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 VCT – 전원선용 연선 규격과 시공 팁
“제어선 말고, 본격적인 전원선이 필요할 땐?”
분전반에서 기기로, 모터로, 또는 소형 설비로 전력을 공급해야 할 때
단심 PVC 전선이나 CVV 구조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더 유연하고, 더 높은 전류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하죠.
그럴 때 선택되는 대표 규격이 바로 KS VCT,
즉 Vinyl Cabtyre Cable입니다.
VCT는 단심이 아닌 연선 다심 구조에 전원 공급에 최적화된 전선으로,
강한 내구성과 유연성, 높은 전류 허용치를 요구하는 산업 환경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VCT 전선의 구조, 정격, 시공 조건, 감리 대응 팁까지
실제 현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전원선의 기준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1. 기본 구조
KS VCT는 전원 공급용 연선 케이블로서 강한 내구성과 높은 유연성이 특징입니다.
구성 요소 | 내용 |
도체 | 연선 (Class 5), 1.25mm² ~ 16mm² 이상 |
절연 | PVC 절연, 고전류 대응 |
배열 | 2C~5C 다심 구조 |
외피 | 연질 PVC (유연성 중시), 흑색/회색 주로 사용 |
차폐 | 없음 (필요 시 별도 구조 사용) |
📌 VCTF가 소형 가정용이라면, VCT는 본격적인 산업 전원 공급용이라 보시면 됩니다.
⚡ 2. 정격 전압 및 허용 전류
항목 | 기준값 |
정격 전압 | 0.6/1kV (1kV 이하 회로) |
정격 온도 | 75°C 연속 사용 |
단락 허용 온도 | 최대 160°C |
허용 전류 | 전선 단면적에 따라 상이 (예: 1.5mm² → 19A, 2.5mm² → 26A) |
📌 전원선인 만큼 허용 전류량 확인이 매우 중요하며,
케이블 굵기와 부하 조건을 정확히 계산해야 합니다.
🎨 3. 색상 구성 및 인쇄
심선 수 | 구성 색상 | 예시 |
2C | 흑 / 백 or 적 / 흑 | 기본 전원 연결 |
3C | 흑 / 백 / G-Y (접지) | 1P + N + G |
4C | 흑 / 백 / 적 / 청 | 삼상용, 설비전원 |
5C | 흑 / 백 / 적 / 청 / G-Y | 삼상+접지 |
📌 접지선은 반드시 Green-Yellow 단독 사용,
외피 인쇄에는 “KS VCT 3×2.5mm² 0.6/1kV KC XXXXX”와 같이 반복 인쇄가 필요합니다.
📏 4. VCT 규격별 외경 정리
도체 단면적 (mm²) | 심선 수 | 절연 두께 (mm) | 외피 두께 (mm) | 외경 (mm) | 허용 전류 (A) |
1.25 | 2C | 0.8 | 1.0 | 8.5 ~ 9.5 | 약 17A |
2.0 | 3C | 0.8 | 1.1 | 10.0 ~ 11.5 | 약 23A |
2.5 | 4C | 1.0 | 1.2 | 12.0 ~ 13.5 | 약 26A |
4.0 | 5C | 1.0 | 1.4 | 15.5 ~ 17.5 | 약 34A |
📌 외경이 크기 때문에 배관, 트레이, 글랜드 설계 시 실제 외경 반영 필수입니다.
심선 수가 많아질수록 배열 구조 때문에 외경 증가폭이 큽니다.
🛍️ 5. 포장 및 납품 조건
항목 | 조건 |
포장 방식 | 나무 릴, 판넬, 100m 단위 이상 |
인쇄 내용 | “KS VCT 4×2.5mm² 0.6/1kV KC XXXXX” |
포장 라벨 | 규격, 제조사, KC번호 명시 |
감리 대응 | 외피 인쇄 + 릴 라벨 + KC 인증서 + 시험성적서 |
납품 서류 | 제품 규격서 + 성능 시험서 + 외피 사진 |
📌 전원선 감리는 구조보다 외피 인쇄, KC 인증, 포장 라벨의 명확성이 핵심입니다.
