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선 수’보다 더 중요한 건, ‘어떻게 꼬였느냐’입니다
“2.5SQ 짜리 전선이면 다 똑같죠?”
예전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실제 전선을 만져보면 어떤 건 딱딱하고, 어떤 건 부드럽게 휘고,
어떤 건 살짝 꼬여 있고, 또 어떤 건 손에 감길 정도로 유연합니다.
그 차이를 만드는 핵심이 바로
도체 연선 구조 (Stranding Class)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Class2, Class5, Twisted Pair 등 주요 연선 구조의 특징, 용도, 단가 차이를 정리해드립니다.
🧩 1. 연선이란?
- 연선 = 여러 가닥의 얇은 동선을 꼬아서 하나의 전선으로 만드는 구조
- 목적: 유연성 확보 + 피로 강도 향상 + 손상 방지
- 종류: Class2 (보통 연선), Class5 (유연 연선), Twisted Pair 등
📌 같은 단면적(2.5SQ)이라도
연선 구조에 따라 외경, 단가, 유연성, 전류 용량이 달라집니다.
🔍 2. Class2 vs Class5 비교
항목 | Class2 | Class5 |
구조 | 보통 연선 (7~19심) | 유연 연선 (30심 이상) |
유연성 | 중간 | 매우 좋음 |
용도 | 고정배선, 판넬 | 이동형 배선, 설비 연결 |
외경 | 작음 | 약간 큼 |
단가 | 낮음 | 약 5~15% 상승 |
감리대응 | KS 규격 기준 채택 | 일부 제품만 명기 |
전류허용 | 동일 | 동일 or 약간 우수 (방열 조건) |
📌 Class5는 기계설비, 로봇, 움직이는 부위에 필수입니다.
🔀 3. Twisted Pair 구조 (TP선)
정의 | 두 가닥 이상을 일정 간격으로 서로 꼬아서 구성 |
목적 | 신호 간섭 방지, 노이즈 억제 |
적용 | RS-485, 통신선, 센서선 등 |
구성 방식 | 2P, 4P, 8P 등 (Pair 수 기준) |
추가 차폐 | Foil or Braid 차폐 추가 가능 |
📌 TP선은 도체 자체의 연선 + 심선 간 트위스트 이중 구조로 설계됩니다.
🔧 연선 수 예시 (2.5SQ 기준)
Class | 구성 예시 | 특징 |
Class2 | 7/0.67mm | 저가, 보급형 |
Class5 | 50/0.25mm | 유연, 이동부용 |
TP선 | 2C x 0.5SQ (twisted) | 통신간섭 억제 |
🧠 실무 적용 팁 (추천 연선 구조)
고정 배선 | Class2 |
기계 내부, 제어함 | Class5 |
로봇, 이동설비 | Class5 or 고유연선 |
통신, 신호 배선 | Twisted Pair |
감리 대응 | 도면상 Class 표기 필수 여부 체크 |
📌 일부 감리에서 Class5 제품을 Class2로 납품하면 불합격 처리됩니다!
→ 도면/스펙서에 명확히 표기 필요
🧾 정리하면서 느낀 포인트
예전엔 “어차피 2.5SQ니까 다 똑같은 선이지 뭐” 했지만,
지금은 구조만 봐도 ‘이건 어디에 써야 할지’ 감이 옵니다.
📌 요약하자면:
- Class2 = 보통 연선 (고정 배선에 사용)
- Class5 = 유연 연선 (이동 부위나 연결용에 필수)
- Twisted Pair = 통신용 노이즈 억제 전선 구조
- 전선 구조는 외경, 단가, 용도, 감리 적합성까지 좌우한다
- 스펙서에 연선 등급(Class) 표기 여부 확인 필수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 > 생산 및 설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선 외경 계산법, 절연 + 외피 + 중심심 기준 계산 - 전선 생산, 설계 #45. (0) | 2025.04.21 |
---|---|
케이블의 연신율과 인장강도, 소재 성능 기준 이해하기 - 전선 생산, 설계 #44. (0) | 2025.04.21 |
절연 두께 기준 정리 (KS/IEC별 최소두께 비교) - 전선 생산, 설계 #43. (0) | 2025.04.21 |
케이블 설계도면 해석법(단면구조, 외경계산, 심선배열 보기) - 전선 생산, 설계 #41. (0) | 2025.04.20 |
전선 제조공정 총정리 (압출, 연선, 시험까지 한눈에 보기) - 전선 생산, 설계 #40.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