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한눈에 보는' 하네스 정보/생산 공정 정보

스트리핑(Stripping) 공정 기준과 주의사항 / 피복 벗기기의 기술 - 하네스 생산 공정 #12.

Wired Grafia 2025. 5. 12.

🧰스트리핑(Stripping) 공정 기준과 주의사항 / 피복 벗기기의 기술


하네스 공정에서 스트리핑(Stripping)은 작지만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절연 피복을 너무 짧게 벗기면 크림핑 불량,
너무 길게 벗기면 전선 노출로 인한 쇼트 위험이 발생하죠.
이번 편에서는 스트리핑의 정의, 공정 기준, 장비 종류, 실무 노하우를 정리해보겠습니다.


🔧 1. 스트리핑이란?

스트리핑은 전선 끝단의 피복을 일정 길이만큼 벗겨내는 작업입니다.
크림핑 또는 납땜을 위해 도체(구리선)를 노출시키는 과정이죠.

  • 피복이 벗겨진 길이를 “스트리핑 길이”라고 부름
  • 일반적으로 3mm ~ 5mm가 표준
  • 사용 단자 사양에 따라 길이가 다름

✅ 스트리핑은 단자 결합의 기반이 되는 핵심 작업입니다.


🧰 2. 스트리핑 장비 종류

장비 종류 설명 사용 환경
수동 스트리퍼 핸드 툴로 사람이 직접 벗김 샘플 제작, 수량 적을 때
반자동 스트리퍼 전선을 넣고 버튼을 누르면 피복 자동 제거 소량 생산 또는 유연 작업
자동 컷&스트립기 컷팅과 스트리핑을 동시에 자동 처리 대량 생산, 정밀 작업용

✅ 장비 선택은 작업 물량과 도선 사양에 맞춰 결정해야 합니다.


📏 3. 스트리핑 길이 기준

스트리핑 길이는 단자 규격 또는 크림핑 구간에 따라 결정됩니다.

  • 110 단자: 보통 4.0mm ± 0.3mm
  • 187 단자: 약 5.0mm ± 0.5mm
  • 하우징 포함 압착: 6.0mm 이상 필요할 수도 있음
  • 고객사 사양에 따라 세부 기준이 달라질 수 있음

✅ 도면이나 단자 스펙시트를 꼭 확인하고 조정하세요.


🚫 4. 스트리핑 불량 사례

🔸 스트리핑 길이 과다

  • 증상: 도체 노출 과다 → 쇼트 위험
  • 원인: 장비 세팅 미비, 작업자 미숙

🔸 스트리핑 길이 부족

  • 증상: 단자 크림핑 불완전, 전기 접촉 불량
  • 원인: 길이 미측정, 단자 사양 오해

🔸 도체 손상 (절상)

  • 증상: 전선 끊어짐, 전류 용량 저하
  • 원인: 칼날 압력 과다, 피복 깊이 과도

✅ 스트리핑 후엔 반드시 도체 손상 유무, 길이 측정을 함께 점검해야 합니다.


🧠 5. 실무 노하우

  • 크림핑 전, 스트리핑 길이를 전용 게이지로 측정
  • 단자별 표준 길이표를 책상 위에 부착
  • 도체가 손상된 경우 반드시 재작업 (납땜으로 임시 대응 금지)
  • 멀티코어 전선은 각 코어마다 별도 스트리핑 관리
  • 자동 장비 사용 시 날 상태 주기적 점검 필수

✅ 특히 납품용 하네스는 스트리핑 공정만 따로 1차 검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마무리 정리

스트리핑은 짧지만 매우 정밀한 공정입니다.
길이 ±0.5mm의 오차 하나가 크림핑 불량 → 단자 빠짐 → 제품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죠.
기계든 수작업이든 스트리핑 길이, 도체 상태, 규격 일치를 항상 체크하는 것이
하네스 품질의 기본 중 기본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크림핑 공정의 기준과 검사 방법을 이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