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오늘의' 시리즈/전선 용어

Cable vs Wire 두 단어의 차이점이 뭘까? - 전선 용어 #15.

Wired Grafia 2025. 4. 23.

우리는 모든 걸 그냥 “전선”이라고 부르지만,
영어 기술 문서나 카탈로그를 보면 CableWire를 따로 구분합니다.
둘 다 전선인데, 도대체 어떤 기준으로 구별하는 걸까요?


🧪 Wire란?

Wire = 단일 도체 또는 단일 절연선

📌 예:

  • 단선 (Solid Wire): 구리선 한 가닥
  • 연선 (Stranded Wire): 얇은 구리선 여러 가닥
  • 절연이 있든 없든, 하나의 도체 단위이면 Wire로 봅니다.

💡 예: Hook-up Wire, Lead Wire, UL1007, UL1015 등


🧪 Cable이란?

Cable = 2개 이상의 Wire 또는 Core를 묶은 다심 구조

📌 특징:

  • **여러 개의 Core(가닥)**가 내부에 있음
  • 외피(Jacket or Sheath)로 전체를 감쌈
  • 통신선, 제어선, 전원선 등 대부분이 Cable

💡 예: CVV 3C, CAT5e, VCT 4C 등


📊 비교 정리

구분 Wire Cable
구성 단일 도체 (1 Core) 다심 구조 (2C 이상)
외피 없음 or 단순 절연 외피(Jacket/Sheath) 있음
유연성 상대적으로 좋음 구조에 따라 다름
사용처 내부배선, 리드선 등 제어, 전원, 통신, 배선 등 광범위
예시 UL1007, 0.5sq 단선 CVV, VCT, UTP 등

🛠️ 실무 적용 팁

  • “내부 전자회로 배선” → 보통 Wire
  • “기계 간 연결선, 설치용 전선” → Cable
  • 견적서나 발주서에선 Cable/Wire 구분 기재 필수

💬 예를 들어 “Shielded Wire”는
→ “1가닥짜리 차폐선”,
“Shielded Cable”은
→ “다심 구조의 차폐 케이블”을 뜻합니다.


✅ 오늘의 요약

  • Wire = 단일 도체 기반 전선
  • Cable = 다심 구조 전선, 외피로 보호됨
  • 실무에선 용도와 구조로 구분!

👉 다음 포스팅은
전선 용어 #16: Braid란? – 전선을 감싸는 금속編織 구조
차폐의 한 종류인 Braid 구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