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천천히 알아가는 마케팅/마케팅 기초와 전략

마케팅 KPI, 제조업 마케팅 성과를 숫자로 보여주는 법- 마케팅 기초와 전략 #05.

Wired Grafia 2025. 4. 13.

마케팅을 하고는 있는데…

“성과를 어떻게 보여줘야 하지?”
“광고도 안 했고, 팔린 것도 없는데… 마케팅 효과는 뭐지?”

이런 생각, 실무에서 정말 자주 들리죠.

특히 제조업 마케팅은 정성적 활동이 많아서 성과 측정이 더 어렵게 느껴지는데요,
사실 조금만 구조를 잡으면 충분히 숫자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번 편에선
KPI(핵심성과지표)를 제조업 실무에서 어떻게 설정하고 보고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정리해봅니다.


🎯 KPI란?

Key Performance Indicator,
즉, 핵심성과지표입니다.

“우리가 잘하고 있는지, 목표에 가까워지고 있는지를 수치로 보여주는 기준”이죠.

이게 없으면
마케팅 성과는 ‘느낌’이나 ‘분위기’로만 평가되고
보고서도 “대응했습니다”라는 말로 끝나버립니다.


🔍 제조업 마케팅 KPI 분류 방식

KPI는 퍼널 흐름에 따라 나누는 게 가장 실무적이에요.

구분 퍼널 단계 KPI 항목 예시
인지 Awareness 홈페이지 방문 수, 블로그 조회 수, 전시회 방문객 수
반응 Interest / Consideration 브로셔 다운로드 수, 견적 문의 건수, 기술 상담 건수
전환 Action / Purchase 견적 → 계약 전환율, 계약 건수, 매출 전환률
유지 Retention 재구매율, 응답률, 뉴스레터 오픈율

👉 이렇게 나누면
각 단계별로 어떤 자료를 만들고, 어떤 행동을 유도해야 할지 자연스럽게 보입니다.


🧮 실무 KPI 보고서 작성 예시

지표명 실적 목표 대비 전월 대비 비고
홈페이지 방문자 수 2,300 ▲ 15% 초과 ▲ 12% 증가 블로그 연동 효과
블로그 콘텐츠 수 4건 달성 유지 제품 사례 중심
견적 문의 수 18건 ▲ 20% 초과 ▲ 6건 증가 전시회 효과 반영
계약 전환률 27% 목표 초과 ▲ 4%p 상승 신규 고객 유입 영향

📌 이 표를 Google Sheet나 Notion으로 매달 관리하면
보고서 작성이 10배 쉬워지고, 성과도 자연스럽게 누적됩니다.


✏️ KPI 설정할 때 주의할 점

구체성 “열심히 했다”가 아니라 “몇 건 발생했는가?”
측정 가능성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수치 중심 (조회수, 다운로드, 문의 수 등)
달성 가능성 너무 이상적이지 않고, 현실적인 범위
기간 설정 주간 / 월간 / 분기별 등 보고 주기 구분
담당 구분 누가 담당인지 명확히 (개인 or 팀 단위)

🔁 KPI + 퍼널 흐름 연계 예시

제품: 산업용 전선
목표: 브랜드 인지도 → 견적 문의 → 계약 증가

퍼널 단계 KPI 항목 실무 활용 예시
인지 블로그 유입 / 전시회 방문 수 콘텐츠 주제 정리 기준
관심 제품 다운로드 / 브로셔 요청 수 자료 구성 우선순위
고려 견적 문의 수 / 상담 건수 견적 대응 템플릿화
전환 계약 수 / 전환율 가격전략 조정, 대응 개선
유지 재구매율 / 재문의율 사후관리 강화, 리마케팅 콘텐츠 제작

✅ 마무리 요약

KPI란? 성과를 수치로 보여주는 기준
제조업 KPI 퍼널 흐름에 따라 구분 → 인지, 반응, 전환, 유지
보고서 팁 비교 수치 + 코멘트 + 시각 자료 추가
관리 방식 월간 시트 기반으로 정리 & 회의 공유용 버전 따로 구성

📅 다음 편 예고

6편에서는
시장 조사, 경쟁사 분석, 고객 조사
마케팅 활동의 기초가 되는 '조사 활동'을 어떻게 실무적으로 할 수 있을지 정리해드릴게요.

“보고서는 너무 무겁고, 감은 없고…”
그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는 분들을 위한 실전 조사법 알려드리겠습니다!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