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인증 정보

IEC 60332, 60754, 61034 해설 (난연, 저할로겐, 연기 밀도 기준 총정리) - 전선 인증 #31.

Wired Grafia 2025. 4. 18.

감리용 전선은 ‘전기 스펙’보다 ‘불에 얼마나 잘 버티냐’가 더 중요할 때가 많다


전선 공부를 하다 보면 감리나 납품요건에서 자주 마주치는
IEC 60332 / IEC 60754 / IEC 61034
이 세 가지 기준은
전기 성능이 아니라, 화재 시 ‘얼마나 안전한가’를 보는 기준입니다.

이번 글은
전선의 난연성, 유독가스 방출, 연기 밀도를 판단하는
국제 기준 3종을 실무 관점에서 정리해봅니다.


🔥 1. IEC 60332 – 난연 시험

📌 목적

전선이 불에 얼마나 잘 견디는가를 시험

📎 종류

시험 내용 기준
60332-1 단심 케이블 1가닥 시험 540mm 이하 연소
60332-2 굵은 단선용 보완
60332-3 다심 다발 시험 화염 확산성 판단
  • A, B, C, D, E, F 등급 → A가 가장 높은 난연 등급
  • 감리에서는 일반적으로 IEC 60332-1 (기본) + 60332-3 C등급 이상 요구

☠️ 2. IEC 60754 – 할로겐 가스 시험

📌 목적

전선이 연소될 때 염소계 유독가스를 얼마나 방출하는가 측정

📎 시험 항목

  • 60754-1: 염소 가스의 농도 (pH, 전도도)
  • 60754-2: 연소 시 부식성 여부 측정

📎 기준

pH ≥ 4.3
전도도 ≤ 10 µS/mm

📌 통과하면 무할로겐(Zero Halogen) 전선으로 분류됨
LSZH, HFFR, LSOH 등급 사용 가능


🌫️ 3. IEC 61034 – 연기 밀도 시험

📌 목적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의 농도와 시야 확보 가능성 측정

📎 시험 방식

  • 전선을 연소시키고 밀폐 챔버 내에서 연기 투과율 측정
  • 투과율(%) = 빛이 얼마나 통과하느냐

📎 기준

  • 투과율 ≥ 60% → 합격
  • 80% 이상이면 우수한 저연 전선

📌 지하철, 병원, 학교, 고층건물 등 인명 대피가 중요한 장소에 필수


🧪 세 시험 비교 요약

항목 IEC 60332 IEC 60754 IEC 61034
기능 난연성 유독가스 방출 연기 밀도
기준 A~F등급 / 연소길이 pH / 전도도 투과율(%)
제품 적용 FR-CV, CVVS LSZH, HFFR LSZH, 저연선
감리 시 중요도 매우 높음 높음 높음

🧠 실무 체크포인트

  • 전선이 아무리 성능 좋아도
    난연·무독가스·저연 기준 통과 못하면 감리 불합격
  • FR-PVC = 난연,
    LSZH = 무독·저연성
  • 제품 스펙서에 IEC 60332, 60754, 61034 명시 여부 필수
  • 국내에서는 KS C IEC 기준으로 일부 통합 관리됨

🧾 정리하면서 느낀 포인트

예전엔 ‘전선은 전기 잘 통하면 되는 거지’라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감리나 공공 설계 기준에선
‘화재 시 얼마나 덜 위험한가’가 핵심 성능이란 걸 느낍니다.

📌 요약하자면:

  • IEC 60332 = 전선 자체의 난연성
  • IEC 60754 = 유독가스 방출 여부 (무할로겐 확인용)
  • IEC 61034 = 연기 밀도 (대피 시야 확보 가능 여부)
  • 감리, 납품, 설계 시 이 3가지 기준 확인은 필수
  • 통과한 전선만이 LSZH or FR 등급으로 인정받을 수 있음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