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 인증 있어요?”라는 질문을 받는 순간, 이 글이 떠오를 겁니다
전선을 납품하려고 하면
대부분 처음 받는 질문이 바로 이거예요:
“이 전선 KC 인증 있나요?”
저도 처음엔 “UL도 있고, CE도 있는데 왜 또 KC야?” 싶었지만
국내에서 판매·납품·시공되는 모든 전선에는
KC 인증이 필수라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KC 인증의 구조, 대상 품목, 시험 항목, 서류 구성, 감리 대응 팁을 정리합니다.
✅ KC 인증이란?
- KC = Korea Certification / 국가통합인증마크
-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 따라 전기용품을 안전하게 유통/사용하기 위한 인증 제도
- 전선은 ‘전기용품’으로 분류되어 KC 인증 대상
- KTR, KTL, KTC 등 공인기관에서 시험 진행
📦 KC 인증 대상 전선 예시
정격 300/500V 이상 전선 | CV, CVV, VCT, CVVS 등 |
제어용 전선 | CVVS, RVV, LIYCY 등 |
고무절연 전선 | H07RN-F, HS-F |
난연 전선 | FR-CV, FR-CVV |
특수 구조 전선 | LSZH, 차폐 전선 등 |
📌 300/500V 미만 전선(VFF, VCTF 등)은 KC 면제일 수도 있으나,
건축물 납품/설계용으로는 요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KC 인증 시험 항목 요약
항목 | 주요 시험 기준 | 시험 규격 |
도체 저항 | 최대 저항값 만족 여부 | KS C IEC 60228 |
절연 내전압 | 정격 전압의 2~3배 인가 | KS C IEC 60227-2 |
외피 두께 | 최소 기준 이상 | KS 기준별 상이 |
연소성 시험 | IEC 60332-1, 3 | FR 제품은 필수 |
인쇄 내용 확인 | 규격명, 제조사명 등 | 반복 인쇄 확인 |
외관 시험 | 피복 균열, 눌림 등 여부 | 시각·물리 검사 |
📁 KC 인증서 샘플 구성
- 제품명 / 규격 / 인증번호
- 제조자명 / 제조국가
- 시험기관명 / 시험일자
- KC 마크 인쇄 조건 명시
📌 인증서 외에도 시험성적서 + 제품 라벨 + 외피 인쇄 이미지 요청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 KC 인증 번호 표기 예시
KC 인증번호: HH07151-21002
→ H: 전기용품 / 07: 전선류 / 151: 전선코드 세부분류
📌 인증번호를 보면 해당 전선의 카테고리까지 확인 가능합니다.
🧠 실무 대응 팁
- 감리 서류에 제출할 것들:
- KC 인증서 사본
- 시험성적서 전체 (도체 저항, 절연 시험 등 포함)
- 외피 인쇄 사진
- 제품 라벨 샘플
- 현장에선 “KC 마크 인쇄 안 돼 있으면 불량” 취급받을 수 있음
- 외산 전선이라도 국내 판매 시 KC 별도 인증 필요
⚠️ KC 인증이 없으면 생기는 문제
- 감리 불합격
- 건축 인허가 반려
- 납품 입고 거절
- 보험·안전 관련 법적 책임 발생
📌 특히 관급공사, 통신사, 공공기관 납품에는 KC 인증이 의무입니다!
🧾 정리하면서 느낀 포인트
전에는 “UL 있으면 되는 거 아냐?” 했는데,
지금은 국내에선 UL보다 KC가 훨씬 더 중요하다는 걸 확실히 알게 됐습니다.
📌 요약하자면:
- KC 인증은 대한민국 내 전기용품 안전을 위한 의무 인증
- 정격 300/500V 이상 전선 대부분 대상
- 시험 항목은 IEC 기반이나 국내 기준(KS)에 맞춰 인증
- 감리, 납품, 설계 모두 KC 인증 필수
- 서류+성적서+KC 인쇄까지 세트로 준비해야 완벽 대응 가능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 > 인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UL 인증 전선 vs 일반 전선 비교 (실제 스펙/가격/적용처 분석) - 전선 인증 #38. (2) | 2025.04.20 |
---|---|
PSE, CCC, VDE 등 주요 국가별 전선 인증 요약 - 전선 인증 #37. (0) | 2025.04.20 |
RoHS & REACH, 환경 인증이 전선 단가에 미치는 영향 - 전선 인증 #35. (0) | 2025.04.19 |
UL, CPR, KS, IEC / 미국·유럽·한국 전선 인증 체계 비교표 - 전선 인증 #34. (0) | 2025.04.19 |
CPR 인증 정리 / 유럽형 전선 반응등급 B2ca, Cca 해석법 - 전선 인증 #33.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