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난연케이블 3

IEC 60332, 60754, 61034 해설 (난연, 저할로겐, 연기 밀도 기준 총정리) - 전선 인증 #31.

감리용 전선은 ‘전기 스펙’보다 ‘불에 얼마나 잘 버티냐’가 더 중요할 때가 많다전선 공부를 하다 보면 감리나 납품요건에서 자주 마주치는IEC 60332 / IEC 60754 / IEC 61034이 세 가지 기준은전기 성능이 아니라, 화재 시 ‘얼마나 안전한가’를 보는 기준입니다.이번 글은전선의 난연성, 유독가스 방출, 연기 밀도를 판단하는국제 기준 3종을 실무 관점에서 정리해봅니다.🔥 1. IEC 60332 – 난연 시험📌 목적전선이 불에 얼마나 잘 견디는가를 시험📎 종류시험내용기준60332-1단심 케이블 1가닥 시험540mm 이하 연소60332-2굵은 단선용보완60332-3다심 다발 시험화염 확산성 판단A, B, C, D, E, F 등급 → A가 가장 높은 난연 등급감리에서는 일반적으로 IEC ..

LSZH vs FR-PVC 어떤 케이블이 더 친환경일까? - 전선 용어 #02.

현장에서 “이건 LSZH인가요? 아니면 FR-PVC인가요?”라는 질문을 종종 듣습니다.둘 다 난연 케이블이긴 한데, 소재 구성과 연기/유독성 수준에서 큰 차이가 있어요.🔍 LSZH와 FR-PVC의 차이는?구분 LSZH (Low Smoke Zero Halogen) FR-PVC (Flame Retardant PVC) 난연성뛰어남보통 ~ 우수연기 발생량매우 낮음많음유독가스 (할로겐)거의 없음다량 발생냄새무취에 가까움자극적화재 시 시야 확보용이제한적가격상대적으로 높음보급형 저가📌 LSZH는 말 그대로Low Smoke = 연기 적음Zero Halogen = 염소/불소 등 유해 할로겐 無에 초점을 둔 케이블입니다. 반면 FR-PVC는 PVC 소재 자체에 난연제를 첨가한 방식으로, 어느 정도 불에 잘 버티지만 ..

HFFR란? 무할로겐 난연 소재의 정석 - 전선 용어 #01.

요즘 현장에서 LSZH 케이블, 친환경 전선, 무독성 재질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되죠.그 중심에 있는 용어가 바로 HFFR, 즉 Halogen-Free Flame Retardant입니다.🧪 HFFR란 무엇인가요?HFFR은 말 그대로 할로겐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난연성을 가진 소재를 뜻해요.보통 케이블의 절연재나 외피로 사용되며, 불이 붙어도 유독가스나 부식성 가스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어요.🔥 PVC와의 차이는?항목일반 PVCHFFR (LSZH)연소 시 연기많음매우 적음유독가스염소 등 다량 발생거의 없음냄새자극적무취에 가까움난연 성능보통우수가격저렴다소 높음PVC는 값은 싸지만 화재 시 염화수소(HCl) 같은 유독 가스를 방출해요.반면 HFFR은 화재 발생 시 피난, 소방 활동에 유리하고, 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