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전선외경계산 4

60227 IEC 01. 단심 PVC 전선의 기본 규격 총정리 - 규격 정보 #51.

60227 IEC 01 – 단심 PVC 전선의 기본 규격 총정리“기본 중의 기본, 그러나 감리에서도 가장 자주 탈락하는 전선은?”익숙하지만 가장 많은 시공 현장에서 가장 많이 납품되는 PVC 전선, 60227 IEC 01. 그 단순함 이면에는 엄연한 구조 기준, 감리 요건, 인증 조건, 설계 포인트가 숨어있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이 시리즈 첫 규격으로 60227 IEC 01을 선택한 이유도 바로 그 때문입니다. 전선 공부를 처음 시작한다면 꼭 마주치는 이름, 그러나 생각보다 규격 이해가 쉽지 않았던 이 전선의 핵심을 처음부터 끝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60227 IEC 01이란?60227 IEC 01은 IEC(국제전기표준회의) 기준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PVC 절연 단심 전선 규격입니..

전선 외경 계산법, 절연 + 외피 + 중심심 기준 계산 - 전선 생산, 설계 #45.

배관 설계, 커넥터 선택, 견적 산정까지… 전선 외경 하나로 결정됩니다설계서를 보다가 가장 흔히 마주치는 전선 조건 중 하나:“외경: Ø7.2 ±0.3mm”이 수치 하나 때문에 배관이 바뀌고,케이블 커넥터가 교체되고,심지어 전선 가격도 오르내립니다.이번 글에서는전선 외경(Overall Diameter, OD)이 어떻게 계산되는지,그리고 어떤 설계·시공·견적 요소에 영향을 주는지 전부 정리해보겠습니다.🔍 전선 외경(OD)이란?도체 + 절연 + 배열 구조 + 외피까지 포함한 전선의 전체 두께단위: mm표기 예시: “Ø6.5 ±0.3mm”📌 케이블 타입, 절연체, 외피 두께, 심선 수, 배열 방식에 따라 외경은 달라짐1️⃣ 단심선 외경 계산 (단일심 전선)✅ 공식외경 = 도체 외경 + (절연 두께 × 2)..

절연 두께 기준 정리 (KS/IEC별 최소두께 비교) - 전선 생산, 설계 #43.

절연 두께 0.6mm와 0.8mm, 이게 왜 단가에 큰 차이를 만들까?전선을 견적하거나 감리 대응을 하다 보면종종 절연 두께 0.6mm vs 0.8mm 같은 표기 차이를 만납니다.예전엔 “두꺼우면 더 좋지 않나?” 했는데, 지금은 알죠.절연 두께는 안전성과 제조 단가, 감리 통과율까지 좌우하는 핵심 사양이라는 걸요.이번 글에서는KS, IEC 등 대표 규격에서 요구하는 최소 절연 두께 기준,그리고 실무에서 이 두께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절연 두께란?도체를 감싸 전기적 절연을 제공하는 피복층의 두께보통 mm 단위 (e.g. 0.6mm, 0.8mm)기준은 전압, 단면적, 사용 용도에 따라 결정📊 KS / IEC 기준 절연 두께 (예시)전선 종류정격 전압규격 예시최소 절연 두께 (mm..

케이블 설계도면 해석법(단면구조, 외경계산, 심선배열 보기) - 전선 생산, 설계 #41.

“이 전선 도면 보시고 견적 주세요”라는 말, 이제 겁나지 않습니다전선 견적을 요청하거나 감리 대응을 하다 보면,꼭 이런 상황이 생깁니다:“도면 보고 이 전선 만들 수 있나요?”“스펙서에 외경 8.3mm ±0.3 써 있던데 맞출 수 있어요?”예전엔 그저 당황했지만,지금은 케이블 도면의 구조, 표기법, 외경 계산법 등을 알고 나니이해도도 높아지고, 견적 정확도도 올라갔습니다.이번 글에서는케이블 단면도 보는 법, 외경 계산 방법, 심선 배열 해석 포인트까지 실무 중심으로 정리해봅니다.1️⃣ 전선 단면도 기본 구성전선 도면은 보통 단면도 + 치수표 + 재질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단면도 구성요소 예시도체 (Conductor)연선 or 단선, 도금 여부절연체 (Insulation)색상 포함, 두께 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