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한눈에 보는' 하네스 정보/생산 공정 정보

하네스(Harness) 클립·타이 체결과 고정 위치 기준 / 흔들림 없는 고정이 품질이다 - 하네스 생산 공정 #16.

Wired Grafia 2025. 5. 13.

🔗하네스(Harness) 클립·타이 체결과 고정 위치 기준


하네스를 제품에 설치할 때 전선이 흔들리거나 부딪힌다면?
결국 진동, 마모, 단락, 심지어 화재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하네스는 단자나 배선만큼 ‘고정’도 중요합니다.
이번 편에서는 클립과 타이의 종류, 체결 방법, 고정 위치 기준을 실무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 1. 클립과 타이의 역할은?

하네스 고정부품의 핵심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정: 진동/충격 시 움직임 최소화
  • 유도: 배선의 위치를 제품 구조에 맞게 안내
  • 보호: 날카로운 금속, 모서리 접촉 방지
  • 조립 효율: 사전 설치 시, 하네스 작업 시간 단축

✅ ‘배선이 헐렁하면 고정 불량’입니다.
설치 후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체결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2. 클립 종류와 특성

종류 특징 주 사용처
푸시 클립 손으로 눌러 고정하는 플라스틱 클립 차량 내부, 금속 프레임 부착용
스냅 클립 하우징 구조와 결합되어 ‘딱’ 소리로 체결 장비 내장형 하네스 고정
마운트 타이 양면테이프 or 나사 체결용 베이스 포함 벽면 고정, 제어반 등
일반 케이블 타이 저비용, 범용성 높음 간단한 다발 고정

✅ 클립은 부착할 표면의 재질(금속/플라스틱/곡면 등)에 따라
종류와 구조를 달리 선택해야 합니다.


📏 3. 타이 체결 기준

  • 간격: 전선의 진동 범위 내 300~500mm마다 1개 이상
  • 당김 강도: 흔들리지 않을 정도로만. 너무 세게 조이면 전선 손상
  • 방향: 돌출부가 외부 제품이나 사용자와 간섭되지 않도록 위치 설정
  • 여유: 전선이 약간 움직일 수 있는 여유 공간 확보 (팽팽 금지)
  • 마감 처리: 잘린 타이 끝단은 날카롭지 않게 정리

✅ 타이는 묶는 게 아니라 “지지하는 것”입니다.
과도한 장력은 도체 단선 또는 피복 파손의 원인이 됩니다.


📍 4. 고정 위치 기준

위치 기준 내용
커넥터 후방 50mm 하우징 뒤쪽 고정 → 흔들림 최소화
분기점 주변 Y자 구조 분기점 전/후 고정 필요
장비 설치 포인트 나사 체결 구조 또는 클립 구멍 위치에 맞춰 고정
모서리 전환 구간 90도 굽힘 전후에는 반드시 타이 또는 클립 사용

✅ 도면에 고정 위치가 없을 경우,
현장 설치 기준 또는 고객사 조립 가이드를 참고합니다.


🧠 5. 실무 노하우

  • 고정 전, 배선 경로와 커넥터 방향을 먼저 잡은 후 체결
  • 금속 구조물과 접촉할 때는 보호튜브+타이 조합 권장
  • 타이 헤드 방향은 외관을 고려해 항상 동일한 방향 유지
  • 클립 체결 후 손으로 흔들어 유격 확인
  • 고객사 도면에는 보통 “CLIP-1”, “TIE-2” 식으로 명기됨 → 위치 번호 확인 필수

✅ 고정 작업은 마지막 공정이 아니라,
설치 전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품질 포인트입니다.


✅ 마무리 정리

하네스의 기능은 연결이지만,
제품에 붙어 있을 때만 진짜 하네스 역할을 합니다.

클립과 타이는 단순한 보조 부품이 아니라
하네스의 안정성과 내구성, 그리고 최종 품질을 지지하는 기초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하네스의 라벨 부착 기준과 식별 관리 팁을 소개해드릴게요!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