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V는 뭐고, H05VV-F는 또 뭐지?
케이블 제품 스펙을 보다 보면
CVV, VCTF, H05VV-F, UL1015… 이름이 너무 다양해서 헷갈린 적 많지 않으신가요?
저도 처음엔 “이건 어디 나라 코드야?” 수준이었는데,
하나하나 정리해보니까 국가별 표기법 + 구조 의미 + 전압 정보까지 담긴
꽤 체계적인 ‘언어’라는 걸 알게 됐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IEC, KS, UL, JIS 등의 코드 체계와
자주 보이는 전선 코드명들 뜻을 정리해봤습니다.
🌍 주요 전선 규격 시스템 총정리
규격 | 지역 | 특징 |
IEC | 국제표준 | 유럽/글로벌 중심 |
KS | 한국 | 국내 설계/감리 기준 |
UL | 미국 | 북미 인증 필수 |
JIS | 일본 | 기기 내장선 위주 |
TCVN | 베트남 | 일부 EU/IEC 기반 |
DIN / VDE | 독일 | 산업 자동화 중심 |
※ 대부분 IEC를 베이스로 각 국가에서 응용/확장한 구조입니다.
📌 IEC 코드 체계 – 예: H05VV-F
IEC 60227 계열은 비차폐 저전압 유연 케이블 중심입니다.
그중 대표 모델이 바로 H05VV-F.
항목 | 의미 |
H | 국가 표준 승인 전선 |
05 | 정격전압 300/500V |
VV | 절연체 + 외피 모두 PVC |
F | 유연한 연선 구조 (플러그용) |
📎 이건 한국의 KS에서 VCTFK와 비슷한 위치에 있어요. 해외 수출 제품 사양서엔 거의 H05VV-F가 붙습니다.
🇰🇷 KS 전선 코드 – 예: CVV, VCTF
KS (Korea Standard) 기반 코드들은 국내 설계, 감리에 자주 쓰입니다.
코드 | 구조 | 특징 |
CVV | 구리 연선 + PVC/PVC | 기본 제어/전력용 |
FR-CVV | 난연 PVC 외피 | 감리 대응 |
VCTF | 연선 + 유연 + 코드형 | 플러그 연결 |
VCTFK | 더 유연하고 얇음 | 가정용, 실내용 |
KIV/HIV | 단심 배선선 | 배전반, 분전함 |
📌 KS는 CV → 가교 절연 / V → PVC 절연 or 외피로 해석하는 공식이 있더라고요.
🇺🇸 UL 코드 체계 – 예: UL1015, AWM Style
UL은 코드 대신 숫자 스타일(Style No.) 중심으로 사용됩니다.
코드 | 정격전압 | 온도 | 특징 |
UL1007 | 300V | 80℃ | 얇은 배선용 |
UL1015 | 600V | 105℃ | 가장 범용적인 배선선 |
UL2464 | 차폐 포함, 제어/신호용 | 산업 설비용 | |
UL758 | AWM(Appliance Wiring Material) 규격 통합 기준 |
UL 코드는 대부분 기기 내부 배선용, 자동화/제어용으로 활용됩니다.
미국 수출 제품에는 필수!
🇯🇵 JIS 코드 체계 – 예: VCT, EM-EEF
JIS는 일본 전선 규격인데, 국내/동남아 시장에도 영향이 꽤 있습니다.
코드 | 내용 |
VCT | 연선 구조, 제어/전력 겸용 |
VVR | 단심형 비차폐 전력선 |
EM-EEF | 저독성, 난연 외피 |
IV/SV/EM-CE | 가정용, 설비 내부용 |
특징은 코드가 짧고, 소재 중심으로 구조를 명시합니다.
🧪 코드만 보면 이런 것도 알 수 있다
실제로 전선 이름만 보면 다음 정보가 대략 보입니다:
- 도체 종류 (Cu, Al)
- 절연체 소재 (PVC, XLPE, 고무)
- 외피 종류 (FR, LSZH 등)
- 차폐 유무 (S, Shield 포함 시)
- 전압 등급 (300V, 500V, 0.6/1kV)
- 심선 수, 단면적 (2C x 1.5㎟ 등)
이 코드들 읽을 줄 알면 도면 해석, 견적서 분석, 인증 대응까지 훨씬 수월합니다.
🧾 정리하면서 느낀 포인트
전선 이름은 그냥 제품명이 아니라
구조, 전압, 인증, 용도까지 담긴 일종의 기술 언어였습니다.
📌 요약하자면:
- IEC, KS, UL 등 각국 전선 규격 체계가 있다
- 코드명을 해석하면 구조를 바로 파악할 수 있다
- 실무에선 혼용되기도 하므로 교차 매핑이 필요하다
- 해외 수출, 감리 대응, 설계 명세 이해에 꼭 필요한 지식
이제 CVV랑 H05VV-F만 봐도 어느 나라 코드고 어디에 쓰는지 감이 옵니다.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 > 기초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체 굵기 vs 외경 / 전선 굵기의 진짜 기준은? - 전선 기초 #08. (0) | 2025.04.14 |
---|---|
심선 수(C)의 의미 / 1C, 2C, 3C… 뭘 의미하는 걸까? - 전선 기초 #07. (0) | 2025.04.14 |
단선 vs 연선 – 도체 구조의 차이와 실무 영향 - 전선 기초 #05. (0) | 2025.04.12 |
전선의 규격이란? - 전선 기초 #04. (2) | 2025.04.11 |
전선 구조 요소 / 도체, 절연, 외피 완전 정리 - 전선 기초 #03. (2)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