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기초 정보

전선 구조 요소 / 도체, 절연, 외피 완전 정리 - 전선 기초 #03.

Wired Grafia 2025. 4. 10.

전선의 생김새는 전부 이유가 있더라


케이블을 조금씩 공부하다 보니,
“이 전선은 왜 이렇게 단단하지?” “이건 왜 유연하지?” 같은 궁금증이 하나둘씩 생겼습니다.
알고 보니 전선은 단순한 구리선이 아니라 의도된 구조로 만들어진 기술 제품이더라고요.

그래서 이번엔 전선의 핵심 구성 요소인
도체, 절연, 외피를 중심으로 간단하게 정리해봤습니다.
전선이 왜 그렇게 생겼는지 궁금했던 분이라면 도움이 될 거예요.


⚡ 도체 (Conductor) – 전기가 흐르는 심장

전선의 속에는 항상 금속심이 들어 있습니다.
바로 도체, 말 그대로 전기가 흐르는 본체죠.

🔹 도체 재질

재질 특징 비고
구리 (Copper) 전기 전도율 최강 대부분의 전선 기본
알루미늄 (Al) 가볍고 저렴 대형 전력선에 사용
주석도금 동 (Tinned Copper) 산화 방지 제어·신호선
은도금/금도금 동 고급 신호선용 고주파 대응, 고가

🔹 도체 구조

구조 설명 특징
단선 (Solid) 한 가닥 금속심 저렴하지만 단단함
연선 (Stranded) 여러 가닥 꼬음 유연하고 부드러움

실제로 VCTF나 H05VV-F 같은 코드선은 다 연선입니다.
딱 만져보면 유연한 게 차이가 느껴져요.


🧊 절연체 (Insulation) – 감전과 합선을 막아주는 보호막

도체에 전기가 흐르는데 그걸 손으로 만지면 위험하겠죠?
그래서 그 도체를 감싸는 게 절연체입니다.

🔹 절연 소재별 특징

소재 특징 비고
PVC 가장 기본, 유연함 저가 + 가공성 좋음
XLPE 고내열, 낮은 유전율 고급 전력선에 사용
고무 (EPR 등) 내열 + 유연성 발전소, 산업현장
LSZH 무할로겐, 저연기 병원·지하철 등 필수
PE, PP 통신용 절연 유전율 낮아 신호 손실 적음

절연체는 전압 등급이 올라갈수록 두꺼워지고 성능이 좋아야 합니다.
예: 0.6/1kV용 vs 300/500V용은 절연 두께가 다릅니다.


🧥 외피 (Sheath) – 전선 전체를 감싸는 방어막

외부 충격, 마찰, 습기, 열… 전선에 닿는 모든 위험을 막아주는 게 바로 외피입니다.

🔹 외피 소재와 용도

소재 특징 사용처
PVC 가장 많이 쓰임 실내 일반 배선
FR-PVC 난연 기능 추가 감리 대응용
LSZH 외피 연기 적고 무독성 공공건물, 밀폐 공간
고무 외피 유연하고 충격에 강함 옥외, 산업기계
PU / TPU 내마모 + 고유연 로봇 전선, 자동화 설비

외피는 외형만 봐도 감이 와요.
고무 외피는 두껍고 말캉하고, PVC는 딱딱하고 매끈한 느낌입니다.


🧩 그 외 구성 요소도 꽤 중요합니다

전선은 도체/절연/외피 외에도 아래 같은 구성요소들이 들어가기도 합니다.

🔸 차폐 (Shield)

  • 외부 전자파 차단용
  • CVVS, LiYCY, RS485 신호선에 필수
  • 알루미늄 PET 테이프, 편조 동선 등 다양

🔸 필러 (Filler)

  • 심선 사이 공간을 채워서 원형 유지
  • 흔히 폴리프로필렌(PP) 소재 사용

🔸 내피 (Inner Sheath)

  • 외피와 절연 사이에 추가로 들어가는 중간층
  • 특히 차폐 구조에서 자주 등장

🧾 정리하면서 느낀 포인트

공부 전엔 그냥 선처럼 보였는데, 이제는 전선 하나에도 의도된 기술이 보이기 시작했어요.

📌 요약하자면:

  • 전선은 도체 + 절연 + 외피로 구성된다
  • 각각의 소재와 구조가 전선 성능을 결정한다
  • 환경, 전압, 용도에 따라 구조가 달라진다
  • 차폐, 필러, 내피 등 부자재도 꽤 중요하다

다음엔 이 구조가 어떻게 규격이나 가격에 영향을 주는지도 살펴보려고 합니다!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