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인증 정보

UL 인증 전선 vs 일반 전선 비교 (실제 스펙/가격/적용처 분석) - 전선 인증 #38.

Wired Grafia 2025. 4. 20.

UL 전선이 비싼 이유는 ‘이유 없는 마크’ 때문이 아닙니다


“UL 인증된 전선이요? 그냥 브랜드 값 아닌가요?”
저도 예전엔 이렇게 생각했는데,
UL Style No. 하나하나를 공부하고 나니
전선 구조, 시험 기준, 안전성, 그리고 가격까지 전부 다른 세계라는 걸 실감하게 됐습니다.

이번 글은
UL 인증 전선 vs 일반 KS/IEC 전선의 구조·시험기준·가격·적용현장 차이를 비교해 정리해봤습니다.


✅ 1. 구조와 소재 비교

항목 UL 전선 (예: UL1015) 일반 전선 (예: KS CVV)
절연체 고순도 PVC / 고온용 범용 PVC / 중저온용
연소 기준 VW-1, FT1 이상 필수 일부 제품만 IEC 60332 통과
외피 없음 또는 얇은 PE 보통 외피 포함 구조
마감 리드선, 기기 내 배선 중심 외부 배선, 제어/통신 전용

📌 UL 전선은 고온·내연성 기준 통과를 위해 소재 선정부터 더 엄격하게 설계됩니다.


🔍 2. 시험 기준 비교

항목 UL 전선 일반 전선 (KS/IEC)
절연 내전압 Style No. 기준 ≥ 1500V 1000~2000V 수준
내열 온도 80~150℃ 보통 60~90℃
연소 시험 VW-1 필수 IEC60332 일부 적용
연신율·내인장 고정 조건 요구 시험 항목 없음
인쇄 조건 UL 인증 번호 인쇄 KC 또는 제품명 인쇄

📌 UL은 시험 기준이 ‘Style No.’ 단위로 정해져 있어 통일성 높음,
KS/IEC는 국가별 기준/제조사별 차이 존재


💰 3. 가격 차이

원자재 고급 PVC + 도체 가공 기준 ↑
시험 인증비 UL 시험비 + 등록비 → 단가 반영
생산관리 UL 인증공장 기준 필요 → 생산비 상승
유통비 수출용 포함 → 국제 운송 기준 적용

✅ 결과: 동일 규격이라도 UL 인증 전선은 15~30% 이상 단가 상승되는 경우 일반적


🏗️ 4. 사용처/적용처 비교

구분 UL 인증 전선 일반 전선
전기기기 내 배선
산업용 제어함
설비/현장 고정배선
감리용 납품 △ (국내 한정) ◎ (KS 필요)
수출용 전기장비
의료/자동화/반도체

📌 UL 전선은 특히 기기 내 wiring 용도에 최적화,
현장배선이나 외피 중시 구조는 KS/IEC 제품이 효율적


🧠 실무 선택 팁

  • 내부배선 or 고온 부위 → UL Style 1015, 1430, 3321 등
  • 국내 현장배선, 감리용 → KS CVV, CVVS, VCTF 등
  • 수출 장비용 전선 → UL Style 표기 + RoHS 성적서 함께 제출
  • 양쪽 다 만족시켜야 할 경우 → KS + UL 동시 인증 제품도 일부 있음 (고가)

🧾 정리하면서 느낀 포인트

이전엔 “UL 있는 게 뭔가 있어 보여서 비싼가보다” 했는데,
지금은 가격보다도 설계 목적, 시험 기준, 용도 적합성 자체가 완전히 다르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 요약하자면:

  • UL 인증 전선은 Style별 구조 + 시험 조건 통과 제품
  • 일반 전선은 국가별 인증 기준(KS, IEC)에 따라 다양
  • 가격은 UL 제품이 20~30%가량 높음
  • 기기 내 배선, 수출 장비, 고온/난연 용도에 UL 전선 최적
  • 감리·납품용은 여전히 KS or CPR 기준 제품이 주력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