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L 인증만 봐도 ‘이 전선이 어디까지 쓸 수 있는지’ 보입니다
전선 견적서나 기타 관련 문서에서
“UL 인증 있음”, “UL Style No. 1015”, “UL VW-1 통과”…
이런 표현들 많이 보셨을 거예요.
전엔 저도 ‘UL 있으면 그냥 괜찮은 거지’ 정도로 넘겼는데,
공부해보니 UL 인증의 구조와 표기법을 알면 전선 스펙을 완전히 해석할 수 있게 되더라고요.
이번 글에서는 UL 인증의 기본 개념, Style No. 읽는 법,
온도·전압 조건 해석법, VW-1 같은 부가기호의 의미까지 전부 정리해보겠습니다.
✅ UL 인증이란?
- UL = Underwriters Laboratories
- 미국의 대표적인 안전 인증기관
- 전선뿐만 아니라 모든 전기전자 부품의 안전기준을 제시
- UL 인증을 받았다는 것은
→ UL 기준의 재질, 절연 두께, 내전압, 난연성을 만족했다는 뜻
📌 UL 인증은 제품 하나하나에 부여되는 게 아니라,
UL에 등록된 ‘Style No.’ 규격대로 제조된 제품만 쓸 수 있습니다.
🧾 UL 인증의 구조 – Style No. 체계
전선에 UL 인증이 적용되었다는 뜻은
해당 Style No.에 명시된 조건을 만족한다는 의미입니다.
항목 | 내용 |
Style No. | 1015, 2464, 2586 등 |
정격 전압 | 300V, 600V, 1000V 등 |
정격 온도 | 60℃, 80℃, 105℃, 125℃ 등 |
절연체 | PVC, XLPE, FEP 등 |
도체 구조 | 연선, 단선, 도금선 등 |
용도 구분 | 내부배선용(Wiring), 기기용(Appliance), 리드선(Lead) 등 |
🔍 예시 ①: UL Style No. 1015
- 정격 전압: 600V
- 정격 온도: 105℃
- 절연체: PVC
- 도체: 연선 or 단선
- 용도: 일반 내부 배선용
📌 가장 많이 쓰이는 산업용 기본 전선 중 하나입니다.
대부분의 기기 내 배선, 제어반, 패널 내부에 사용 가능.
🔍 예시 ②: UL Style No. 2464
- 정격 전압: 300V
- 온도: 80℃
- 구조: 차폐 포함 멀티심 전선
- 용도: 통신선, 제어선, 신호선
📌 “UL2464 적용 케이블”이라고만 써 있어도,
→ 구조, 절연, 난연성 기준이 다 정해져 있음을 의미합니다.
🔥 부가기호 해석: VW-1, FT1, FT2 등
- UL VW-1: 불꽃 시험 통과 (Flame Test)
- CSA FT1/FT2: 캐나다 기준 난연 시험 통과
- AWM (Appliance Wiring Material): 가전 내부배선용 인증 그룹
- CMR / CMP: 건물 통신선 인증 등급 (케이블 종류 따라)
📌 VW-1 표기가 있으면 난연 성능 보장이기 때문에 감리에서 매우 중요하게 봅니다.
🧠 실무 적용 예시
- UL Style No.가 적힌 전선은
→ 규격·절연·온도·전압 기준을 충족했음을 증명 - 감리 서류 제출용 → Style No. + UL 파일번호(File No.) 함께 기재
- 수출 제품 설계 시 → 해당 국가 요구 Style 기준 확인 필수
- VW-1 없는 UL 전선은 일반 현장에선 감리 탈락 가능성 있음
📁 UL 인증 번호 예시 리스트 (자주 등장하는 것만)
Style No. | 내용 |
1015 | 600V / 105℃ / PVC 절연 / 내부 배선 |
1007 | 300V / 80℃ / 얇은 PVC / 가전용 |
2464 | 300V / 멀티심 + 차폐 / 제어통신용 |
20276 | 30V / USB케이블 / 고급 차폐 |
3271 | 150℃ / 고온용 실리콘 전선 |
🧾 정리하면서 느낀 포인트
이제는 ‘UL 인증 있음’이 아니라
“UL 몇 번 Style이고, 온도 몇도까지 버티고, 전압은 몇V인가”를 확인하게 됐습니다.
📌 요약하자면:
- UL 인증은 Style No. 기준으로 전선 구조를 정의
- 정격 전압/온도/절연체 모두 Style마다 고정
- VW-1, FT1 등 부가기호는 ‘난연성’ 확인 포인트
- 감리/수출용 전선은 UL File No.와 Style No. 명기 필수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 > 인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HS & REACH, 환경 인증이 전선 단가에 미치는 영향 - 전선 인증 #35. (0) | 2025.04.19 |
---|---|
UL, CPR, KS, IEC / 미국·유럽·한국 전선 인증 체계 비교표 - 전선 인증 #34. (0) | 2025.04.19 |
CPR 인증 정리 / 유럽형 전선 반응등급 B2ca, Cca 해석법 - 전선 인증 #33. (0) | 2025.04.19 |
LSZH vs FR-PVC vs HFFR (난연 소재 비교와 선택 전략) - 전선 인증 #32. (0) | 2025.04.19 |
IEC 60332, 60754, 61034 해설 (난연, 저할로겐, 연기 밀도 기준 총정리) - 전선 인증 #31.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