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ul3135 11

실리콘 전선의 인증 기준: UL, VDE, CCC 구조 및 시험 항목 비교 - 실리콘 전선 정보 #19.

📚실리콘 전선의 인증 기준: UL, VDE, CCC 구조 및 시험 항목 비교실리콘 전선은 다양한 고온, 고전압, 기계적 환경에서 사용되며, 이에 따라 국가별 인증 기준이 상이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UL (미국), VDE (독일), CCC (중국)의 실리콘 케이블 관련 주요 인증 기준과 시험 항목을 구조 중심으로 비교합니다.🇺🇸 1. UL (Underwriters Laboratories) 기준📌 대표 규격: UL3135, UL3239, UL3122구조: 단심 연선 + 실리콘 압출 절연 (경우에 따라 유리섬유 보강)시험 항목:내전압 시험 (Dielectric Withstand)Flame VW-1 연소 시험연신율/인장강도, 절연저항온도 등급: 150~250℃🇩🇪 2. VDE (Verband der..

실리콘 전선의 전기적 특성: 내전압, 절연저항, 유전율 기준 비교 - 실리콘 전선 정보 #17.

📚실리콘 전선의 전기적 특성: 내전압, 절연저항, 유전율 기준 비교실리콘 케이블은 고온·고유연성이라는 물리적 특성 외에도 전기적 성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보되어야산업기기, 센서, 고전압 배선 등 실무 환경에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리콘 전선의 대표 전기 특성인 내전압, 절연저항, 유전율을 기준 중심으로 비교 정리합니다.⚡ 1. 내전압 (Dielectric Withstand Voltage)📌 정의: 전선이 견딜 수 있는 최대 교류 전압시험 조건: 60초간 고전압 인가 후 절연 파괴 유무 확인실리콘 전선 기준:UL3135: 600V 정격 → 내전압 2,000V AC 이상UL3239: 3,000~15,000V AC까지 등급 다양🔌 2. 절연저항 (Insulation Resi..

실리콘 전선의 대표 시험 항목: 내열성, 연화점, 절연저항 기준 - 실리콘 전선 정보 #15.

📚실리콘 전선의 대표 시험 항목: 내열성, 연화점, 절연저항 기준실리콘 케이블은 고온 환경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 재질 특성 기반의 시험이 중요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리콘 전선의 품질을 검증하기 위한 세 가지 대표 시험 항목인내열성(Heat Resistance), 연화점 시험(Softening Point), 절연저항(Insulation Resistance)을 상세히 정리합니다.🔥 1. 내열성 시험 (Heat Resistance Test)📌 목적: 고온 상태에서 절연체가 구조를 유지하는지 확인조건: 150℃ ~ 200℃ 환경에서 7 ~ 14일 노출 후 물성 유지 여부 측정판정 기준: 균열 없음, 경도 변화 ±20% 이내적용 기준: UL3135, UL3068, UL3239 등 실리콘 전선군..

실리콘 케이블 절연 색상 코드와 실무 식별 전략 - 실리콘 전선 정보 #14.

📚실리콘 케이블 절연 색상 코드와 실무 식별 전략실리콘 케이블은 고온, 유연성, 내화학 특성 외에도 절연 색상을 통한 빠른 식별이 매우 중요합니다.전기 배선이나 제어판 내부에서 실리콘 전선의 색상은 회로 안전, 유지보수 효율성, 오류 예방에 영향을 줍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리콘 케이블의 절연 색상 규칙과 실무 적용 전략을 정리합니다.🎨 1. 실리콘 전선의 절연 색상 구성 방식✔ 단심(Single Core): 적, 흑, 백, 청, 황, 녹 등 색상 다양✔ 다심(Multi Core): 외피는 회색 or 검정, 내부 도체에 색상 차등✔ 고온용 히터선/온도선: 붉은색/갈색/흰색 등 고온 식별 강조🌍 2. 색상 규칙 참고 – 국제 코드 적용 여부용도추천 색상내용+극 전원적색고전압 또는 DC 회로–극 전원흑..

실리콘 전선의 OD 설계 기준과 절연 두께 최적화 전략 - 실리콘 전선 정보 #12.

📚실리콘 전선의 OD 설계 기준과 절연 두께 최적화 전략실리콘 케이블은 유연성과 고온 내성을 살려 다양한 전기·기계 장치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설계 과정에서 외경(OD) 과 절연 두께를 균형 있게 설정하지 않으면, 가공성 저하, 납땜 실패, 단가 상승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UL Style 기준을 중심으로 실리콘 전선의 OD 설계 방식과 절연 최적화 전략을 다룹니다.📐 1. 실리콘 케이블 OD(외경)의 설계 방식▶ OD 구성 공식OD ≒ 도체 직경 + (절연 두께 × 2) + 외피 (있는 경우)예: AWG22(0.65mm) + 절연 0.6mm×2 = 약 1.85mm외피 추가 시 약 2.5~3.0mm 수준▶ 굴곡 반경 기준일반적으로 OD × 4~6로봇암, 힌지선 등은 OD 작..

