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케이블블로그 20

Twisted Pair란? 신호선은 왜 꼬아야 할까? - 전선 용어 #12.

이더넷, 통신선, 제어선, RS-485…이런 케이블들의 사양서를 보면 꼭 등장하는 말이 있습니다.바로 “Twisted Pair (TP)”, 즉 꼬임쌍선이죠.그렇다면 전선을 굳이 꼬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Twisted Pair란?Twisted Pair = 두 개의 도체를 일정한 피치로 꼬아 만든 구조입니다.이렇게 꼬는 이유는 딱 하나, 바로 노이즈를 서로 상쇄시키기 위해서입니다.📌 간섭을 줄이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 설계입니다!⚡ 왜 꼬아야 하나요?전류가 흐르는 도체 주변에는 항상 자기장(EMI)이 생기는데,두 가닥을 서로 일정하게 꼬아주면→ 같은 양의 노이즈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유도되며 상쇄됩니다.📶 이 원리는 차동 신호 (Differential Signal)에서도 핵심이에요.📊 주요 특..

Drain Wire란? 숨어 있는 제3의 도체 - 전선 용어 #11.

케이블 단면을 잘라보면, 차폐층 옆에 꼭 따라붙는 가느다란 단심선 하나 보신 적 있으시죠?바로 오늘의 주인공, Drain Wire (드레인 와이어)입니다.한 가닥뿐인데, 실은 EMI 방지, 접지, 시공 편의성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해요.🧪 Drain Wire란?Drain Wire = 접지선 또는 접속 보조선주로 Foil 차폐가 있는 케이블 안에 삽입되며, 차폐층(금속막)의 접지 경로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주석도금 연선 (TINNED COPPER WIRE) 형태로,알루미늄 Foil 차폐 바로 아래 깔려 있어요.⚡ 왜 필요한가요?Foil Shield는 얇고 넓은 금속막이라 자체적으로 접지 단자에 연결하기 어렵습니다.이때 Drain Wire가 차폐층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Drain ..

CVV와 VCT 둘 다 유연한데 뭐가 다를까? - 전선 용어 #09.

실무에서 가장 헷갈리는 전선 조합 중 하나,바로 CVV vs VCT입니다.둘 다 멀티코어고, 둘 다 유연하게 생겼고, 심지어 둘 다 0.6/1kV까지 커버 가능해 보이죠.하지만 엄연히 다른 구조와 용도 차이가 있습니다.📦 기본 정의항목CVVVCT정식 명칭Control Vinyl-VinylVinyl Cabtyre Cable절연재PVCPVC외피재PVCPVC전압등급보통 0.6/1kV0.6/1kV 또는 저전압도체 구조가는 연선 or 편조연선 (Cabtyre 구조) – 고유연성유연성중간매우 유연굴곡 적용정배선/고정 배선이동형 기계·케이블 캐리어용규격KS C IEC 60227KS C 3312 등🧪 구조 차이 핵심CVV는 말 그대로 컨트롤(제어)용 전선입니다.대부분의 산업 제어 시스템, 고정 배선에 적합해요.VC..

OD(Outside Diameter)이란? 전선 외경의 모든 것 - 전선 용어 #08.

전선 견적을 내거나 배관, 타공을 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하는 수치 중 하나가 OD입니다.“이 전선 외경이 몇 Ø인가요?”“배관에 몇 가닥 들어갈 수 있나요?”이런 질문이 나올 때 바로 필요한 개념이죠.📏 OD란?OD = Outside Diameter말 그대로 전선의 외부 지름(외경)을 의미합니다.도체, 절연, 충진재, 외피까지 모든 레이어를 포함한 최종 직경이에요.📌 단위는 보통 mm 또는 Ø (예: Ø5.2mm)🧪 OD는 왜 중요한가요?배관 설계: 전선 외경 × 가닥 수 = 덕트 크기 결정커넥터 호환: 케이블 글랜드, 방수 커넥터 등중량 계산: 외경에 따라 m당 무게 변화굴곡 반경 계산: OD × 계수 = 최소 곡률 반경 기준📦 실무 예시2.5sq × 3C 케이블일반 VCT: OD 약 9~10m..

AWG vs SQ / 미국식 vs 유럽식 도체 단면적 비교 - 전선 용어 #07.

전선 스펙을 보다 보면 도체 굵기를 표시할 때AWG 또는 SQ(mm²) 단위를 사용합니다.하지만 이 두 단위는 기준이 완전히 달라서 헷갈리기 쉽죠.오늘은 미국식 도체 단위인 AWG와 국제 표준 SQ 단위를 비교해볼게요.🧪 AWG란?AWG = American Wire Gauge미국식 전선 굵기 규격입니다.숫자가 작을수록 굵은 전선숫자가 클수록 얇은 전선예: AWG 10 > AWG 20 > AWG 30※ 동일한 차수라도 실측 굵기는 표준 규격표를 따라야 합니다.🧪 SQ(mm²)란?SQ = 단면적 mm²유럽, 한국, 국제 표준 IEC에서 사용하는 단위입니다.숫자가 클수록 굵은 전선예: 0.5sq 📏 이 값은 실제 도체 단면적(mm²) 을 기준으로 합니다.📊 AWG vs SQ 비교표 (주요 구간)AWG ..

