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생산 및 설계 정보 11

전선 포장 방식 총정리 (판넬, 코일, 릴별 특성과 적용) - 전선 생산, 설계 #50.

포장도 설계다. 적절한 포장 방식이 시공성과 물류비를 결정합니다전선을 납품할 때 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고민하게 되는 것이바로 이겁니다:“이 전선은 판넬로 출고할까요, 아니면 릴로 감을까요?”예전엔 “그냥 박스에 넣어 보내면 되지”라고 생각했지만,지금은 전선 포장 방식 하나로 시공 편의성, 감리 통과, 운송 안정성까지 달라진다는 걸 체감합니다.이번 글은판넬, 코일, 릴 포장의 차이와 적용 기준, 그리고 실무 선택 요령을 정리합니다.📦 전선 포장 방식 개요방식형태비고코일(Coil)둥글게 감은 뭉치100m 단위 등 소포장판넬(Pannel)나무판에 직선으로 감거나 쌓음설치 직전 배선 편리릴(Reel)나무/플라스틱 릴에 감은 형태장거리, 대용량 전선에 사용🌀 코일(Coil) 포장형태보통 100m 단위 둥근 뭉..

케이블 감리 탈락 사례 총정리 (도면, 외경, 인증 불일치 등 실수 모음) - 전선 생산, 설계 #49.

전선 하나로 공사 전체 지연될 수 있습니다.감리를 앞두고“전선은 인증 돼 있으니까 괜찮을 겁니다”라는 말을 쉽게 합니다.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전선 스펙서 하나로 납품이 거절되거나,설비 전체 지연되는 일이 비일비재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정리해 온 실사례 중심으로감리 탈락의 7가지 주요 원인을 나눠 소개합니다.❌ 사례 1. KC 인증 누락 or 기재 오류KC 인증 없음납품 자체 불가 (관급공사 기준)KC 번호 오류감리 시 인증번호 대조 실패 → 탈락해외인증만 존재UL/CE 있어도 국내 감리 무용📌 KC 인증서는 반드시 번호, 제품명, 규격까지 완벽 일치해야 합니다.❌ 사례 2. 외경 허용오차 초과설계 외경 7.2mm ±0.3mm → 납품 외경 7.7mm → 탈락 사유배관 설계 기준 불일치, 설계서 대비 명..

전선 설계 시 방수·방오 기준 고려법 / IP 등급, 피복 선택 전략 - 전선 생산, 설계 #48.

“전선이 물에 닿지만 않으면 되죠?” 그 생각은 설계 미스의 시작입니다제어반을 야외에 설치하거나,습기가 많은 지하실, 혹은 공장 라인 설비에 전선을 설치할 때다음과 같은 요청을 자주 받습니다:“방수 되는 전선으로 해주세요”“IP67 맞춰주세요”예전엔 “전선 겉에 비닐 씌워져 있는데요?”라고 생각했지만,지금은 피복 재질, 커넥터 구조, 절연 연장, 실링까지 전부 설계 범위에 포함된다는 걸 깨달았습니다.이번 글은전선 설계 시 방수(IP), 방오(Oil-resistant), 외피 선택 전략까지 실무적으로 정리합니다.💡 1. IP 등급이란?Ingress Protection: 고체/액체 침투에 대한 보호 등급표기 예시: IP65 / IP67 / IP68 등✅ IP 등급 구성첫 번째 숫자방진0~6 (6: 완전 방..

전선 색상조합 설계 팁, 2C~5C 전선용 색상 분배 방법 - 전선 생산, 설계 #47.

심선 색상만 잘 설계해도 감리 대응, 시공 편의성, 오류 방지까지 해결됩니다견적 요청서에“4C 전선인데 색상은 뭐로 할까요?”라는 질문이 들어오면 당황스럽지 않으셨나요?저도 처음엔 “그냥 대충 Red / Black / White / Green 하면 되지 않나…” 했는데요,지금은 설계 용도에 따라 색상 배치가 잘못되면 감리 불합격 또는 시공 오류로 이어진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이번 글에서는2C~5C 다심전선의 대표적인 색상 조합과 실무 적용 팁을 정리합니다.🎯 1. 전선 색상 분배의 목적배선 오류 방지설비 도면과 색상 일치접지선(Ground), 중성선(Neutral) 구분감리 및 점검 시 육안 식별성 확보📌 색상은 단순 미관이 아니라 설계 신뢰성과 안전성의 기초🎨 2. 대표 심선 색상 목록색상의미 /..

차폐 구조별 비교 / 나선형, 편조형, 드레인 방식 차이 - 전선 생산, 설계 #46.

잡음 많은 현장, 신호 깨지는 이유는 차폐 설계 때문입니다설비에서 센서 신호가 튀거나,PLC에서 통신 오류가 생기거나,공장 소음에 민감한 장비에 전선을 설치하려다 보면누구나 이런 말을 듣게 됩니다:“차폐선으로 바꾸셔야 해요.”예전엔 “차폐선이 뭐 특별한 전선인가?” 싶었는데,지금은 전선 내부 구조부터 설계 방식까지 차폐 구조에 따라 완전히 달라진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이번 글에서는나선형(SP), 편조형(Braided), 드레인 방식(Foil + Drain)의 차이점과 실무 적용법을 정리해봅니다.🧲 1. 차폐(Shielding)의 목적외부 전자파(EMI), 전자기 간섭(RFI), 유도 전류로부터 신호선 보호신호선 내부 잡음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도 방지통신, 계장, 제어, 센서, 오디오 전선에는 거의 필수..

