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전선비교 8

UL3122 vs UL3135 vs UL3239 인증 비교 해설 - 실리콘 전선 정보 #02.

📚UL3122 vs UL3135 vs UL3239 – 실리콘 전선 인증 비교 해설실리콘 케이블을 선택하거나 견적 요청을 할 때 가장 먼저 마주하는 항목 중 하나가 바로 UL Style 번호입니다. 특히 실리콘 전선의 경우에는 UL3122, UL3135, UL3239가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며, 각각의 전선은 구조, 온도 등급, 전압 허용치, 적용 분야가 모두 다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리콘 케이블 3대 인증 스타일인 UL3122 / 3135 / 3239를 중심으로 정격, 구조, 사용 분야를 비교하며 실무 선택 포인트까지 정리합니다.🧩 1. UL Style 번호란?UL Style은 미국 UL(Underwriters Laboratories)에서 부여하는 전선 제품별 인증 코드입니다.각 번호는 다음과 같은..

EV, EVE, EVT 전선 구조와 적용 분야 비교 - EV 전선 정보 #03.

🔋EV, EVE, EVT 전선 – 구조와 적용 분야 비교EV 케이블 중 600V~1000V 등급의 고출력 전기차 충전기용 전선은 EV, EVE, EVT로 분류됩니다. 이들은 모두 UL62 기준의 Extra Hard Usage 등급에 속하며, 고전압, 실외 환경, 트레이 배선 등 보다 까다로운 조건에 맞게 설계되어 있습니다.이번 편에서는 EV / EVE / EVT 전선의 차이점과 구조적 특성, 실무 적용 사례를 비교 분석합니다.🧩 1. EV, EVE, EVT는 어떤 전선인가?항목EVEVEEVT전압 정격600V 또는 1000V600V 또는 1000V600V 또는 1000V온도 정격60~105℃90~105℃60~105℃사용 등급Extra Hard UsageExtra Hard + 내열 강화Extra Hard..

EVJ와 EVJE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 EV 전선 정보 #02.

🔋EVJ와 EVJE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전기차 충전용 케이블을 찾다 보면 가장 기본형으로 많이 접하게 되는 명칭이 EVJ입니다.그런데 유사한 이름의 EVJE도 자주 등장하는데, 둘 다 300V급 EV 충전 전선이면서도 사양과 용도가 다릅니다. 실무에서는 이 둘의 구조적 차이, 온도 정격, 설치 환경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해야 올바른 제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EVJ vs EVJE의 차이를 중심으로, 구조, 인증, 실무 적용 포인트를 상세히 비교해보겠습니다.🧩 1. EVJ, EVJE란 무엇인가?EVJ와 EVJE는 UL62에 정의된 전기차 충전용 플렉서블 케이블 중 300V급 Hard Usage 등급입니다. EVJ는 가장 보편적인 표준형, EVJE는 EVJ에서 파생된 내열 강화형 전선으로..

케이블 종류별 원가 계산법 (CV, CVV, CVVS, VCTF 비교) - 전선 원가 #24

구조만 보면 가격 흐름이 보인다케이블을 견적서에서 보면“왜 CVV는 이 가격인데, CVVS는 훨씬 비쌀까?”“VCTF는 싸긴 한데 왜 감리에서는 제외될까?”이런 의문, 다들 있으시죠?저도 단가만 보다가 뒤늦게 구조와 재료 비중을 확인하고‘이래서 가격이 이렇게 다르구나’ 하고 무릎을 탁 쳤던 기억이 납니다.이번 글에서는 대표 4가지 전선CV / CVV / CVVS / VCTF의 원가 구조를실제 계산 예시와 함께 비교 분석해봤습니다.🧪 비교 대상 전선 (2C × 2.5㎟ 기준 / 100m)전선전압구조 특징CV0.6/1kVXLPE 절연 / 외피 없음CVV0.6/1kVPVC 절연 + 외피CVVS0.6/1kVCVV + 차폐VCTF300/500V유연한 코드선 / 저가형📊 원가 구성 예시 (100m 기준 / 단가..

전선 견적서 읽는 법 [규격별 단가 비교와 체크포인트] - 전선 기초 #16.

