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규격 정보

60227 IEC 52. 연선 구조 플렉시블 전선 해설 - 규격 정보 #52.

Wired Grafia 2025. 4. 23.

60227 IEC 52 – 연선 구조 플렉시블 전선 해설

“가장 많이 휘어지는 전선은 무엇일까?”

연선구조의 바위에 보호성, 유연성이 추가되고 신속과 가장차 가능한 ‘기본형’ 플렉시블 전선…
그 기준이 고정되어 있는 규격이 바로 60227 IEC 52입니다.

가장 많이 발생하는 유연구조가 포함된 규격으로, 보통 건설 공사, 개별, 내부 기기관 및 간단 시공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플렉시블 전선 규격이라 보시면 됩니다.

고정과 유연성, 건설적 시공성, 단가 보도 가능성 추구로 넘어가는 IEC 52 전선의 개념과 규격 관련 목차를 첫 포스트에서 종합적으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 1. 기본 구조와 특징

60227 IEC 52는 단심 전선이 아닌, 연선(Stranded) 구조를 가진 플렉시블(Flexible) 전선입니다.
즉, 같은 1.5mm²라도 도체가 여러 가닥으로 구성되어 유연성이 높고, 굽힘 반경이 작습니다.

구성 요소 내용
도체 Class 5 또는 6 연선 (보통 30가닥 이상)
절연체 일반 PVC, Type B 적용
외피 없음 (단심 구조)
색상 Red / Black / White / Blue 등

📌 외피가 없기 때문에 배관 내 시공이 기본 전제입니다.


⚡ 2. 정격 전압 및 온도

항목 수치
정격 전압 300 / 500V
허용 온도 70°C
단락 시 온도 160°C
시험 전압 AC 2,000V / 5분

📌 IEC 기준은 모든 시험을 20±5°C, 50±20% RH 조건에서 수행합니다.


📏 3. 대표 규격별 구조

단면적 (mm²) 연선 구성 (예시) 절연 두께 (mm) 외경 (mm) 최대 도체 저항 (Ω/km @20℃)
0.75 24/0.20 0.6 ~2.5 24.5
1.0 32/0.20 0.6 ~2.8 18.1
1.5 30/0.25 0.7 ~3.3 12.1
2.5 50/0.25 0.8 ~4.0 7.41

📌 실제 외경은 제조사마다 약간 다르며, 절연 수축률, 압출 공정, 냉각 시간 등에 따라 ±0.2~0.5mm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4. KS 기준과의 차이

IEC 60227-52는 국내 KS C IEC 60227-4에 해당하며, 대부분의 항목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실제 감리 대응이나 설계 시 다음 항목은 유의해야 합니다.

항목 IEC 기준 KS 기준 비고
인증 방식 시험소 자율 KC 인증 의무 국내 납품 시 KC 필수
외피 인쇄 옵션 제품명, KC번호, 규격 필수 감리에서 누락 시 탈락
색상 제한 없음 일부 회로별 색상 권장 설계서와 불일치 시 문제 발생
규격 표기 예: 60227 IEC 52 예: KS C IEC 60227 52 인쇄 내용 모두 일치해야 함

📌 KC 번호, 제품명, 규격, 제조사명은 반드시 외피에 반복 인쇄되어야 감리에서 통과됩니다.


🧠 5. 적용 환경 및 설계 조건

주로 사용되는 장소:

  • 천장 내부, CD관 / PF관 배선
  • 콘센트, 조명, 스위치 간 배선
  • 분전반 내부 배선
  • 일반 실내 저전력 회로

설계 기준 팁:

항목 기준
굽힘 반경 외경 × 4 이상
최대 사용 길이 30m 이하 (단위 회로 기준)
색상 구분 최소 2색 이상 / 접지선은 Green-Yellow 권장
포설 조건 배관 또는 몰딩 내부
연결부 압착 터미널 또는 절연 커넥터 사용

📌 노출 포설은 방염기준 미충족으로 권장되지 않으며,
차폐/EMC 성능이 필요한 회로엔 부적합합니다.


🧪 6. 시험 기준 및 물성 항목

IEC 60227-52 전선은 아래의 시험 항목을 통과해야 합니다:

항목 기준
절연 내전압 AC 2,000V / 5분간
인장강도 (절연체) ≥ 10 MPa
연신율 (절연체) ≥ 125%
절연 두께 평균 규격 이상 (예: 0.7mm)
절연 두께 최소값 평균의 90% 이상
연소 시험 IEC 60332-1 기준 충족 (1선 수직 연소 시험)

📌 시험은 표준온도(20℃), 상대습도(50±20%) 환경에서 진행되며,
감리용 시험성적서는 항목별 수치가 기재되어 있어야 합니다.


🧱 7. 절연 재료 구성 비교

소재 적용 특성
PVC B Type IEC 52 기본 적용 70℃, 유연, 비용 저렴
LSZH 옵션 사용 무독성, 비용 상승
고무계 IEC 52 미적용 고온용 별도 규격 필요
XLPE 미적용 고전압용, 열경화성

📌 IEC 52에서는 PVC가 기본이지만,
실내 환경 및 연소 시 유독 가스 문제를 고려해 LSZH 대체 적용도 점점 늘고 있습니다.


🛠️ 8. 제조 스펙 예시

예시: 60227 IEC 52 / 1.5mm² 3C 전선

항목 사양
도체 연선 30/0.25mm
절연 PVC Type B, 0.7mm
색상 Black / White / Green-Yellow
외경 약 3.3mm
마킹 “60227 IEC 52 3×1.5mm² 300/500V KC XXXXX”
성능 인장강도 11.5MPa / 연신율 140% / 내전압 2kV

📌 색상 구성은 설계도 기준으로, 접지 포함 시 Green-Yellow는 필수,
Phase 컬러는 설계서와 동일해야 감리에서 통과됩니다.


📁 9. 납품 포장 및 현장 적용 팁

포장 형태 설명 용도
100m 코일 수축필름 or 비닐 포장 일반 전기자재용
300m / 500m 릴 나무 or 플라스틱 릴 건설 납품용
판넬 포장 직선 정리형 시공 편의성 우수
낱개 Label 제품명, 규격, KC번호 기재 감리용 제출용 필수

📌 인쇄가 릴 내부부터 시작되는 경우 인쇄샘플 별도 출력본 제출 필수


⚠️ 10. 감리 탈락 주요 사례

항목 탈락 사유
외피 인쇄 없음 제품명, KC번호 누락
색상 불일치 설계서와 다른 색상 조합
외경 오버 설계 3.3mm → 납품 4.0mm
절연 두께 미달 평균 0.7mm, 납품 제품은 0.55mm
성적서 누락 연신율, 인장강도 수치 미기재

📌 감리 대응 시 성적서 + 제품 인쇄 + 색상 구성 확인은 무조건 선제 준비되어야 합니다.


✅ 정리하면서 느낀 포인트

예전엔 단순히 “유연한 선 = 연선”으로만 생각했지만,
지금은 그 안에 연선 가닥 수, 절연 두께, 시험 기준, 색상 규정, 감리 포인트까지
전부 설계되어 있다는 걸 제대로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 요약하자면:

  • IEC 52는 기본 유연 전선 규격, 실내 배선에 널리 사용
  • 연선 구조로 굽힘 반경 우수, 시공성 탁월
  • 절연 두께, 인쇄, 인증 조건 반드시 사전 확인
  • KS, UL 등 타 규격과 대체 불가
  • 색상, 외경, 감리 대응 기준까지 설계서와 100% 일치 필요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