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 54

60227 IEC 57. 제어 및 통신 회로용 전선 해설 - 규격 정보 #54.

60227 IEC 57 – 제어 및 통신 회로용 전선 해설“제어함에서 사용하는 전선도 따로 규격이 있다?”전등선, 콘센트선과는 다르게PLC, 센서, 제어기기 등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전선에는통신 안정성, 유연성, 작은 외경, 색상 구분 등 다양한 조건이 필요합니다.그 모든 것을 고려한 전선 규격이 바로60227 IEC 57, 즉 제어/통신 회로용 플렉시블 다심 전선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규격이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실제 어디에 어떻게 쓰이고, 감리나 견적에서 어떤 실수가 많은지하나하나 풀어보겠습니다.🧱 1. 기본 구조60227 IEC 57 전선은 일반적인 전원선과 달리극세 연선 + 절연 + 외피 + 다심 배열 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구성 요소내용도체Class 5 연선 (보통 0.5~1.0mm²..

60227 IEC 53. 연선 + 외피 구조 전선의 규격 해설 - 규격 정보 #53.

60227 IEC 53 – 연선 + 외피 구조 전선의 규격 해설“외피가 추가되면 그 전선은 어떤 쓰임새로 확장될까?”그동안 다뤘던 IEC 01과 52는 단심 또는 단절연 구조였지만,60227 IEC 53은 본격적으로 ‘케이블’의 형태로 들어가는 첫 번째 규격입니다.이 규격은 다심 연선 구조에 외피가 추가된,즉 하나 이상의 전선이 절연되고 다시 공통 외피로 감싸진 구조로 되어 있어시공 안정성, 유연성, 안전성까지 모두 고려된 대표적인 실내 전선 규격입니다.이번 글에서는 60227 IEC 53의 구조, 소재 기준, 사용 조건, 감리 대응 포인트까지이전보다 한 단계 복잡해진 규격의 핵심을 제대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기본 구조 및 설계 특징60227 IEC 53 전선은 기본적으로다심 구조 + 각 심선에 ..

60227 IEC 52. 연선 구조 플렉시블 전선 해설 - 규격 정보 #52.

60227 IEC 52 – 연선 구조 플렉시블 전선 해설“가장 많이 휘어지는 전선은 무엇일까?”연선구조의 바위에 보호성, 유연성이 추가되고 신속과 가장차 가능한 ‘기본형’ 플렉시블 전선…그 기준이 고정되어 있는 규격이 바로 60227 IEC 52입니다.가장 많이 발생하는 유연구조가 포함된 규격으로, 보통 건설 공사, 개별, 내부 기기관 및 간단 시공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플렉시블 전선 규격이라 보시면 됩니다.고정과 유연성, 건설적 시공성, 단가 보도 가능성 추구로 넘어가는 IEC 52 전선의 개념과 규격 관련 목차를 첫 포스트에서 종합적으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1. 기본 구조와 특징60227 IEC 52는 단심 전선이 아닌, 연선(Stranded) 구조를 가진 플렉시블(Flexible) 전선입니다...

60227 IEC 01. 단심 PVC 전선의 기본 규격 총정리 - 규격 정보 #51.

60227 IEC 01 – 단심 PVC 전선의 기본 규격 총정리“기본 중의 기본, 그러나 감리에서도 가장 자주 탈락하는 전선은?”익숙하지만 가장 많은 시공 현장에서 가장 많이 납품되는 PVC 전선, 60227 IEC 01. 그 단순함 이면에는 엄연한 구조 기준, 감리 요건, 인증 조건, 설계 포인트가 숨어있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이 시리즈 첫 규격으로 60227 IEC 01을 선택한 이유도 바로 그 때문입니다. 전선 공부를 처음 시작한다면 꼭 마주치는 이름, 그러나 생각보다 규격 이해가 쉽지 않았던 이 전선의 핵심을 처음부터 끝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60227 IEC 01이란?60227 IEC 01은 IEC(국제전기표준회의) 기준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PVC 절연 단심 전선 규격입니..

전선 포장 방식 총정리 (판넬, 코일, 릴별 특성과 적용) - 전선 생산, 설계 #50.

포장도 설계다. 적절한 포장 방식이 시공성과 물류비를 결정합니다전선을 납품할 때 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고민하게 되는 것이바로 이겁니다:“이 전선은 판넬로 출고할까요, 아니면 릴로 감을까요?”예전엔 “그냥 박스에 넣어 보내면 되지”라고 생각했지만,지금은 전선 포장 방식 하나로 시공 편의성, 감리 통과, 운송 안정성까지 달라진다는 걸 체감합니다.이번 글은판넬, 코일, 릴 포장의 차이와 적용 기준, 그리고 실무 선택 요령을 정리합니다.📦 전선 포장 방식 개요방식형태비고코일(Coil)둥글게 감은 뭉치100m 단위 등 소포장판넬(Pannel)나무판에 직선으로 감거나 쌓음설치 직전 배선 편리릴(Reel)나무/플라스틱 릴에 감은 형태장거리, 대용량 전선에 사용🌀 코일(Coil) 포장형태보통 100m 단위 둥근 뭉..

케이블 감리 탈락 사례 총정리 (도면, 외경, 인증 불일치 등 실수 모음) - 전선 생산, 설계 #49.