전선 외경 계산법, 절연 + 외피 + 중심심 기준 계산 - 전선 생산, 설계 #45.

배관 설계, 커넥터 선택, 견적 산정까지… 전선 외경 하나로 결정됩니다설계서를 보다가 가장 흔히 마주치는 전선 조건 중 하나:“외경: Ø7.2 ±0.3mm”이 수치 하나 때문에 배관이 바뀌고,케이블 커넥터가 교체되고,심지어 전선 가격도 오르내립니다.이번 글에서는전선 외경(Overall Diameter, OD)이 어떻게 계산되는지,그리고 어떤 설계·시공·견적 요소에 영향을 주는지 전부 정리해보겠습니다.🔍 전선 외경(OD)이란?도체 + 절연 + 배열 구조 + 외피까지 포함한 전선의 전체 두께단위: mm표기 예시: “Ø6.5 ±0.3mm”📌 케이블 타입, 절연체, 외피 두께, 심선 수, 배열 방식에 따라 외경은 달라짐1️⃣ 단심선 외경 계산 (단일심 전선)✅ 공식외경 = 도체 외경 + (절연 두께 × 2)..

케이블의 연신율과 인장강도, 소재 성능 기준 이해하기 - 전선 생산, 설계 #44.

‘질긴 전선’의 기준은 무엇일까?전선 사양서를 보다 보면“절연체: 인장강도 ≥ 10MPa, 연신율 ≥ 125%”같은 항목을 자주 보게 됩니다.예전엔 “이건 뭔가 숫자가 높으면 좋은 거겠지?” 정도로만 생각했는데요,지금은 이 수치들이 전선의 피복이 얼마나 찢어지지 않고,얼마나 늘어나는지를 나타내는 안전지표라는 걸 정확히 이해하게 됐습니다.이번 글에서는연신율/인장강도 개념부터 KS/IEC 기준, 시험 방식, 실무 적용 사례까지 정리해봅니다.🧮 연신율(Elongation)이란?전선 피복을 당겼을 때 원래 길이 대비 얼마나 늘어나는가단위: % (예: 150%면 원래 길이의 1.5배까지 늘어남)예시:100mm 길이의 시편이 끊어지기 전까지 250mm까지 늘어남→ 연신율 = (250-100)/100 = 150%?..

절연 두께 기준 정리 (KS/IEC별 최소두께 비교) - 전선 생산, 설계 #43.

절연 두께 0.6mm와 0.8mm, 이게 왜 단가에 큰 차이를 만들까?전선을 견적하거나 감리 대응을 하다 보면종종 절연 두께 0.6mm vs 0.8mm 같은 표기 차이를 만납니다.예전엔 “두꺼우면 더 좋지 않나?” 했는데, 지금은 알죠.절연 두께는 안전성과 제조 단가, 감리 통과율까지 좌우하는 핵심 사양이라는 걸요.이번 글에서는KS, IEC 등 대표 규격에서 요구하는 최소 절연 두께 기준,그리고 실무에서 이 두께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절연 두께란?도체를 감싸 전기적 절연을 제공하는 피복층의 두께보통 mm 단위 (e.g. 0.6mm, 0.8mm)기준은 전압, 단면적, 사용 용도에 따라 결정📊 KS / IEC 기준 절연 두께 (예시)전선 종류정격 전압규격 예시최소 절연 두께 (mm..

도체 연선의 종류 (Class2, Class5, Twisted Pair 구조 차이) - 전선 생산, 설계 #42.

‘심선 수’보다 더 중요한 건, ‘어떻게 꼬였느냐’입니다“2.5SQ 짜리 전선이면 다 똑같죠?”예전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하지만 실제 전선을 만져보면 어떤 건 딱딱하고, 어떤 건 부드럽게 휘고,어떤 건 살짝 꼬여 있고, 또 어떤 건 손에 감길 정도로 유연합니다.그 차이를 만드는 핵심이 바로도체 연선 구조 (Stranding Class)입니다.이번 글에서는Class2, Class5, Twisted Pair 등 주요 연선 구조의 특징, 용도, 단가 차이를 정리해드립니다.🧩 1. 연선이란?연선 = 여러 가닥의 얇은 동선을 꼬아서 하나의 전선으로 만드는 구조목적: 유연성 확보 + 피로 강도 향상 + 손상 방지종류: Class2 (보통 연선), Class5 (유연 연선), Twisted Pair 등📌 같은 단..

케이블 설계도면 해석법(단면구조, 외경계산, 심선배열 보기) - 전선 생산, 설계 #41.

“이 전선 도면 보시고 견적 주세요”라는 말, 이제 겁나지 않습니다전선 견적을 요청하거나 감리 대응을 하다 보면,꼭 이런 상황이 생깁니다:“도면 보고 이 전선 만들 수 있나요?”“스펙서에 외경 8.3mm ±0.3 써 있던데 맞출 수 있어요?”예전엔 그저 당황했지만,지금은 케이블 도면의 구조, 표기법, 외경 계산법 등을 알고 나니이해도도 높아지고, 견적 정확도도 올라갔습니다.이번 글에서는케이블 단면도 보는 법, 외경 계산 방법, 심선 배열 해석 포인트까지 실무 중심으로 정리해봅니다.1️⃣ 전선 단면도 기본 구성전선 도면은 보통 단면도 + 치수표 + 재질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단면도 구성요소 예시도체 (Conductor)연선 or 단선, 도금 여부절연체 (Insulation)색상 포함, 두께 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