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227 IEC 57 – 제어 및 통신 회로용 전선 해설
“제어함에서 사용하는 전선도 따로 규격이 있다?”
전등선, 콘센트선과는 다르게
PLC, 센서, 제어기기 등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전선에는
통신 안정성, 유연성, 작은 외경, 색상 구분 등 다양한 조건이 필요합니다.
그 모든 것을 고려한 전선 규격이 바로
60227 IEC 57, 즉 제어/통신 회로용 플렉시블 다심 전선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규격이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실제 어디에 어떻게 쓰이고, 감리나 견적에서 어떤 실수가 많은지
하나하나 풀어보겠습니다.
🧱 1. 기본 구조
60227 IEC 57 전선은 일반적인 전원선과 달리
극세 연선 + 절연 + 외피 + 다심 배열 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성 요소 | 내용 |
도체 | Class 5 연선 (보통 0.5~1.0mm² 중심) |
절연 | PVC 절연 (Type B) |
배열 | 다심 구조 (2~24C 이상까지도 가능) |
외피 | 유연한 PVC, Gray or Black 외관 |
형태 | 대부분 원형, 일부 평형 옵션 있음 |
📌 특히 제어 신호선은 꺾임과 진동이 잦은 환경에서도 유연해야 하므로
내피/외피 모두 가공성이 우수해야 하며, 외피 강도도 중요합니다.
🎨 2. 색상 배열 및 마킹 특징
심선 수 | 색상 구성 | 참고 |
2C~5C | Black / White / Red / Green-Yellow | 기본 구분 |
6C 이상 | Black + White 번호 인쇄 (1~n) | 도면 연계 사용 |
접지선 | 반드시 Green-Yellow 단독 사용 | |
외피 마킹 | “60227 IEC 57 4×0.75mm² 300/500V KC XXXXX” 반복 인쇄 |
📌 다심 전선일수록 번호 인쇄 or Color + Number 병기 방식이 사용되며,
접지선은 색상 혼용 절대 금지입니다.
📏 3. 대표 규격 스펙 비교표
IEC 57 규격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로 설계됩니다.
도체 면적 (mm²) | 심선 수 | 절연 두께 (mm) | 외피 두께 (mm) | 외경 (mm) | 최대 도체 저항 (Ω/km @ 20℃) |
0.5 | 2C | 0.6 | 0.9 | 5.0 ~ 6.0 | 39.0 |
0.75 | 3C | 0.6 | 1.0 | 6.5 ~ 7.5 | 26.0 |
1.0 | 4C | 0.6 | 1.0 | 7.5 ~ 8.5 | 19.5 |
0.5 | 6C~10C | 0.6 | 1.0 | 7.0 ~ 10.0 | 39.0 |
📌 외경은 제조사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감리 대응 시 스펙서 상 허용 오차 ±0.3~0.5mm까지 인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4. 설계 적용 팁
조건 | 적용 예시 |
PLC 입출력 회로 | 0.5mm²~0.75mm² 4C or 6C 추천 |
제어함 내부 배선 | 최대 10C까지 가능, 굽힘 반경 확보 |
노이즈 영향 우려 시 | 차폐형(SH) 구조 검토 필요 |
색상 혼동 예방 | 번호 인쇄 병기 요청 or 도면 연계 표시 |
접지 포함 회로 | 반드시 Green-Yellow 심선 별도 필요 |
📌 IEC 57은 본래 차폐 구조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노이즈 환경일 경우 IEC 63 또는 Foil+Drain 구조 전선 검토가 필요합니다.
🧪 5. 시험 기준 및 성능 요건
IEC 57 전선은 다음 시험을 통과해야 합니다:
항목 | 기준 |
내전압 시험 | AC 2,000V / 5분간 |
인장강도 (절연) | ≥ 10 MPa |
연신율 (절연) | ≥ 125% |
외피 연소시험 | IEC 60332-1 |
절연 두께 | 평균값 이상 / 최소값 90% 이상 |
절연 불량 점검 | Pin Hole, 결함 0건 요구 |
📌 감리용 시험성적서는 위 항목을 모두 명시해야 하며, 시험소(KTL, KTC, KTR 등) 공식 직인 포함본 제출이 원칙입니다.
🖊️ 6. 외피 인쇄 요건
조건 | 내용 |
필수 내용 | 제품명 / 규격 / KC 인증번호 / 제조사 |
표기 예시 | “60227 IEC 57 4×0.75mm² 300/500V KC XXXXX 제조사명” |
반복 간격 | 약 40~100cm |
위치 | 외피 전체 반복 인쇄 |
📌 인쇄 누락은 감리 탈락 사유입니다.
현장용 사진 제출 요청도 잦아 별도 인쇄 샘플 컷을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 7. 납품 포장 방식
포장 방식 | 설명 | 적용 조건 |
릴 포장 | 100~500m 단위 릴감기 | 제어함 / 시공 공장 납품 |
판넬 포장 | 평정리 + 케이블타이 | 짧은 길이 고정 시공 |
PE Bag | 100m 이하 코일형 | 소매용, 전기자재 납품 |
📌 포장 외부에도 규격 / 길이 / 제조사 / KC번호가 적힌 라벨이 부착되어야 하며,
외피 인쇄 내용과 일치 여부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8. 감리 탈락 주요 사례
사계 | 내용 | 원인 |
인쇄 누락 | 외피에 KC번호 없음 | 감리 반려 |
외경 오버 | 설계 Ø7.2mm → 납품 Ø8.1mm | 배관 통과 실패 |
색상 불일치 | 도면은 Red/Black/White, 납품품은 Black/Yellow/Blue | 회로 식별 불가 |
시험성적서 누락 | 인장강도·연신율 기재 없음 | 승인 지연 |
납품 포장 누락 | 릴 외부 라벨 미부착 | 납품 반려 |
📌 감리 대응 시 반드시 인쇄, 색상, 포장, 성적서 4가지를 사전 확인해야 합니다.
📐 9. 설계 체크리스트
항목 | 체크 포인트 |
심선 수 | 2C~12C는 색상지정 or 번호 인쇄 여부 확인 |
외경 | 배관, 글랜드와 간섭 없는지 계산 |
절연 & 외피 | 모두 PVC Type B / 연소시험 통과 확인 |
포장 방식 | 릴 or 판넬 여부 설계서에 명기 |
감리용 서류 | 인쇄 샘플, 성적서, 규격서 포함 여부 확인 |
✅ 정리하며 느낀 포인트
처음엔 제어용 전선도 그냥 “전선 중 하나겠지” 싶었지만,
지금은 제어선은 회로 안정성과 구조 신뢰성의 핵심 도구라는 걸 확실히 느낍니다.
📌 요약하자면:
- IEC 57은 제어/통신 회로용 연선 다심 전선
- 유연한 구조 + 정전압 대응 + 심선 색상 명확
- 감리 대응 시 외피 인쇄 / 포장 / 색상 구성 중요
- 설계도와 실제 납품품 간 불일치 가장 잦은 오류
- 포장 라벨, 외피 인쇄, 샘플 사진은 모두 준비 필수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 > 규격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0227 IEC 53. 연선 + 외피 구조 전선의 규격 해설 - 규격 정보 #53. (2) | 2025.04.25 |
---|---|
60227 IEC 52. 연선 구조 플렉시블 전선 해설 - 규격 정보 #52. (0) | 2025.04.23 |
60227 IEC 01. 단심 PVC 전선의 기본 규격 총정리 - 규격 정보 #51.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