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실무전선팁 5

UL 인증 해설 / Style No., 온도·전압 조건 보는 법 - 전선 인증 #30.

UL 인증만 봐도 ‘이 전선이 어디까지 쓸 수 있는지’ 보입니다전선 견적서나 기타 관련 문서에서“UL 인증 있음”, “UL Style No. 1015”, “UL VW-1 통과”…이런 표현들 많이 보셨을 거예요.전엔 저도 ‘UL 있으면 그냥 괜찮은 거지’ 정도로 넘겼는데,공부해보니 UL 인증의 구조와 표기법을 알면 전선 스펙을 완전히 해석할 수 있게 되더라고요.이번 글에서는 UL 인증의 기본 개념, Style No. 읽는 법, 온도·전압 조건 해석법, VW-1 같은 부가기호의 의미까지 전부 정리해보겠습니다.✅ UL 인증이란?UL = Underwriters Laboratories미국의 대표적인 안전 인증기관전선뿐만 아니라 모든 전기전자 부품의 안전기준을 제시UL 인증을 받았다는 것은→ UL 기준의 재질, 절..

자투리 전선 활용법, 짧은 재고가 자산이 되려면 - 전선 원가 #27.

잘만 관리하면 ‘남는 전선’이 아니라 ‘예비 자산’이 됩니다현장에서 전선을 시공하고 남은 짧은 전선들,창고 구석에서 뒹굴거나“버릴까… 남겨둘까…” 고민되는 경우 많으시죠?저도 처음엔 자투리 전선은 그냥 처분하는 게 나을 줄 알았는데,지금은 오히려 단가도 높고, 시공대응도 빠른 ‘준비 자산’이라는 걸 실감하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실무 중심으로자투리 전선의 정의, 활용법, 관리 포인트를 정리해봤습니다.✂️ 자투리 전선이란?표준 포장 단위 미만의 남은 전선예: 300m 릴 중 38m 남은 CVV,100m 코일 중 12m 남은 VCTF자투리 종류기준 길이릴 잔량30~80m 이하코일 잔량10~20m 이하컷팅 자재5~15m 조각📌 10~50m 사이 전선이 제일 애매하고,잘만 보관하면 소량 프로젝트 대응용으로 ..

도체 굵기 vs 외경 / 전선 굵기의 진짜 기준은? - 전선 기초 #08.

겉보기 두께가 진짜 굵기를 말하는 건 아니더라전선 보면서 "이게 더 두꺼워 보이는데 왜 오히려 전류는 더 못 흘리죠?"이런 생각 하신 적 있으신가요?저도 비슷했어요. 외피 두께는 더 두꺼운데, 실제 스펙은 낮은 경우들이 있더라고요.공부하다 보니, 그 이유는 바로‘도체 굵기’와 ‘외경’은 완전히 다른 개념이라는 거였습니다.이번 글은 두 개념을 구분해서 이해하고, 실무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정리해봤습니다.🔩 도체 굵기 = 전기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굵기’라고 하면 대부분 사람들이 전선 전체 두께를 떠올리지만,실제로 전류 흐름이나 전기 용량은 도체(Copper)의 굵기, 즉 단면적(㎟) 으로 결정됩니다.도체 단면적 (㎟)실제 구리심의 넓이허용 전류단면적에 비례AWG미국식 도체 굵기 단위 (숫자 작을수록 굵음)..

심선 수(C)의 의미 / 1C, 2C, 3C… 뭘 의미하는 걸까? - 전선 기초 #07.

전선 이름에 꼭 붙는 C 숫자, 알고 보면 구조 설명서케이블 공부하면서 전선 이름 뒤에 자주 보이는‘2C’, ‘3C’, ‘4C’ 같은 코드, 다들 한 번쯤 봤을 겁니다.예 CVV 2C x 1.5, VCTF 3C x 0.75 이런 식으로요.저도 처음엔 그냥 ‘뭔가 규격이겠지’ 하고 넘겼는데,알고 보니 이건 전선 구조를 말해주는 중요한 정보더라고요.이번 글에서는 전선에서 말하는 심선(Core) 수의 개념과실제로 어디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깔끔하게 정리해봤습니다.🧵 ‘C’는 Core의 약자, 즉 심선 수전선에서 말하는 ‘심선’은 도체 + 절연이 된 가닥 하나하나를 말합니다.전기적으로 분리된 선의 수라고 보면 돼요.표기의미1C단심선, 즉 1가닥2C2가닥 → 예: L, N3C3가닥 → 예: L, N, E(접지)4..

단선 vs 연선 – 도체 구조의 차이와 실무 영향 - 전선 기초 #05.

전선도 심지가 다르다? 써보면 바로 느낌 옵니다전선을 만져보면 어떤 건 딱딱하고, 어떤 건 엄청 유연합니다.처음엔 그냥 굵기 차이인 줄 알았는데,알고 보니 전선의 심지 구조가 다르더라고요.바로 단선(Solid)이냐, 연선(Stranded)이냐의 차이!이번엔 이 둘이 어떤 구조이고, 실제로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정리해봤습니다.🧱 단선 vs 연선, 구조부터 다르다단선 (Solid)구리나 알루미늄 한 가닥으로 된 심선연선 (Stranded)얇은 도체 여러 가닥을 꼬아서 만든 구조📌 그냥 육안으로 봐도 구분됩니다: 단선은 깔끔하게 하나, 연선은 자르면 여러 가닥이 보임!🔍 장단점 한눈 비교항목단선 (Solid)연선 (Stranded)유연성낮음 (딱딱함)매우 높음전기적 손실낮음살짝 높음가격저렴약간 비쌈내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