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리즈는 제조업 각 부서의 실제 업무 흐름을 중심으로,
각 단계에서 필요한 문서와 담당자의 역할까지 세세히 정리해보는 시리즈입니다.
그 첫 편으로 영업부(Sales Dept.)의 핵심인 수주 프로세스를 안내해 드릴게요.
🧭 영업부의 역할이란?
영업팀은 단순히 ‘판매’만 하는 부서가 아닙니다.
- 시장조사
- 고객 대응
- 견적/계약
- 사내 연계
까지 모두 비즈니스의 출발점이자, 생산, 구매, 품질, 물류 등 모든 부서를 연결하는 핵심 허브입니다.
🗂️ 수주 프로세스 전체 흐름
단계 | 내용 | 주요 문서 | 담당자 |
1. 고객 접촉 | 기존 또는 신규 고객 접점 확보 | 방문기록 / 상담노트 | 영업사원 |
2. 요구사항 파악 | 제품 규격, 수량, 납기 요청 수집 | 고객 요구사항서 | 영업사원 |
3. 견적 제안 | 내부 검토 후 가격, 조건 제시 | 견적서 (Quotation) | 영업 담당 |
4. 협의 및 조정 | 단가, 납기, 조건 등 조율 | 협상 요약, 이메일 | 영업팀 |
5. 계약 체결 | 거래조건 확정 및 서면 체결 | 계약서 | 영업 + 경영진 |
6. 수주 등록 | ERP 등 시스템에 오더 입력 | 수주등록서 (SO) | 영업지원팀 |
7. 생산 요청 | 생산계획팀에 작업 요청 | 생산 요청서 | 영업지원팀 |
8. 납품 계획 수립 | 고객 납기 기준에 맞춰 일정 확정 | 납품 일정표 | 영업+물류 |
📝 핵심 문서 예시 설명
- 견적서 (Quotation)
제품 사양, 수량, 단가, 납기 포함한 공식 제안서 - 계약서 (Contract)
법적 구속력 있는 거래 조건 명시 문서 - 수주등록서 (Sales Order)
ERP 시스템에 등록되는 내부 기준 문서 - 생산요청서 (Production Request)
생산 부서와의 연결 시작점
🤝 부서 간 협업 흐름도
[고객] → [영업] → [생산/구매] → [품질/물류] → [고객 납품]
- 생산팀: 납기 일정 조율
- 품질팀: 고객 사양 전달 및 대응
- 구매팀: 자재 확보
- 물류팀: 포장, 출하일정 공유
📌 케이블 제조업 체크 포인트
구분 | 체크포인트 | 내용 |
사양 다양성 | 사전 스펙 확인 필수 | 도면, 전선 규격 등 정확하게 수집 |
납기 민감도 | 현장공사 연계 많음 | 일정 초과 시 패널티 가능성 |
단가 경쟁력 | 프로젝트형 거래 많음 | 장기 납품 전제 단가 조율 중요 |
고객 교육 | 케이블 이해도 낮은 고객 대응 | 라운드/평면, 피복/내열 등 설명 필요 |
📧 메일 예시
[견적서 회신 요청 시]
KR: 고객 요청사항에 따른 견적서를 첨부드립니다. 검토 후 회신 부탁드립니다.
EN: Please find attached the quotation based on your request. Kindly review and revert.
VI: Xin vui lòng xem báo giá đính kèm theo yêu cầu của quý khách và phản hồi giúp chúng tôi.
📎 부서별 업무 분담 요약
부서 | 주요 역할 |
영업팀 | 고객 커뮤니케이션, 견적, 계약 |
영업지원팀 | 수주 등록, 생산 요청 |
생산팀 | 납기 대응 및 생산 계획 수립 |
품질팀 | 고객 요구사항 반영, 품질 보증 |
물류팀 | 출하 일정 관리, 납품 수행 |
🧩 마무리하며
수주 프로세스는 제조업의 출발점입니다.
영업부의 대응이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냐에 따라 생산, 납기, 비용, 신뢰 모두가 결정됩니다.
이번 글을 통해 영업 업무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셨길 바랍니다.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오늘의' 시리즈 > 공정 흐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품질팀의 검사 프로세스 완전 정리 (IQC, IPQC, FQC 문서 흐름 포함) - 공정 흐름 #02. (0) | 2025.04.2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