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천천히 알아가는 마케팅/콘텐츠 및 자료 설계 6

기술팀과 협업하는 마케팅, 스펙·도면·FAQ를 마케팅 언어로 바꾸는 법 - 콘텐츠 및 자료 설계 #22.

"도면은 있는데 고객이 이해를 못 해요.""스펙시트만 던지니까 반응이 없어요.""기술팀이 정리한 자료가 너무 어렵게 느껴져요."B2B 마케팅에서 자주 부딪히는 문제는‘기술자료는 있는데, 전달력이 없다’는 점입니다.이번 편에서는기술팀과 협업해서 ‘기술 언어 → 마케팅 언어’로 전환하는 방법,그리고 실무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자료 재가공 전략을 정리해드릴게요.🎯 기술 자료가 마케팅에 중요한 이유기술자료마케팅 효과스펙시트제품 신뢰도 + 고객 이해도 증가도면/단면도적용 설명에 사용FAQ상담 시간 단축 + 고객 설득력 강화인증자료해외/조달/딜러 대응 필수자료시험성적서품질 + 기능성 근거 제공👉 문제는, 이런 자료들이 “설명은 되는데, 설득이 되진 않는다는 것”📐 Step 1. 기술자료에서 마케팅 요소 뽑기기..

세일즈 키트(Sales Kit), 마케팅과 영업 사이를 연결하는 실전 자료 구성법 - 콘텐츠 및 자료 설계 #16.

"영업팀에서 제품 소개 자료 달래요.""견적 보낼 때 같이 보낼 브로셔 없나요?""기술팀 설명까지 필요하대요…"이 모든 요청을 한 번에 해결해주는 자료가 바로세일즈 키트(Sales Kit)입니다.이번 편에서는세일즈 키트를 무엇으로 구성하고, 어떻게 정리하면 실무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을지템플릿과 함께 소개합니다.🎯 세일즈 키트란?제품/서비스를 설명하고 제안하는 데 필요한 모든 실전 자료 모음집마케팅이 만드는 자료와영업이 실제 고객에게 쓰는 자료의‘다리 역할’을 해주는 게 바로 세일즈 키트입니다.🧰 기본 구성 – B2B 세일즈 키트 항목항목설명파일 형식회사 소개서브랜드, 사업범위, 인증, 연혁 등PDF / PPT제품 브로셔제품별 특징, 스펙, 인증, 포장단위PDF / 이미지제품 비교표우리 제품 vs 경..

브랜드 가이드 구성 전략, 기업의 ‘톤과 얼굴’을 정리하는 법 - 콘텐츠 및 자료 설계 #15.

"회사마다 디자인이 제각각이에요.""문구 톤도 사람마다 다르고, 로고도 매번 달라요.""어떤 걸 써야 우리 브랜드처럼 보일까요?"이런 혼란은 대부분브랜드 가이드가 없거나 정리되지 않았을 때 발생합니다.이번 편에선제조업 마케팅에서 실무적으로 활용 가능한 브랜드 가이드를 어떻게 구성할지실제 적용 가능한 항목 중심으로 소개해드릴게요.🎯 브랜드 가이드란?우리 회사를 시각/언어적으로 일관되게 표현하기 위한 기준표입니다.누구나 동일한 톤 & 디자인으로 커뮤니케이션외주/제작/세일즈 등 협력 파트너에게도 기준 제시고객 접점에서 ‘브랜드 인상’을 통일시켜 줌👉 한 마디로 회사 정체성의 매뉴얼북이에요.🧱 기본 구성 – 제조업 기준 브랜드 가이드 구조1. 로고 가이드색상, 배치, 비율, 여백, 최소 사이즈 등2. 컬러..

제품 포트폴리오 전략, 종류가 많을수록 분류가 생명이다 - 콘텐츠 및 자료 설계 #13.

제조업에서 마케팅을 하다 보면가장 자주 마주치는 말이 이거죠.“이 제품은 뭐랑 뭐가 달라요?”“그 모델이랑 이 모델, 가격차이 왜 나는 거예요?”“딱 맞는 모델 하나 추천해줄 수 있나요?”특히 케이블처럼 모델명은 길고, 사양은 미세하게 다른 제품군을 다룰 땐제품 포트폴리오를 정리하는 게 마케팅의 기본이자, 실무 생존 기술입니다.🎯 제품 포트폴리오란?간단히 말하면,“회사의 제품을 기능, 가격, 용도 등에 따라 분류하고 정리한 구조”마케팅 입장에서 포트폴리오는제안 자료를 빠르게 만들 수 있고,신제품이나 전략 제품에 집중할 수 있고,고객별 우선 제안 기준을 설정할 수 있는 기준이 돼요.📦 케이블 제품을 분류하는 대표 기준 5가지분류 기준설명실무 활용인증 기준UL, CE, RoHS, 무인증 등고객 요구 인증..

콘텐츠 마케팅, 제조업에선 어떤 콘텐츠를 만들고 어떻게 써야 할까? - 콘텐츠 및 자료 설계 #10.

콘텐츠 마케팅이라는 말을 들으면먼저 떠오르는 건 이런 이미지죠:“블로그에 글 올리는 거 아냐?”“그건 소비재 브랜드나 하는 거잖아?”“우린 뭐 자랑할 게 딱히 없는데…”하지만 오히려 제조업일수록 콘텐츠 마케팅이 더 효과적입니다.왜냐하면 제조업 B2B 고객은 구매 전에자료를 보고, 비교하고, 판단하기 때문이에요.이번 편에서는 제조업 마케팅에서 콘텐츠를 어떻게 만들고, 운영하고, 재활용할 수 있을지 실무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콘텐츠 마케팅, 왜 해야 할까?고객은 구매 결정을 하기 전 정보 탐색을 먼저 합니다.그때 우리가 만든 콘텐츠가 검색되거나 보여지면?“이 회사 좀 체계 있어 보이는데?”“이런 인증 설명까지 정리돼 있네?”→ 바로 신뢰가 생깁니다.🧩 콘텐츠 유형별 분류 – 실무에서 자주 쓰는 3가지유..

브로셔와 제안서, 실무에서 바로 써먹는 구성 전략 - 콘텐츠 및 자료 설계 #07.

"회사 소개자료 있으신가요?""이 제품 간단히 설명된 자료 있나요?""비슷한 제품이랑 비교해줄 수 있어요?"이런 요청, 마케팅 담당자라면 하루에도 몇 번씩 듣죠.그런데 그때마다 새로 만들고 있다면… 너무 비효율적입니다.이번 편에서는 브로셔와 제안서를 실무에서 바로 꺼내 쓸 수 있게 만드는 방법을형식, 구성, 템플릿 예시까지 정리해드릴게요.🧩 자주 요청받는 자료 유형자료명틍징활용 상황회사 소개서브랜드, 인증, 사업 범위 요약첫 미팅, 메일 소개제품 브로셔제품 중심 정보 구성제품 관심 단계경쟁사 비교표사양/가격/납기 차이 정리고려 단계제안서고객 맞춤 제안, 견적 포함상담 이후기술 스펙시트상세 스펙, 도면기술팀 요청 시👉 이 다섯 가지는 미리 준비해두면 마케팅도 영업도 훨씬 빨라집니다.🧱 브로셔 구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