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생산 및 설계 정보

차폐 구조별 비교 / 나선형, 편조형, 드레인 방식 차이 - 전선 생산, 설계 #46.

Wired Grafia 2025. 4. 21.

잡음 많은 현장, 신호 깨지는 이유는 차폐 설계 때문입니다


설비에서 센서 신호가 튀거나,
PLC에서 통신 오류가 생기거나,
공장 소음에 민감한 장비에 전선을 설치하려다 보면
누구나 이런 말을 듣게 됩니다:

“차폐선으로 바꾸셔야 해요.”

예전엔 “차폐선이 뭐 특별한 전선인가?” 싶었는데,
지금은 전선 내부 구조부터 설계 방식까지 차폐 구조에 따라 완전히 달라진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나선형(SP), 편조형(Braided), 드레인 방식(Foil + Drain)의 차이점과 실무 적용법을 정리해봅니다.


🧲 1. 차폐(Shielding)의 목적

  • 외부 전자파(EMI), 전자기 간섭(RFI), 유도 전류로부터 신호선 보호
  • 신호선 내부 잡음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도 방지
  • 통신, 계장, 제어, 센서, 오디오 전선에는 거의 필수

🔁 2. 나선형 차폐 (Spiral Shield)

구조 얇은 동선이나 알루미늄 와이어를 나선형으로 감음
장점 유연성 우수, 가벼움
단점 차폐율 낮음 (60~80%)
적용 마이크로폰, 오디오, 저전력 회로

📌 굴곡 많은 장비에 유리하지만, EMC 대응은 다소 약합니다.


🧵 3. 편조형 차폐 (Braided Shield)

구조 동선(또는 주석도금선)을 촘촘히 그물처럼 엮음
장점 기계적 강도 높고, 차폐 성능 우수 (80~95%)
단점 무겁고, 외경 증가
적용 제어선, 계장선, 산업용 통신선

📌 통상적으로 ‘차폐선’ 하면 이 방식을 말합니다.


🧻 4. 드레인 와이어 + 알루미늄 Foil 차폐

구조 알루미늄 Foil로 심선을 감싸고, 드레인선 추가
장점 경량, 제조 간편, 높은 고주파 차폐 효과
단점 기계적 강도 낮음, 접지 연결 필수
적용 RS485, Ethernet, 신호선, 통신케이블

📌 EMC 인증, CE 대응에 자주 쓰이며, 간섭 방지 성능 탁월


📊 차폐 구조 비교 요약

항목 Spiral Braided Foil + Drain
차폐율 보통 (60~80%) 높음 (80~95%) 매우 높음 (95~99%)
유연성 우수 중간 우수
무게 가벼움 무거움 가벼움
외경 영향 적음 적음
가격 저렴 보통~고가 보통
기계적 강도 낮음 높음 낮음
사용처 오디오, 가정용 산업용, 제어함 통신선, EMC 대응

🧠 실무 적용 팁 (조건별 추천 차폐 방식)

PLC, IO 신호선 Braided or Foil+Drain
RS-485 통신 Foil + Drain
신호 노이즈가 심한 환경 Braided 90% 이상
반복 굽힘, 이동 전선 Spiral
EMC 대응 설계 Foil + Drain 구조 + 접지선 연결 필수
감리 대응 필요 시험성적서 포함된 구조로 납품 필요

📌 차폐 방식 선택은 단순히 “차폐 있음/없음” 문제가 아니라 구조 선택 문제입니다.


🧾 정리하면서 느낀 포인트

이전엔 ‘차폐선이 좀 비싸다’는 정도만 알았지만,
지금은 구조가 바뀌면 신호 품질, 설치성, 가격, 감리까지 전부 달라진다는 걸 체감합니다.

📌 요약하자면:

  • 차폐선은 전자파 차단, 신호 보호, EMC 대응용 구조 적용 전선
  • 나선형: 유연하고 가볍지만 차폐율 낮음
  • 편조형: 강하고 차폐율 높지만 무거움
  • Foil+Drain: 고주파 차폐 우수, CE/EMC 대응 필수
  • 적용처, 굴곡, 간섭 조건에 따라 구조 선택 필요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