전선 하나로 공사 전체 지연될 수 있습니다.감리를 앞두고“전선은 인증 돼 있으니까 괜찮을 겁니다”라는 말을 쉽게 합니다.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전선 스펙서 하나로 납품이 거절되거나,설비 전체 지연되는 일이 비일비재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정리해 온 실사례 중심으로감리 탈락의 7가지 주요 원인을 나눠 소개합니다.❌ 사례 1. KC 인증 누락 or 기재 오류KC 인증 없음납품 자체 불가 (관급공사 기준)KC 번호 오류감리 시 인증번호 대조 실패 → 탈락해외인증만 존재UL/CE 있어도 국내 감리 무용📌 KC 인증서는 반드시 번호, 제품명, 규격까지 완벽 일치해야 합니다.❌ 사례 2. 외경 허용오차 초과설계 외경 7.2mm ±0.3mm → 납품 외경 7.7mm → 탈락 사유배관 설계 기준 불일치, 설계서 대비 명..

전선 설계 시 방수·방오 기준 고려법 / IP 등급, 피복 선택 전략 - 전선 생산, 설계 #48.

“전선이 물에 닿지만 않으면 되죠?” 그 생각은 설계 미스의 시작입니다제어반을 야외에 설치하거나,습기가 많은 지하실, 혹은 공장 라인 설비에 전선을 설치할 때다음과 같은 요청을 자주 받습니다:“방수 되는 전선으로 해주세요”“IP67 맞춰주세요”예전엔 “전선 겉에 비닐 씌워져 있는데요?”라고 생각했지만,지금은 피복 재질, 커넥터 구조, 절연 연장, 실링까지 전부 설계 범위에 포함된다는 걸 깨달았습니다.이번 글은전선 설계 시 방수(IP), 방오(Oil-resistant), 외피 선택 전략까지 실무적으로 정리합니다.💡 1. IP 등급이란?Ingress Protection: 고체/액체 침투에 대한 보호 등급표기 예시: IP65 / IP67 / IP68 등✅ IP 등급 구성첫 번째 숫자방진0~6 (6: 완전 방..

전선 색상조합 설계 팁, 2C~5C 전선용 색상 분배 방법 - 전선 생산, 설계 #47.

심선 색상만 잘 설계해도 감리 대응, 시공 편의성, 오류 방지까지 해결됩니다견적 요청서에“4C 전선인데 색상은 뭐로 할까요?”라는 질문이 들어오면 당황스럽지 않으셨나요?저도 처음엔 “그냥 대충 Red / Black / White / Green 하면 되지 않나…” 했는데요,지금은 설계 용도에 따라 색상 배치가 잘못되면 감리 불합격 또는 시공 오류로 이어진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이번 글에서는2C~5C 다심전선의 대표적인 색상 조합과 실무 적용 팁을 정리합니다.🎯 1. 전선 색상 분배의 목적배선 오류 방지설비 도면과 색상 일치접지선(Ground), 중성선(Neutral) 구분감리 및 점검 시 육안 식별성 확보📌 색상은 단순 미관이 아니라 설계 신뢰성과 안전성의 기초🎨 2. 대표 심선 색상 목록색상의미 /..

차폐 구조별 비교 / 나선형, 편조형, 드레인 방식 차이 - 전선 생산, 설계 #46.

잡음 많은 현장, 신호 깨지는 이유는 차폐 설계 때문입니다설비에서 센서 신호가 튀거나,PLC에서 통신 오류가 생기거나,공장 소음에 민감한 장비에 전선을 설치하려다 보면누구나 이런 말을 듣게 됩니다:“차폐선으로 바꾸셔야 해요.”예전엔 “차폐선이 뭐 특별한 전선인가?” 싶었는데,지금은 전선 내부 구조부터 설계 방식까지 차폐 구조에 따라 완전히 달라진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이번 글에서는나선형(SP), 편조형(Braided), 드레인 방식(Foil + Drain)의 차이점과 실무 적용법을 정리해봅니다.🧲 1. 차폐(Shielding)의 목적외부 전자파(EMI), 전자기 간섭(RFI), 유도 전류로부터 신호선 보호신호선 내부 잡음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도 방지통신, 계장, 제어, 센서, 오디오 전선에는 거의 필수..

전선 외경 계산법, 절연 + 외피 + 중심심 기준 계산 - 전선 생산, 설계 #45.

배관 설계, 커넥터 선택, 견적 산정까지… 전선 외경 하나로 결정됩니다설계서를 보다가 가장 흔히 마주치는 전선 조건 중 하나:“외경: Ø7.2 ±0.3mm”이 수치 하나 때문에 배관이 바뀌고,케이블 커넥터가 교체되고,심지어 전선 가격도 오르내립니다.이번 글에서는전선 외경(Overall Diameter, OD)이 어떻게 계산되는지,그리고 어떤 설계·시공·견적 요소에 영향을 주는지 전부 정리해보겠습니다.🔍 전선 외경(OD)이란?도체 + 절연 + 배열 구조 + 외피까지 포함한 전선의 전체 두께단위: mm표기 예시: “Ø6.5 ±0.3mm”📌 케이블 타입, 절연체, 외피 두께, 심선 수, 배열 방식에 따라 외경은 달라짐1️⃣ 단심선 외경 계산 (단일심 전선)✅ 공식외경 = 도체 외경 + (절연 두께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