똑같이 2.5SQ라도 가격은 왜 이렇게 다를까?전선 견적서를 받아보면 항상 헷갈리는 게비슷해 보이는 전선인데 단가 차이가 크게 나는 경우입니다.1. CVV 2C × 2.5 : 350원/m2. CVVS 2C × 2.5 : 600원/m3. VCTF 2C × 2.5 : 280원/m같은 굵기인데 왜 이렇게 가격이 다르죠?저도 처음엔 납품가만 보고 판단하다가 손해 본 적이 있었는데,이제는 구조, 인증, 부자재까지 따져보게 됐어요.이번 글에서는 전선 견적서 보는 법, 규격별 단가 차이 이해법, 실무에서 확인해야 할 포인트를 정리했습니다.💸 전선 단가는 어떻게 결정되나?전선 단가는 단순히 길이 × 재료비가 아니라 다음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요소내용도체 무게 (구리/알루미늄)가장 큰 비중. 국제 구리가격(L..

산업용 케이블 vs 가정용 케이블 / 구조와 가격, 이렇게 다릅니다 - 전선 기초 #13.

전선도 태생이 다르더라 – 어디에 쓰이느냐가 전부를 바꾼다처음 케이블을 공부할 때,"VCTF랑 CVVS랑 뭐가 그렇게 다르지?""가정용 전선이랑 산업용 전선은 왜 가격 차이가 나지?"이런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알고 보니까 설치 환경과 사용 목적이 다르면, 구조도, 내구성도, 규격도 완전히 달라지더라고요.이번 글에서는 산업용 케이블과 가정용 케이블의 실질적인 차이를구조, 기능, 가격 기준으로 정리해봤습니다.🏠 가정용 케이블이란?가정/실내용으로 쓰이는 케이블은전기 플러그, 조명, 소형 기기 등 고정 설치용 또는 저전력 회로에 사용됩니다.전선 예시용도VCTF콘센트, 플러그H05VV-F가전 기기 전원선VVF / VCTFK벽 배선, 실내 스위치KIV / HIV고정 배선용 단심선📎 특징: 가볍고 유연하고, 시공..

도체 굵기 vs 외경 / 전선 굵기의 진짜 기준은? - 전선 기초 #08.

겉보기 두께가 진짜 굵기를 말하는 건 아니더라전선 보면서 "이게 더 두꺼워 보이는데 왜 오히려 전류는 더 못 흘리죠?"이런 생각 하신 적 있으신가요?저도 비슷했어요. 외피 두께는 더 두꺼운데, 실제 스펙은 낮은 경우들이 있더라고요.공부하다 보니, 그 이유는 바로‘도체 굵기’와 ‘외경’은 완전히 다른 개념이라는 거였습니다.이번 글은 두 개념을 구분해서 이해하고, 실무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정리해봤습니다.🔩 도체 굵기 = 전기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굵기’라고 하면 대부분 사람들이 전선 전체 두께를 떠올리지만,실제로 전류 흐름이나 전기 용량은 도체(Copper)의 굵기, 즉 단면적(㎟) 으로 결정됩니다.도체 단면적 (㎟)실제 구리심의 넓이허용 전류단면적에 비례AWG미국식 도체 굵기 단위 (숫자 작을수록 굵음)..

단선 vs 연선 – 도체 구조의 차이와 실무 영향 - 전선 기초 #05.

전선도 심지가 다르다? 써보면 바로 느낌 옵니다전선을 만져보면 어떤 건 딱딱하고, 어떤 건 엄청 유연합니다.처음엔 그냥 굵기 차이인 줄 알았는데,알고 보니 전선의 심지 구조가 다르더라고요.바로 단선(Solid)이냐, 연선(Stranded)이냐의 차이!이번엔 이 둘이 어떤 구조이고, 실제로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정리해봤습니다.🧱 단선 vs 연선, 구조부터 다르다단선 (Solid)구리나 알루미늄 한 가닥으로 된 심선연선 (Stranded)얇은 도체 여러 가닥을 꼬아서 만든 구조📌 그냥 육안으로 봐도 구분됩니다: 단선은 깔끔하게 하나, 연선은 자르면 여러 가닥이 보임!🔍 장단점 한눈 비교항목단선 (Solid)연선 (Stranded)유연성낮음 (딱딱함)매우 높음전기적 손실낮음살짝 높음가격저렴약간 비쌈내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