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은 그냥 말아서 나오는 줄 알았는데…” 생각이 바뀌는 순간
전선을 오래 만지다 보면 한 번쯤 이런 궁금증이 생깁니다:
“이건 대체 공장에서 어떻게 만드는 걸까?”
저도 처음엔 “구리선에 고무 입히는 거 아닌가?” 정도로 막연하게만 알았는데요,
공정을 하나하나 살펴보니
도체 가공, 연선, 압출, 냉각, 시험, 절단, 포장까지 단계마다 기술이 꽤 정교하게 들어간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선의 일반적인 제조 공정을 순서대로,
핵심 장비와 주의 포인트 중심으로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1️⃣ 도체 가공 (Drawing)
목적 | 동봉 또는 동판을 원하는 굵기로 가늘게 늘림 |
장비 | 연속 인발기 (Drawing Machine) |
포인트 | 인장력, 표면 균일성, 연신율 관리 중요 |
📌 8mm 동봉 → 1.0mm, 0.5mm 등으로 가공됨
2️⃣ 연선 (Stranding)
목적 | 가는 구리선을 여러 가닥 꼬아 유연한 전선 만들기 |
장비 | 연선기 (Bunching Machine), 편조기 (Braiding Machine) |
방식 | 단심(Solid) / 연선(Class 5) / 동축 / 나선형 |
📌 연선 정도에 따라 전선의 유연성, 굽힘 반경이 달라집니다.
3️⃣ 압출 (Extrusion)
목적 | 도체 위에 절연체 또는 외피를 입힘 |
장비 | 압출기 (Extruder), 금형 (Die), 냉각수조 |
소재 | PVC, XLPE, 고무, LSZH 등 |
단계 | 절연 압출 → 냉각 → 외피 압출 → 냉각 |
📌 압출 온도, 속도, 냉각시간이 제품 품질에 결정적입니다.
4️⃣ 시험 (Testing)
내전압 시험 | 전압을 인가해 절연 파괴 여부 측정 |
도체 저항 | 규격에 맞는 저항값 측정 |
외경·두께 측정 | 압출 후 규격 확인 |
연소시험 | 난연 성능 측정 (IEC 60332 등) |
📌 국내 납품용은 KS 기준, 수출용은 UL/IEC 시험 기준에 따라 다르게 진행됩니다.
5️⃣ 절단 및 포장 (Cutting & Packing)
절단 | 100m, 300m, 500m 단위 자동 절단 |
포장 | 릴, 코일, 판넬 등으로 포장 |
라벨 인쇄 | 제품명, 규격, 제조일자, 인증번호 포함 |
품질표기 | KC, UL, CE, RoHS 마크 등 필수 정보 인쇄 |
📌 감리 대응을 위해 외피 인쇄 샘플, 라벨샘플도 함께 보관해야 합니다.
🔁 전체 공정 요약 흐름도
동봉 → 인발 → 연선 → 절연 압출 → 외피 압출 → 냉각 → 시험 → 절단 → 포장 → 출하
이 과정은 제품에 따라 생략되거나 추가되기도 합니다.
(예: 단심선은 연선 없음 / 차폐선은 편조 공정 추가)
🧠 실무 체크포인트
- 압출 품질 = 외경, 절연 두께, 인쇄 선명도에 직접 영향
- 도체 정밀도 = 저항값 품질, 전류 용량의 핵심
- 시험성적서가 필요한 공사는 출고 전 공장시험 포함 여부 확인 필요
- 수출용 제품은 국제기준 + 포장규격 + 마크 조건까지 다르게 준비해야 함
🧾 정리하면서 느낀 포인트
예전엔 전선이 그냥 덩어리처럼 찍혀 나오는 줄 알았는데,
지금은 공정마다 세세한 기술과 기준이 들어간다는 걸 제대로 체감합니다.
📌 요약하자면:
- 전선 제조공정은 도체 → 압출 → 시험 → 포장까지 단계별 기술 집약
- 각 단계에 필요한 장비와 인력, 품질기준이 다름
- 납품·수출·감리 대응을 위해 제조공정의 이해는 필수
- 완성된 전선 한 줄에 수십 개 공정과 수백 개 기준이 녹아있다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 > 생산 및 설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선 외경 계산법, 절연 + 외피 + 중심심 기준 계산 - 전선 생산, 설계 #45. (0) | 2025.04.21 |
---|---|
케이블의 연신율과 인장강도, 소재 성능 기준 이해하기 - 전선 생산, 설계 #44. (0) | 2025.04.21 |
절연 두께 기준 정리 (KS/IEC별 최소두께 비교) - 전선 생산, 설계 #43. (0) | 2025.04.21 |
도체 연선의 종류 (Class2, Class5, Twisted Pair 구조 차이) - 전선 생산, 설계 #42. (0) | 2025.04.21 |
케이블 설계도면 해석법(단면구조, 외경계산, 심선배열 보기) - 전선 생산, 설계 #41.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