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UL인증 3

UL이란? 미국 전선 규격의 핵심 인증 - 전선 용어 #17.

전선 사양서를 보면 꼭 따라붙는 문구“UL 인증”, “UL 1007 승인”, “UL Style No.”그런데 UL이 뭔지, 왜 중요한 건지 헷갈릴 수 있죠.오늘은 전선 업계에서 빠질 수 없는 UL 인증의 개념과 역할을 정리해봅니다.🧪 UL이란?UL = Underwriters Laboratories미국의 비영리 안전 인증기관으로,전기/전자제품의 화재, 감전 등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승인합니다.📍 전선뿐만 아니라 콘센트, 배터리, 조명 등 수많은 산업군에 적용됨📦 UL 인증 전선의 특징적용 국가주로 미국, 캐나다 (cUL)표기 방식UL + Style No. (예: UL 1007, UL 2464)시험 항목온도, 전압, 난연성, 절연 두께 등마킹 방식케이블 외피에 "UL" + 스타일 번호 인쇄수출 필수 여부..

UL 인증 해설 / Style No., 온도·전압 조건 보는 법 - 전선 인증 #30.

UL 인증만 봐도 ‘이 전선이 어디까지 쓸 수 있는지’ 보입니다전선 견적서나 기타 관련 문서에서“UL 인증 있음”, “UL Style No. 1015”, “UL VW-1 통과”…이런 표현들 많이 보셨을 거예요.전엔 저도 ‘UL 있으면 그냥 괜찮은 거지’ 정도로 넘겼는데,공부해보니 UL 인증의 구조와 표기법을 알면 전선 스펙을 완전히 해석할 수 있게 되더라고요.이번 글에서는 UL 인증의 기본 개념, Style No. 읽는 법, 온도·전압 조건 해석법, VW-1 같은 부가기호의 의미까지 전부 정리해보겠습니다.✅ UL 인증이란?UL = Underwriters Laboratories미국의 대표적인 안전 인증기관전선뿐만 아니라 모든 전기전자 부품의 안전기준을 제시UL 인증을 받았다는 것은→ UL 기준의 재질, 절..

전선 규격 코드 체계 총정리 [IEC, KS, UL, JIS 비교] - 전선 기초 #06.

CVV는 뭐고, H05VV-F는 또 뭐지?케이블 제품 스펙을 보다 보면CVV, VCTF, H05VV-F, UL1015… 이름이 너무 다양해서 헷갈린 적 많지 않으신가요?저도 처음엔 “이건 어디 나라 코드야?” 수준이었는데,하나하나 정리해보니까 국가별 표기법 + 구조 의미 + 전압 정보까지 담긴꽤 체계적인 ‘언어’라는 걸 알게 됐습니다.이번 글에서는 IEC, KS, UL, JIS 등의 코드 체계와자주 보이는 전선 코드명들 뜻을 정리해봤습니다.🌍 주요 전선 규격 시스템 총정리규격지역특징IEC국제표준유럽/글로벌 중심KS한국국내 설계/감리 기준UL미국북미 인증 필수JIS일본기기 내장선 위주TCVN베트남일부 EU/IEC 기반DIN / VDE독일산업 자동화 중심※ 대부분 IEC를 베이스로 각 국가에서 응용/확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