EPDM이란? 고무계 절연의 끝판왕 - 전선 용어 #05.

오늘은 플렉서블 전선에서 자주 보이는 EPDM이라는 소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특히 고무계 절연재 중에서도 가장 내열성과 유연성이 뛰어나기로 유명하죠.🧪 EPDM이란?EPDM =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에틸렌-프로필렌 고무로 만든 합성 고무 소재입니다.전선에서는 주로 절연재 혹은 외피재로 사용돼요.🔥 EPDM의 특징은?항목내용내열성최대 120℃ 이상 견딤유연성낮은 온도에서도 잘 구부러짐내오존성탁월내유성보통 (NBR에 비해 떨어짐)난연성별도 처리 시 가능내수성뛰어남 (습기·물기 강함)📦 특히 실외 환경, 모터용 케이블, 이동형 장비 등진동과 움직임이 많은 환경에서 제 역할을 톡톡히 해냅니다.🛠️ 실무 적용 예시H07RN-F: 대표적인 EPDM 고무 절연 전선용접기,..

PVC란? 가장 흔한 전선 절연재, 하지만 과연 무난할까? - 전선 용어 #04.

전선을 조금만 공부해보면 무조건 마주치게 되는 소재, 바로 PVC입니다.절연재/외피재로 가장 많이 쓰이지만, 의외로 장단점이 뚜렷한 소재예요.오늘은 그 흔한 PVC를 진지하게 한번 들여다봅니다.🔍 PVC란?PVC = Polyvinyl Chloride (폴리염화비닐)플라스틱의 일종이며, 전선에서는 절연 또는 외피 소재로 사용됩니다.📦 주요 특징:저렴하고 가공성이 좋음기본적인 절연 성능과 내구성색상 구현 및 마킹이 쉬움난연제 첨가로 일정 수준의 방염 가능📊 장점 vs 단점 비교항목장점단점비용매우 저렴함–가공성유연하고 만들기 쉬움–내열성보통 (~70℃)고온 환경에 취약연기/유독가스난연은 가능불에 타면 염소가스 발생환경성범용성 높음할로겐 포함 – 친환경 규제에 불리💡 불에 타면 염화수소(HCl)와 같은 ..

XLPE란? 고온에 강한 절연재의 대표주자 - 전선 용어 #03.

전선 스펙을 보다 보면 자주 보이는 소재 중 하나가 XLPE입니다.“이건 XLPE 절연이야”라는 말, 실무자라면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거예요.그렇다면 XLPE는 도대체 무엇일까요?🧪 XLPE란?XLPE = Cross-Linked Polyethylene,즉, “가교(架橋)된 폴리에틸렌”을 뜻합니다.일반 PE(폴리에틸렌)에 화학적 가교(결합)을 추가하여 열에 강하게 만든 소재예요.항목일반PEXLPE내열성약함 (70℃ 이하)강함 (90~105℃, 경우에 따라 125℃까지)유연성부드러움다소 단단함전기적 특성우수우수수명보통김🔥 왜 XLPE를 쓰나요?📌 주요 장점: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절연 성능전기적 특성 우수 + 절연 내전압 뛰어남내화학성 / 내오존성 / 내습성 탁월장기 수명 (20년 이상도 가능)🧯 그래서..

LSZH vs FR-PVC 어떤 케이블이 더 친환경일까? - 전선 용어 #02.

현장에서 “이건 LSZH인가요? 아니면 FR-PVC인가요?”라는 질문을 종종 듣습니다.둘 다 난연 케이블이긴 한데, 소재 구성과 연기/유독성 수준에서 큰 차이가 있어요.🔍 LSZH와 FR-PVC의 차이는?구분 LSZH (Low Smoke Zero Halogen) FR-PVC (Flame Retardant PVC) 난연성뛰어남보통 ~ 우수연기 발생량매우 낮음많음유독가스 (할로겐)거의 없음다량 발생냄새무취에 가까움자극적화재 시 시야 확보용이제한적가격상대적으로 높음보급형 저가📌 LSZH는 말 그대로Low Smoke = 연기 적음Zero Halogen = 염소/불소 등 유해 할로겐 無에 초점을 둔 케이블입니다. 반면 FR-PVC는 PVC 소재 자체에 난연제를 첨가한 방식으로, 어느 정도 불에 잘 버티지만 ..

HFFR란? 무할로겐 난연 소재의 정석 - 전선 용어 #01.

요즘 현장에서 LSZH 케이블, 친환경 전선, 무독성 재질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되죠.그 중심에 있는 용어가 바로 HFFR, 즉 Halogen-Free Flame Retardant입니다.🧪 HFFR란 무엇인가요?HFFR은 말 그대로 할로겐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난연성을 가진 소재를 뜻해요.보통 케이블의 절연재나 외피로 사용되며, 불이 붙어도 유독가스나 부식성 가스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어요.🔥 PVC와의 차이는?항목일반 PVCHFFR (LSZH)연소 시 연기많음매우 적음유독가스염소 등 다량 발생거의 없음냄새자극적무취에 가까움난연 성능보통우수가격저렴다소 높음PVC는 값은 싸지만 화재 시 염화수소(HCl) 같은 유독 가스를 방출해요.반면 HFFR은 화재 발생 시 피난, 소방 활동에 유리하고, 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