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 겉에 적힌 글씨는 전부 정보입니다
전선 외피를 보면
영어/숫자 코드가 길게 찍혀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예전엔 그냥 제조사 이름 정도로 생각했는데…
공부해보니 이건 제품 구조, 인증, 전압, 생산 정보까지
전부 들어 있는 ‘전선의 신분증’ 같은 역할이더라고요.
이번 글에서는 전선 외피 인쇄 내용 + 릴 표기사항을
정리해봤습니다. 견적서보다 실물이 더 많은 정보를 줍니다.
🧵 전선 외피 인쇄 예시
KSC IEC 60227 CVV 3C × 2.5㎟ 0.6/1kV 2024-03 MYUNGBO
항목 | 의미 |
KSC IEC 60227 | 인증 기준 (KS + 국제 규격) |
CVV | 전선 구조명 (연선 + PVC + PVC) |
3C × 2.5㎟ | 심선 3가닥, 단면적 2.5㎟ |
0.6/1kV | 정격 전압 |
2024-03 | 생산월 |
MYUNGBO | 제조사명 |
📌 인쇄 위치는 50cm~1m마다 반복되어 있습니다.
📦 릴 표기 라벨 예시
품명 | CVV 2C × 2.5 |
정격 전압 | 0.6/1kV |
포장 길이 | 300m / 릴번호 |
생산 LOT | LOT2303-55 |
생산일자 | 2024.03.15 |
제조사 | MYUNGBO CABLE |
인증정보 | KS C IEC 60227 / KC / RoHS 등 |
📌 릴 관리할 땐 릴 번호, 생산일자, 잔량 정보를 같이 적어두면 좋습니다.
🧪 실무에서 자주 보는 전선 표기 구성들
- VCTF 3C × 1.25 300/500V LSZH
- 유연한 코드선 + 무할로겐 외피
- FR-CVV 2C × 2.5㎟ 0.6/1kV KS 인증
- 난연 PVC 전력선
- CVVS 4C × 1.5 + Drain Wire
- 차폐 포함 제어선
- RS-485 Cable 2P + Shield + PE Outer
- 통신용 이중차폐 구조
📎 표기만 읽어도 이 전선이 어디에 쓰일지 거의 감 잡을 수 있습니다.
🧠 실무 체크포인트
- 감리/인증 대응용 전선은 KS, CE, RoHS 마크 확인
- 제조년월이 오래된 재고는 외피 노화 가능성 있음
- 차폐선 여부는 표기에 없을 땐 직접 단면 확인 필요
- H07RN-F, H05VV-F 등은 규격명 자체에 인증이 포함됨
- 잔재 재고 관리할 때는 외피 인쇄 내용만으로도 길이 외 제품 파악 가능
🧾 정리하면서 느낀 포인트
이제는 전선을 실제로 꺼내보는 게
견적서나 카탈로그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주는 것 같아요.
📌 요약하자면:
- 외피 인쇄에는 구조, 인증, 규격, 전압, 제조 정보가 담겨 있다
- 릴 라벨은 관리/출고 시 필수 정보 (포장 길이, 제조일자 등 포함)
- 실물 표기를 읽을 줄 알아야 전선의 진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 감리, 납품, 재고관리 시 외피와 릴 표기 정보는 꼭 사진 보관 추천
이제 전선 겉에 찍힌 글자만 봐도 전력, 제어, 통신 구분이 될겁니다! 😎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 > 기초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선에 쓰이는 절연체 종류 비교 (PVC, XLPE, 고무, LSZH) - 전선 기초 #21. (0) | 2025.04.16 |
---|---|
케이블 실험 규격 요약 / 내전압, 연소, 할로겐 테스트 기준 총정리 - 전선 기초 #20. (0) | 2025.04.16 |
전선 길이별 단가 계산법 [커팅 단가와 손실률까지 고려하는 법] - 전선 기초 #18. (0) | 2025.04.16 |
케이블 규격 KS C IEC 60227 해설 / 실무에서 자주 쓰는 표준 총정리 - 전선 기초 #17. (0) | 2025.04.16 |
전선 견적서 읽는 법 [규격별 단가 비교와 체크포인트] - 전선 기초 #16.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