 3개의 Core (도체 + 절연)→ 외부는 공통 외피로 감싸짐각 Core는 각각 다른 색상의 절연체로 구분멀티코어 전선 = 2C 이상🔄 Core vs Conductor vs Wire용어의미실무 표현Core도체 + 절연 포함“3C 케이블 주세요”Conductor순수한 도체..

📈 LME 일일 시세 보고서 – 2025년 4월 21일자

📈 LME 일일 시세 보고서 – 2025년 4월 21일자LME (London Metal Exchange) 기준 전일 공식 정산 현금 가격 (Official Settlement Cash Prices)금속단위전일 종가 (USD)변동액 (USD)변동률 (%)구리톤9,104.00▲0.000.00%알루미늄톤2,327.50▲0.000.00%아연톤2,521.00▲0.000.00%납톤1,891.00▲0.000.00%니켈톤15,425.00▲0.000.00%주석톤30,500.00▲0.000.00%📅 기준일: 2025년 4월 18일 종가 기준🕒 기준가격: LME Official Settlement Cash Prices📌 참고: 2025년 4월 18일, 비철금속 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였습니다. 주요 금속들의 가..

마케팅 실적 보고서 구성 전략, 성과를 숫자와 그래프로 설득하는 법 - 운영 효율화 #17.

“이번 달 마케팅 성과는 어떤가요?”“조회수는 올랐는데… 매출엔 얼마나 기여했죠?”“실적 보고서를 잘 만들어야 인정받을 텐데…”실무에서 마케팅 활동은 많은데정작 보고서로 성과를 정리하는 건 어려운 일입니다.이번 편에서는마케팅 실적을 명확하게 보고할 수 있도록 구성 방법, 지표 선정, 시각화 전략까지전부 정리해드립니다.🎯 마케팅 실적 보고의 핵심은 ‘정확한 구조’“많이 했다”가 아니라“어떤 활동이 어떤 결과를 만들었는가”로 설명해야 합니다.그래서 보고서는단순 나열보다 구조화 + 숫자 + 시각화가 핵심이에요.📋 실적 보고서 기본 구성 틀1. 개요기간, 보고자, 활동 범위2. 활동 내역블로그, 전시회, 뉴스레터 등 채널별 수행 내역3. 성과 지표조회수, 유입, 견적 수, 계약 수 등 KPI4. 비교 분석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