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전선차폐구조 2

UL1185. 마일라 차폐 단심 전선 구조 해설 - 규격 정보 #66.

UL1185 – 마일라 차폐 단심 전선 구조 해설UL758 기준의 전선들 중에서,“단심인데도 차폐(Shield)가 들어가는 전선”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이번에 정리한 UL1185는 바로 그런 전선입니다.일반적인 UL1007이나 UL1015처럼 단심이긴 하지만,알루미늄 마일라 테이프 차폐 구조가 포함된 단심 전선이죠.실제로 이 전선은📺 오디오, 🎧 영상, 📡 통신 회로에서 신호 간섭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며,PCB 간 연결, 보드 투 보드(Board to Board) 연결 등에서 자주 등장합니다.이번 66편에서는 UL1185의전체 구조, 차폐 방식, 정격, 외피 인쇄 요건, 감리 대응 요령까지정리해서 공유해보겠습니다.🧱 1. UL1185 전선의 정의UL1185는 UL758 AWM 전선 중 하..

차폐 구조별 비교 / 나선형, 편조형, 드레인 방식 차이 - 전선 생산, 설계 #46.

잡음 많은 현장, 신호 깨지는 이유는 차폐 설계 때문입니다설비에서 센서 신호가 튀거나,PLC에서 통신 오류가 생기거나,공장 소음에 민감한 장비에 전선을 설치하려다 보면누구나 이런 말을 듣게 됩니다:“차폐선으로 바꾸셔야 해요.”예전엔 “차폐선이 뭐 특별한 전선인가?” 싶었는데,지금은 전선 내부 구조부터 설계 방식까지 차폐 구조에 따라 완전히 달라진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이번 글에서는나선형(SP), 편조형(Braided), 드레인 방식(Foil + Drain)의 차이점과 실무 적용법을 정리해봅니다.🧲 1. 차폐(Shielding)의 목적외부 전자파(EMI), 전자기 간섭(RFI), 유도 전류로부터 신호선 보호신호선 내부 잡음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도 방지통신, 계장, 제어, 센서, 오디오 전선에는 거의 필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