🧾 6. 감리 대응 체크포인트
구분 | 점검 항목 |
외피 인쇄 | 제품명, 규격, KC 번호 반복 인쇄 여부 |
포장 라벨 | 규격 + 제조사 + KC번호 표시 필수 |
시험성적서 | 인장강도, 연신율, 내전압, 연소시험 포함 |
제품 사진 | 외피 인쇄 샘플, 릴 전체 이미지 권장 |
KC 인증서 | 동일 규격, 동일 제조사명 일치 확인 |
📌 외피 인쇄가 릴 안쪽에 시작될 경우
샘플 컷 + 외피 복사본 준비가 감리 통과에 중요합니다.
🧠 7. 설치 환경별 주의사항
환경 | 주의사항 |
건축 실내 | 고정 배선, 배관 내 포설 권장 |
공장 자동화 | 굽힘 반복 조건 → VCT보다 VCTF 검토 |
고온 장소 | 75℃ 초과 환경은 고온 전선 검토 |
배전반 연결 | 글랜드 외경 계산 정확히 해야 함 |
야외 설치 | 기본 VCT는 UV 차단 X → 옥내용 우선 |
📌 고온, 기름, 자외선, 기계적 충격 등 조건이 있을 경우
VCT-U, VCT-HF, LSZH 등 특수형 사용을 검토해야 합니다.
⚠️ 8. 감리 실수 사례
사례 | 문제 내용 | 원인 |
외피 인쇄 누락 | 제품명, KC번호 없음 | 인쇄 공정 누락 |
외경 초과 | 설계 Ø13.0mm → 납품 Ø14.5mm | 배관 간섭 발생 |
시험성적서 누락 | 연소시험 항목 미포함 | 감리 지적 |
KC 인증 불일치 | 성적서는 있지만 KC 없음 | 납품 반려 |
색상 오류 | 접지선 없이 납품 | 설계 미이행 |
📌 전원선은 출력 조건에 직접 연결되므로
감리에서 안전성 위주로 꼼꼼히 체크합니다. 실수가 시공 전체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9. 설계 체크리스트
항목 | 체크리스트 |
도체 단면 | 허용 전류와 부하 조건에 맞는지 확인 |
외피 외경 | 배관, 글랜드 여유 고려 |
접지 여부 | 접지 포함형인지 명확히 명시 |
마킹 내용 | 규격, KC번호 포함 여부 확인 |
시험성적서 | 인장강도, 연신율, 연소시험 포함 |
포장 형식 | 릴 or 판넬, 라벨 포함 여부 확인 |
✅ 정리하며 느낀 포인트
VCT 전선은 단순한 산업 전원선 같지만,
그 안에는 기본기 + 유연성 + 고신뢰도 시공성이 모두 담겨 있습니다.
📌 요약하자면:
- KS VCT는 0.6/1kV 이하 고정형 전원선
- 연선 다심 구조로 유연하며 중전류 회로에 적합
- 인쇄, 외경, 성적서, KC번호 감리 대응 준비 필수
- 배관·글랜드 간섭 방지 위해 외경 계산 중요
- 특수 환경일 땐 고온형, 내유형, 저연형 검토 권장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 > 규격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UL1007. 미국 규격 기기내 배선용 전선 해설 - 규격 정보 #59. (0) | 2025.05.04 |
---|---|
KS VCTF. 유연성 중심 가정용 전원선 규격 - 규격 정보 #58. (0) | 2025.05.03 |
KS CVVS. 차폐 포함 제어용 전선의 핵심 기준 - 규격 정보 #56. (0) | 2025.05.01 |
KS CVV. 국내 제어용 비차폐 전선 규격 분석 - 규격 정보 #55. (0) | 2025.04.30 |
60227 IEC 57. 제어 및 통신 회로용 전선 해설 - 규격 정보 #54. (0) | 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