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의 가장 바깥을 감싸는 검은색 또는 회색 껍질,
우리는 보통 “외피”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영문 자료나 국제 규격서에서는 Jacket, Sheath 두 가지 용어가 번갈아 등장하죠.
오늘은 이 외피 개념과 용어 차이를 정리해볼게요.
🧪 Jacket vs Sheath?
용도 | 의미 | 사용 환경 |
Jacket | 외부 보호층 (보통 단일층) | 미국식, UL 등에서 사용 |
Sheath | 외피층 전체 (단일 or 복수층) | IEC, KS, 유럽식 표현 |
✔️ 실무에서는 거의 같은 의미로 혼용되지만,
Jacket은 좀 더 ‘얇은 외피’나 ‘외부 피복’에 가까운 의미,
Sheath는 다심 케이블의 바깥 전체 층을 지칭하는 느낌이 강합니다.
📦 외피의 역할
- 기계적 보호 (절단, 마모, 충격)
- 화학/습기 차단 (내수성, 내유성)
- 절연 안정성 보강
- 자외선, 열기 차단 (환경 적응성)
- 차폐층 보호
💬 즉, 외피는 전선의 갑옷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 외피 재질 종류
재질 | 특징 | 적용 예시 |
PVC | 저렴, 보편적 | 일반 실내용 케이블 |
PE | 내습성, 내약품성 | 옥외 전선, 통신선 |
XLPE | 내열성 우수 | 고온 전력선 외피 |
CPE | 내유·내화학 | 산업용 전선 |
PUR | 유연성, 내마모 | 로봇 케이블, 이동형 |
Rubber | 유연성, 내충격 | 건설용, 중장비용 |
※ 고급 복합 케이블은 이중 외피 (Inner + Outer Jacket) 구조로 되어 있기도 해요.
🧰 실무 적용 예시
- H07RN-F: 고무 외피
- CV 케이블: XLPE 절연 + PVC Sheath
- VCT: 연선 구조 + 유연한 PVC 외피
- PUR 케이블: 유연한 로봇 전선용
✅ 오늘의 요약
- Jacket = 외부 피복, Sheath = 전체 외피층
- 둘 다 실무에서는 외피(겉껍질)로 통용됨
- 외피 재질에 따라 용도, 유연성, 가격 크게 달라짐!
👉 다음 포스팅은
전선 용어 #15: Cable vs Wire – 두 단어의 차이점이 뭘까?
우리말로는 전부 ‘전선’인데, 영어에선 왜 나눠쓸까요?
Cable vs Wire 두 단어의 차이점이 뭘까? - 전선 용어 #15.
우리는 모든 걸 그냥 “전선”이라고 부르지만,영어 기술 문서나 카탈로그를 보면 Cable과 Wire를 따로 구분합니다.둘 다 전선인데, 도대체 어떤 기준으로 구별하는 걸까요?🧪 Wire란?Wire = 단일 도
wiredgrafia.tistory.com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오늘의' 시리즈 > 전선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Braid란? 전선을 감싸는 금속 구조 - 전선 용어 #16. (0) | 2025.04.24 |
---|---|
Cable vs Wire 두 단어의 차이점이 뭘까? - 전선 용어 #15. (0) | 2025.04.23 |
Core란? 가닥, 심선, 코어, 뭐가 뭘까? - 전선 용어 #13. (0) | 2025.04.21 |
Twisted Pair란? 신호선은 왜 꼬아야 할까? - 전선 용어 #12. (0) | 2025.04.20 |
Drain Wire란? 숨어 있는 제3의 도체 - 전선 용어 #11.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