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징 조립과 락킹 구조 이해 – 단자 삽입 실무 포인트
전선을 자르고, 피복을 벗기고, 단자까지 잘 압착했는데…
막상 하우징에 삽입하다가 단자가 빠지거나 거꾸로 들어가면
전체 작업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갑니다.
이번 편에서는 하우징 조립 시 단자 삽입 방법, 락킹 구조의 의미,
실무에서 놓치기 쉬운 부분까지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1. 하우징이란?
하우징(Housing)은 크림핑된 단자를 수용하고, 정확하게 위치 고정해주는 플라스틱 커넥터 외장입니다.
- 수 커넥터(Male) / 암 커넥터(Female)로 구분
- 단자 수에 따라 1핀부터 수십 핀까지 다양
- 하우징 안에는 단자를 고정하는 락 구조가 설계돼 있음
- 방수, 방진, 고온 대응 등 특수 목적 하우징도 존재
✅ 하우징은 단자 보호뿐 아니라 연결의 정확성, 안전성 확보 역할까지 담당합니다.
🔗 2. 락킹 구조란 무엇인가?
락킹(Locking)은 단자를 하우징 안에 정확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조입니다.
- 탭 구조: 단자가 삽입되면 내부 걸쇠(탭)가 걸리며 고정
- 세컨더리 락(보조 고정): 외부에서 별도 플라스틱 핀을 눌러 락을 강화
- 체크 포인트: 삽입 시 “딱” 소리가 나며 걸리는 느낌이 있어야 함
✅ 락이 걸리지 않으면 단자가 빠지고,
진동/열/충격에 의한 전기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3. 하우징 조립 공정 흐름
- 단자 크림핑 완료 후 정렬
- 도면에 따라 핀번호 및 회로 색상 확인
- 지정된 하우징 슬롯에 삽입
- 삽입 후 락킹 여부 육안 + 소리로 확인
- 세컨더리 락 구조가 있는 경우 보조 고정
- 육안 검사 또는 핀 테스터로 이탈 여부 확인
✅ 순서가 간단해 보여도, 단 1개라도 위치 오류나 역삽이 생기면 하네스 전체 재작업입니다.
⚠️ 4. 자주 발생하는 삽입 불량
유형 | 증상 및 원인 |
역삽 | 단자가 반대 방향으로 삽입됨 |
미삽입 | 락까지 닿지 않아 단자가 밀리거나 헐렁함 |
과삽입 | 지나치게 밀어넣어 하우징 파손 또는 락 손상 |
핀배열 오류 | 핀번호 순서 착오로 회로 잘못 연결 |
라벨 미부착 | 하우징 구분 불가 → 검사 시 식별 어려움 |
✅ 불량 방지를 위해서는 삽입 전 회로 체크, 삽입 후 락킹 확인을 반드시 이중 확인해야 합니다.
🧠 5. 실무 노하우
- 작업대 위에 핀배열 순서 이미지를 출력해 부착
- 색상 + 회로번호를 기준으로 이중 체크
- 세컨더리 락이 있는 하우징은 삽입 전후 모두 눌러보기
- 삽입 후 ‘딱’ 소리가 나지 않으면 재삽입 권장
- 숙련 작업자도 랜덤 교차검사를 받도록 설정
✅ 하우징 조립은 단순 반복 작업처럼 보이지만,
불량 1건이 제품 전체 불량이 되는 대표 공정입니다.
✅ 마무리 정리
하우징 조립은 단자의 마지막 정착지입니다.
전기적으로는 문제가 없어도, 락이 걸리지 않으면
현장에서 선이 빠지고 불량이 발생하게 됩니다.
작업자는 도면에 따라 정확히,
검사자는 락킹 여부를 기준으로,
관리자는 불량 유형을 체계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하네스의 테이핑 기준과 마감 처리 요령을 소개해드릴게요!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한눈에 보는' 하네스 정보 > 생산 공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네스(Harness) 클립·타이 체결과 고정 위치 기준 / 흔들림 없는 고정이 품질이다 - 하네스 생산 공정 #16. (0) | 2025.05.13 |
---|---|
하네스(Harness) 테이핑 기준과 마감 처리 요령 / 외형이 품질이다 - 하네스 생산 공정 #15. (0) | 2025.05.12 |
크림핑(Crimping) 공정 기준과 검사 방법 / 단자 결합의 품질을 결정짓다 - 하네스 생산 공정 #13. (0) | 2025.05.12 |
스트리핑(Stripping) 공정 기준과 주의사항 / 피복 벗기기의 기술 - 하네스 생산 공정 #12. (0) | 2025.05.12 |
하네스(Harness) 제작 공정 흐름 총정리 / 컷팅부터 검사까지 한눈에 - 하네스 생산 공정 #11. (0) | 202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