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기초 정보

전선에 쓰이는 절연체 종류 비교 (PVC, XLPE, 고무, LSZH) - 전선 기초 #21.

Wired Grafia 2025. 4. 16.

전선 성능은 절연체가 결정한다


전선을 자르면 속에 있는 구리선(도체)만큼 중요한 게
바로 절연체(Insulation)입니다.

예전엔 그냥 “PVC는 보통이고, XLPE는 좋다더라” 정도로만 알고 있었는데요,
실제로는 절연체에 따라 전선의 용도, 가격, 내구성, 난연성, 설치성까지 전부 달라지더라고요.

이번 글은 전선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PVC, XLPE, 고무(Rubber), LSZH 절연체에 대해 비교 정리해봤습니다.


🧪 1. PVC (Polyvinyl Chloride)

특징 가장 흔한 절연재, 경제성 우수
온도 등급 -15℃ ~ 70℃ or 90℃
장점 가공 쉬움, 저렴함, 범용성
단점 연소 시 유독가스 발생 (할로겐 포함)

📌 대부분의 실내용 저전압 전선은 PVC 절연을 사용합니다.
예: CVV, VCTF, H05VV-F


🔥 2. XLPE (Cross Linked Polyethylene)

특징 고온/고전압에 강한 고급 절연체
온도 등급 -20℃ ~ 90℃ ~ 125℃
장점 절연 성능 우수, 열에 강함
단점 경직성 있음, 가공 어려움

📌 CV, FR-CV, YJV전력선 중심에서 많이 쓰입니다.


🌡️ 3. 고무 (Rubber: EPR, CPE, NR 등)

특징 유연성과 내환경성이 뛰어남
온도 등급 -25℃ ~ 105℃ 이상
장점 유연, 내한·내열·내유·내마모
단점 가격 높음, 무게 무거움

📌 H07RN-F, EPR 케이블, 산업용 설비 연결선 등 거친 환경에 최적화된 전선에 사용됩니다.


🧼 4. LSZH (Low Smoke Zero Halogen)

특징 저연기 + 무할로겐 구조
온도 등급 보통 70℃ ~ 90℃
장점 인체/설비에 안전, 공공설비 적합
단점 가공성 낮음, 가격 높음

📌 지하철, 병원, 데이터센터, 병영시설 등 인명 보호가 중요한 장소에 필수입니다.
예: CVV-LSZH, HFFR 케이블


📊 주요 절연체 비교표

항목 PVC XLPE 고무 LSZH
내열성 보통 우수 매우 우수 우수
내한성 보통 보통 우수 보통
유연성 보통 낮음 높음 보통
가격 저가 중~고가 고가 고가
난연성 일반 가능 우수 매우 우수
유독가스 있음 있음 있음 없음

📎 절연체 하나 바뀌면 단가 20~50%도 차이납니다!


🧠 실무에서 절연체 판단 팁

  • 배관 내부, 실내용 → PVC
  • 옥외 설치, 고전압 → XLPE
  • 이동 기계, 용접기 → 고무 절연
  • 병원, 화재 취약 구조물 → LSZH

📌 설계 시 절연체 기준을 명시하면 공사 품질과 감리 대응력이 확 올라갑니다.


🧾 정리하면서 느낀 포인트

이전엔 ‘절연은 그냥 피복’이라고만 생각했는데,
공부하고 나니 이게 전선의 생명줄이라는 걸 알게 됐습니다.

📌 요약하자면:

  • 절연체는 단순한 커버가 아니라 기능성과 안전성을 좌우
  • PVC는 가장 범용, XLPE는 고성능, 고무는 유연성 특화
  • LSZH는 공공안전에 필수, 단가 상승 감안해야
  • 제품 설계와 감리 대응 모두 절연체 선택이 핵심

아직은 멀었지만 언젠가는 ‘이건 PVC구나’, ‘이건 고무다’ 구별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