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생산 및 설계 정보

절연 두께 기준 정리 (KS/IEC별 최소두께 비교) - 전선 생산, 설계 #43.

Wired Grafia 2025. 4. 21.

절연 두께 0.6mm와 0.8mm, 이게 왜 단가에 큰 차이를 만들까?


전선을 견적하거나 감리 대응을 하다 보면
종종 절연 두께 0.6mm vs 0.8mm 같은 표기 차이를 만납니다.

예전엔 “두꺼우면 더 좋지 않나?” 했는데, 지금은 알죠.
절연 두께는 안전성과 제조 단가, 감리 통과율까지 좌우하는 핵심 사양이라는 걸요.

이번 글에서는
KS, IEC 등 대표 규격에서 요구하는 최소 절연 두께 기준,
그리고 실무에서 이 두께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 절연 두께란?

  • 도체를 감싸 전기적 절연을 제공하는 피복층의 두께
  • 보통 mm 단위 (e.g. 0.6mm, 0.8mm)
  • 기준은 전압, 단면적, 사용 용도에 따라 결정

📊 KS / IEC 기준 절연 두께 (예시)

전선 종류 정격 전압 규격 예시 최소 절연 두께 (mm)
KS C IEC 60227-3 300/500V 60227 IEC 53 0.6mm
KS C IEC 60227-4 450/750V 60227 IEC 52 0.8mm
IEC 60245-4 450/750V 고무절연 전선 1.0mm 이상
UL Style 1015 600V PVC 절연 0.76mm
UL Style 1007 300V 얇은 PVC 절연 0.41mm

📌 감리나 품질검사에서 0.6mm 기준 제품에 0.4~0.5mm 절연 두께 나오면 탈락입니다!


🧪 절연 두께 측정은 어떻게 하나요?

측정 도구 내용
마이크로미터 절연 두께 직접 측정
절단면 분석기 도체+절연 정밀측정
정밀 슬라이서 연단면 샘플 제작

📌 감리 시 ‘3~5점 평균값 + 최소값 허용오차’ 기준 적용됨


⚠️ 얇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다

항목 얇은 절연 두꺼운 절연
장점 유연성, 원가 절감 기계적 보호, 절연 신뢰성
단점 기계적 약함, 감리 불이익 외경 커짐, 굽힘성 저하
적용처 기기 내 배선, 단선 외부 배선, 설치형 설비

📌 특히 전동기 배선, 고정 배선, 감리 대상 제품은 최소 두께 기준 절대 지켜야 함


🏗️ 실무 팁: 절연 두께 = 외경 = 배관 설계까지 연결됨

  • 절연 두께 0.6mm → 외경 6.5mm
  • 절연 두께 0.8mm → 외경 7.5mm
    배관 통과 수량이 1~2가닥 차이 날 수 있음

📌 설계 단계에서부터 전선 외경 고려 필수!


🧠 절연 두께에 따른 가격 차이

  • 보통 0.1mm 두께 증가 시 원가 3~7% 상승
  • 이유:
    • 압출 재료 사용량 증가
    • 냉각 시간 증가
    • 인쇄선명도 확보 위한 품질관리 추가

📌 “단가 낮추고 싶어요” → 절연 두께를 깎자는 제안은 위험합니다!


🧾 정리하면서 느낀 포인트

예전엔 그냥 “두꺼운 게 낫지”라고 생각했지만,
지금은 용도·규격·감리기준에 따라 절연 두께가 최적화돼야 한다는 걸 명확히 알게 됐습니다.

📌 요약하자면:

  • 절연 두께는 전압, 규격, 구조에 따라 표준이 정해져 있음
  • KS/IEC 기준 아래로 절연이 얇으면 감리 불합격
  • 외경/유연성/배관 설계/단가까지 절연 두께 하나가 좌우함
  • 설계, 제조, 견적, 감리 대응 시 절연 두께 기준 준수가 핵심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