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전력케이블 3

XLPE란? CV케이블의 핵심 절연소재 - 전선 용어 #38.

CV, CVV, CVT…이런 이름이 붙은 전선의 공통점이 뭘까요?바로 그 중심에는 XLPE,즉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재가 있습니다.오늘은 이 전력용 전선의 핵심 절연 소재인 XLPE의 특징과 실무 적용을 정리해봅니다!🧪 XLPE란?XLPE = Cross-Linked Polyethylene= 가교(架橋)된 폴리에틸렌📌 일반 PE는 열에 약하지만,XLPE는 화학적으로 분자 구조를 가교시켜→ 고온, 고전압에서도 우수한 절연 특성을 유지합니다.📦 XLPE의 주요 특징내열성90℃ (일반형) ~ 125℃ 이상 (고급형)내전압매우 우수 → 0.6/1kV 이상 전선에 적합기계적 강도우수 (충격, 인장 강함)수분 저항좋음 (건식 절연 가능)유연성보통 (PVC보단 단단함)절연 내구성장기적 안정성 뛰어남🔍 XLPE v..

CV란? 전력선의 기본이 되는 구조 - 전선 용어 #23

전선 카탈로그나 견적서에서 “CV 3C x 2.5sq”, “CVT 3.5SQ x 4C” 같은 모델을 본 적 있으시죠?여기서 CV는 산업용 전력 배선의 기본이 되는 전선입니다.오늘은 CV 전선의 구조, 용도, 그리고 VCT와의 차이점까지 정리해볼게요!🧪 CV란?CV = Crosslinked polyethylene + Vinyl sheath즉,C =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XLPE)V = PVC 외피📌 구조 구성:도체 → XLPE 절연 (C) → PVC 외피 (V)🔍 CV 케이블의 특징정격 전압0.6/1kV절연XLPE (가교 PE) → 내열성, 절연성 우수외피PVC → 일반 실외 사용 가능전압 강하낮음 (절연 저항 높음)연기/유독성일반 PVC 외피라 제한 있음구조단심 (1C), 다심 (2C~4C), 연..

전선의 주요 종류 및 계통도 - 전선 기초 #02.

복잡해 보였던 전선 종류, 한 번에 정리해봤습니다케이블 공부를 하면서 진짜 헷갈렸던 게 “전선 종류”였어요.CVV, VCTF, H05VV-F, LSZH… 이름도 복잡하고, 뭐가 뭔지 구분이 안 됐거든요.근데 조금씩 구조랑 용도 연결해서 보다 보니“아 이건 전력용이구나”, “이건 플러그용이네” 하고 이해가 되더라고요.그래서 이번 글은 전선 분류 기준과 계통도를 공유드릴게요.딱 이 구조로 외워두면 실무 대응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전선은 크게 5가지로 나뉜다실제로 전선을 분류하는 기준은 다양하지만 현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기준은 이겁니다:전력 케이블 – 전기 ‘그 자체’를 보내는 메인 배선제어/계장 케이블 – 기계나 설비의 신호선통신/신호 케이블 – 데이터, 영상, 통신 신호용코드선/기기 배선용 – 콘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