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 CVV – 국내 제어용 비차폐 전선 규격 분석
“KS 전선 규격 중, 가장 널리 쓰이는 제어용 전선은?”
공사 도면, 감리 설계, 자동화 제어판을 보다 보면
언제나 자주 등장하는 전선 이름이 있습니다. 바로 KS CVV.
이 전선은 국내 제어 전선의 표준 구조로,
차폐가 없는 단순한 다심 케이블 구조이지만,
시공성, 유연성, 가격 경쟁력, 감리 통과율 모두 우수하여
실제 현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제어용 전선 규격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KS CVV의 구조부터, 감리 대응, 유사 모델 비교, 실제 납품 시 포인트까지
국내 제어 전선의 ‘표준’이라 할 수 있는 규격을 전부 풀어보겠습니다.
🧱 1. 기본 구조 및 설계 특징
KS CVV는 Control Vinyl Vinyl의 약자로,
제어선(Control) + PVC 절연 + PVC 외피 구조를 갖는 가장 기본적인 다심 제어용 전선입니다.
구성 요소 | 내용 |
도체 | 연선 (Class 5), 대부분 0.75~1.25mm² |
절연 | PVC |
배열 | 다심 구조 (2C~30C 이상도 가능) |
외피 | PVC, 연소 저감형 옵션 가능 |
차폐 | 없음 (비차폐 구조) |
📌 “CVV”는 비차폐 구조, “CVVS”는 차폐 포함 구조입니다.
KS에서는 이 구분이 명확하므로 설계 시 혼용 주의해야 합니다.
🎨 2. 심선 수 및 색상 구성
심선 수 | 색상 구성 | 특징 |
2C~5C | 흑/백/적/녹/청 등 | 단색 배선 |
6C 이상 | 흑색 바탕 + 번호 인쇄 | 색상 혼동 방지 |
접지선 | 별도 Green-Yellow 사용 | 필요 시 포함 |
📌 KS CVV 전선은 심선 식별을 위해
“심선에 번호 인쇄” 또는 “도면 기반 색상 적용” 중 택일합니다.
📏 3. 규격별 외경 및 구조 스펙
도체 면적 (mm²) | 심선 수 | 절연 두께 (mm) | 외피 두께 (mm) | 외경 (mm) | 최대 도체 저항 (Ω/km @ 20℃) |
0.75 | 2C | 0.6 | 0.9 | 5.5 ~ 6.5 | 26.0 |
1.0 | 3C | 0.6 | 1.0 | 6.5 ~ 7.5 | 19.5 |
1.25 | 4C | 0.7 | 1.1 | 7.5 ~ 8.5 | 15.3 |
1.5 | 5C | 0.7 | 1.1 | 8.5 ~ 9.5 | 13.3 |
📌 실제 외경은 심선 배열 형태(원형, 레이어 배열)에 따라 달라지며,
감리 시에는 설계 외경 대비 ±0.5mm 이내 여부가 중요하게 적용됩니다.
⚡ 4. 사용 회로 및 추천 환경
환경 | CVV 적용 조건 |
일반 제어함 내부 | 비차폐 구조로 충분 |
실내 배선용 | 고정 설치 시 CVV 적합 |
외부 전자파 간섭 없음 | CVV 사용 가능 |
접지 필요 회로 | GND 심선 포함 CVV+G 사용 권장 |
배선길이 30m 이상 | 신호 약화 고려 → 차폐 구조 권장 |
📌 신호선, 센서선 등 잡음에 민감한 회로는 CVVS 또는 LIYCY 계열이 더 적합합니다.
🧾 5. 감리용 서류 및 시험 기준
KS CVV 전선은 감리 시 다음 항목들이 요구됩니다:
항목 | 제출 필요 여부 | 비고 |
KC 인증서 | 필수 | 제품명, 규격, 제조사 확인 |
시험성적서 | 필수 | 내전압, 인장강도, 연신율 등 |
제품 인쇄 사진 | 필수 | 반복 마킹된 외피 인쇄 |
납품 라벨 사진 | 필수 | 릴 외부 라벨 포함 |
색상 구성표 | 선택 | 설계서와 일치 확인용 |
📌 KS 제품은 국내 감리 기준에 최적화되어 있으므로,
적절한 인쇄와 문서 준비만 잘 되어 있다면 통과율이 높습니다.
🧪 6. 시험 기준 요약
시험 항목 | 기준 |
내전압 시험 | AC 2,000V / 5분 |
절연 인장강도 | ≥ 10 MPa |
절연 연신율 | ≥ 125% |
절연 두께 허용오차 | ±10% 이내 |
연소 시험 | KS C IEC 60332-1 기준 통과 |
📌 제조사 성적서에는 측정값과 시험환경이 명시되어 있어야 하며,
성적서 누락 또는 숫자 없음은 감리 지적의 주 원인이 됩니다.
⚠️ 7. 감리 탈락 주요 사례
사례 | 문제 내용 | 원인 |
외피 인쇄 누락 | 제품명/규격 없음 | 마킹 공정 누락 |
외경 불일치 | 설계 Ø9.5mm → 납품 Ø10.2mm | 공차 미반영 |
색상 오류 | 도면: 적/흑/백 → 납품: 황/흑/청 | 배선 오류 우려 |
성적서 누락 | 연신율, 인장강도 항목 빠짐 | 감리 반려 |
인쇄 반복 간격 초과 | 150cm마다 인쇄 → 미인식 | 기준 미달 |
📌 특히 색상과 외피 인쇄 항목은 시공과 감리 모두에 직접 영향을 주기 때문에 납품 전 최종 점검이 중요합니다.
✅ 8. 설계 체크리스트
항목 | 체크 포인트 |
색상 구성 | 도면에 명확히 지정, 심선 수 많을수록 번호 인쇄 권장 |
외경 | 배관, 글랜드와 간섭 여부 확인 |
접지 포함 여부 | G 포함 여부 사전 명시 |
마킹 | 외피에 반복 인쇄 필수, KC 번호 포함 |
포장 | 릴 or 판넬, 라벨 포함 여부 확인 |
감리서류 | 인증서 + 성적서 + 인쇄 사진 필수 |
🧾 마무리 정리
KS CVV는 단순한 구조지만
그 단순함 속에 가장 넓은 활용성, 안정된 가격, 감리 최적화 요건이 담겨 있습니다.
📌 요약하자면:
- KS CVV는 국내 제어선의 표준
- 비차폐 구조로 실내 고정 배선에 적합
- KC 인증, 외피 인쇄, 색상 구성 등이 감리 핵심
- 차폐가 필요한 경우 CVVS나 다른 규격 고려
- 감리 대응은 문서·실물·스펙 일치 여부가 전부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 > 규격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S VCT. 전원선용 연선 규격과 시공 팁 - 규격 정보 #57. (2) | 2025.05.02 |
---|---|
KS CVVS. 차폐 포함 제어용 전선의 핵심 기준 - 규격 정보 #56. (0) | 2025.05.01 |
60227 IEC 57. 제어 및 통신 회로용 전선 해설 - 규격 정보 #54. (0) | 2025.04.28 |
60227 IEC 53. 연선 + 외피 구조 전선의 규격 해설 - 규격 정보 #53. (2) | 2025.04.25 |
60227 IEC 52. 연선 구조 플렉시블 전선 해설 - 규격 정보 #52.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