실리콘 케이블의 구조별 주요 단면 해설 (단심, 다심, 차폐형 비교) - 실리콘 전선 정보 #11.

📚실리콘 케이블의 구조별 주요 단면 해설단심, 다심, 차폐형 비교실리콘 케이블은 유연성과 고온 내성이 뛰어나 다양한 구조 형태로 제작되며, 구조에 따라 적용 가능한 산업과 전기적 특성이 달라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리콘 전선의 세 가지 주요 구조인 단심(Single Core), 다심(Multi Core), 차폐형(Shielded)을 중심으로 단면 구조를 해설하고, 실무에서 자주 활용되는 조합별 특징과 적용 팁까지 공유합니다.🧵 1. 단심 실리콘 케이블 (Single Core)🔸 구조: 1가닥 도체 + 절연🔸 장점: 가볍고 단순한 구조, 고온 구간 연결선 등에 적합🔸 적용 예: 전기히터, 실내 고온 배선, 의료기기 내부선🔸 규격 예시: UL3135 (300V), UL3239 (3kV~30kV..

UL 실리콘 전선의 난연성 등급과 VW-1 인증 구조 해설 - 실리콘 전선 정보 #09.

📚UL 실리콘 전선의 난연성 등급과 VW-1 인증 구조 해설실리콘 전선은 고온·고내화학성 외에도 우수한 난연성(Fire Resistance)을 갖추고 있어 산업·의료·항공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됩니다. 특히 미국 UL 인증 기준 중 하나인 VW-1 (Vertical Wire Flame Test)은 전선의 기본 난연 성능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로 사용됩니다.이번 편에서는 UL 실리콘 전선의 VW-1 인증 구조와 실제 난연 시험 방식, 실무 적용 기준을 상세히 해설합니다.🔥 1. VW-1 시험이란?항목내용시험 목적수직 화염 노출 시 전선이 쉽게 연소되는지 여부 측정시험 기준UL1581 (Section 1080)사용 화염티루치 버너 (Tirrill Burner), 온도 약 1100~1200℃적용 대상UL758..

UL 실리콘 전선의 전류 허용량과 굴곡 수명 비교 - 실리콘 전선 정보 #08.

📚UL 실리콘 전선의 전류 허용량과 굴곡 수명 비교UL 인증 실리콘 전선은 300V~30kV까지 다양한 정격으로 존재하지만, 실제 설계에서는 전류 허용량(Ampacity)과 굴곡 수명(Flex Life)이라는 두 가지 요소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힌지 구조나 반복 굴곡 환경에서는 일반 전선보다 실리콘의 내구성이 강점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UL3068, UL3135, UL3239 등의 전선이 가지는 전류 허용 기준과 반복 굴곡 수명을 정리해 실무에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1. 실리콘 전선의 전류 허용량 개요도체 크기 UL3135 (600V 기준) UL3068 (300V 기준) 참고 기준18AWG약 10A약 7~8AUL758NEC 표 기준16AWG약 13A약 10A14AWG약 18A..

실리콘 케이블의 인증서 해석법과 고전압 Style별 정리 - 실리콘 전선 정보 #06.

📚실리콘 케이블의 인증서 해석법과 고전압 실리콘 전선 Style별 정리실리콘 전선은 UL 인증 Style에 따라 300V~30kV까지 다양하게 구성되며, 전압 등급에 따라 인증 문서에 기재되는 시험 항목과 구조 사양도 크게 달라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리콘 전선의 UL 인증서 해석법과 고전압 Style별 특성 정리를 중심으로 실무 체크포인트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 UL 인증서 기본 구성 항목항목내용Style 번호예: UL3135, UL3239 등정격 전압/온도300V / 600V / 30kV, 150~200℃절연체 재질실리콘 고무 (Silicone Rubber)도체 종류주석 도금 연선, 은도금 연선 등난연성 등급VW-1 또는 FT-2 등급인증 일자최신성 확인 필요제조사명 / 발급 기관UL, C..

UL3135 vs UL3068 vs UL3239 전압 정격별 실무 비교 - 실리콘 전선 정보 #05.

📚UL3135 vs UL3068 vs UL3239 – 실리콘 전선 전압 정격별 실무 비교실리콘 케이블은 전압 정격에 따라 UL3135 (600V), UL3068 (300V), UL3239 (최대 30kV)로 구분되며, 각각 용도와 구조, 설치 방식에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세 가지 Style의 전압 정격별 특성과 실무 적용 차이를 집중 분석합니다.🔋 1. 세 가지 UL Style 기본 비교항목UL3135UL3068UL3239전압 정격600V300V5~30kV (등급별)온도 정격200℃150℃150~200℃절연 재질실리콘 고무실리콘 고무실리콘 고무구조연선 + 두꺼운 절연연선 + 얇은 절연연선 + 고전압 절연 두께주요 용도고온 배선 / 히터일반 기기 내부 배선의료, 고전압 회로 등✅ UL..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