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허용전류 3

케이블 사양서를 읽는 법 / 스펙시트 해석 완전 정복 - 전선 기초 #15.

CVV 3C x 2.5 0.6/1kV? 이제 읽을 수 있습니다전선 견적서나 제품 설명서를 보다 보면항상 보이는 게 CVV 2C x 2.5 0.6/1kV 같은 코드들입니다.처음엔 저 숫자와 영문이 마법 주문처럼 느껴졌는데요…공부해보니 이건 전선의 구조, 용도, 정격, 심선수, 굵기까지전부 들어있는 전선의 주민등록증 같은 역할이더라고요.이번 글에서는 스펙시트를 보는 기본 원칙과,자주 등장하는 코드들의 해석법을 정리해봤습니다!🧾 스펙시트 기본 구성일반적으로 전선 스펙시트(사양서)는 아래 항목을 포함합니다:전선명제품명 (예: CVV, VCTF 등)도체재질, 연선 or 단선, 굵기 (㎟)절연체소재 (PVC, XLPE 등), 두께외피소재, 색상, 두께심선 수1C / 2C / 3C / 4C 등정격전압300/500V..

도체 굵기 vs 외경 / 전선 굵기의 진짜 기준은? - 전선 기초 #08.

겉보기 두께가 진짜 굵기를 말하는 건 아니더라전선 보면서 "이게 더 두꺼워 보이는데 왜 오히려 전류는 더 못 흘리죠?"이런 생각 하신 적 있으신가요?저도 비슷했어요. 외피 두께는 더 두꺼운데, 실제 스펙은 낮은 경우들이 있더라고요.공부하다 보니, 그 이유는 바로‘도체 굵기’와 ‘외경’은 완전히 다른 개념이라는 거였습니다.이번 글은 두 개념을 구분해서 이해하고, 실무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정리해봤습니다.🔩 도체 굵기 = 전기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굵기’라고 하면 대부분 사람들이 전선 전체 두께를 떠올리지만,실제로 전류 흐름이나 전기 용량은 도체(Copper)의 굵기, 즉 단면적(㎟) 으로 결정됩니다.도체 단면적 (㎟)실제 구리심의 넓이허용 전류단면적에 비례AWG미국식 도체 굵기 단위 (숫자 작을수록 굵음)..

전선의 규격이란? - 전선 기초 #04.

굵기 숫자 하나에 의미가 이렇게 많았다고?전선 관련 정보를 보다 보면“이건 2.5SQ로 주세요”, “이건 12AWG입니다” 같은 말이 자주 나옵니다.솔직히 예전엔 대충 굵은 거, 얇은 거 정도로만 생각했는데…공부해보니까 이 숫자 하나에전기 용량, 안전성, 가격, 인증 조건까지 전부 담겨있더라고요.이번엔 제가 정리한 전선 규격의 핵심 – 단면적, AWG, 허용전류 개념을 공유드려요.숫자만 보고 감 잡을 수 있게 됩니다.📏 단면적 = 전선 굵기의 기준전선 규격은 도체의 단면적(㎟) 기준으로 표기됩니다.보통 “스퀘어(SQ)”라고도 부르죠.표기의미2.5㎟ = 2.5SQ도체의 절단면적AWG (American Wire Gauge)미국식 번호 단위 – 숫자 작을수록 굵음두 단위는 아래처럼 대응됩니다:AWG㎟비고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