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ev전선 5

EV 전선의 커넥터 몰딩과 종단 처리 설계법 - EV 전선 정보 #25.

🔋EV 전선의 커넥터 몰딩과 종단 처리 설계법EV 전선은 고온·고전류 환경에서 장기간 사용되기 때문에,커넥터와 전선의 종단 연결부 설계는 제품 신뢰성과 내구성 확보의 핵심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EV 전선의 종단 처리 방식과 몰딩 설계의 실무 포인트를 정리합니다.🔗 1. 종단 처리의 중요성전기적 안정성 확보 → 접촉 저항 최소화기계적 보호 → 굴곡 및 진동에 의한 손상 방지방수/방진 성능 → 커넥터 내부 침수 및 오염 방지열 확산 차단 → 고온부 전도 방지🧱 2. 주요 종단 처리 방식오버몰딩 (Overmolding):단자 압착 후 성형 수지로 전체 씌우는 구조실리콘 / TPU / PA66 재질 사용자동차급 수분/먼지/열 충격 대응히트슈링크 + 실링:열수축 튜브 + 방수 실리콘 또는 본딩 수지 병행모..

EV 전선의 외피 소재 비교: XLPE, TPE, LSZH 적용 전략 - EV 전선 정보 #23.

🔋EV 전선의 외피 소재 비교: XLPE, TPE, LSZH 적용 전략EV 전선의 외피는 단순한 피복을 넘어 기계적 보호, 환경 내성, 화재 안전성을 좌우하는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EV 배선에 주로 사용되는 XLPE, TPE, LSZH 외피의 특성을 비교하고, 용도별 적용 전략을 정리합니다.🔍 1. 외피의 역할과 선택 기준역할: 전선 외부 보호, 열·화학·기계적 스트레스 차단📌 선택 기준:내열성 (100~150℃)유연성 및 반복 굴곡성연소 시 독성 가스 발생 여부내오일, 내약품, UV 차단 여부📊 2. 주요 외피 재료 비교구분XLPETPELSZH내열성130~150℃90~125℃90~105℃유연성중우수보통연소 시 연기보통적음매우 적음 (Halogen-Free)내오일/약품우수중~우수..

EV 배선용 전선의 인장강도, 연신율 기준과 재료별 특성 비교 - EV 전선 정보 #22.

🔋EV 배선용 전선의 인장강도, 연신율 기준과 재료별 특성 비교EV 배선용 전선은 구동, 충전, 제어, 통신 등 다양한 환경에 사용되며, 기계적 물성인 인장강도와 연신율은 구조 안정성과 신뢰성 확보의 핵심 지표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EV 전선에 사용되는 재료별 특성과 함께 국제 기준값, 설계 권장 조건을 비교합니다.🧪 1. 인장강도(Tensile Strength)와 연신율(Elongation)의 정의인장강도: 전선 절연/외피가 찢어지기 전까지 버티는 최대 응력 (단위: MPa)연신율: 인장 시 늘어난 길이의 비율 (%) → 유연성/내마모성과 직결📊 2. 대표 재료별 특성 비교재료인장강도 (MPa)연신율 (%)특징XLPE12~20150~300열경화형 절연, 고온 내열Silicone6~10200~50..

EV 전선의 수명 예측 기준과 열화 요소 분석 - EV 전선 정보 #21.

🔋EV 전선의 수명 예측 기준과 열화 요소 분석EV 전선은 단순한 소모품이 아니라 차량의 안전과 성능에 직결되는 핵심 구성품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EV 케이블의 수명 예측 기준과 실제 열화 요인을 중심으로실무 설계 시 고려해야 할 항목과 테스트 항목을 정리합니다.⏳ 1. EV 전선 수명 예측의 중요성전선 열화는 전류 강하, 절연 파괴, 화재 위험으로 이어짐OEM에서는 통상 10년 / 240,000km 수명을 요구수명 예측 결과는 Warranty 조건 및 재료 선택의 핵심🔥 2. 주요 열화 요소열 (고온 운전, Inverter/Charger 주변)기계적 마찰 (배선 하니스 내부 진동)환경 (오일, 습기, 먼지, UV)전기적 부하 (EMI, 서지, 과전류)🧪 3. 수명 예측 시험 항목열노화 가속 시험..

[Weekly Issue] 케이블 산업 / 베트남 시장 이슈 정리 - 25년 21주차 (5/12 ~ 5/18)

[Weekly Issue] 케이블 산업 / 베트남 시장 이슈 정리25년 21주차 (5/12 ~ 5/18)⚙️ 글로벌 제조사 동향 – 미국 현지 제조 강화와 희토류 공급망 전략✅ 미국 현지 제조 확대 흐름, 전선업계에도 가속 중2025년 21주차 기준, 글로벌 제조업계의 중심 이슈는단연 미국 내 제조 인프라의 자국 회귀(reshoring) 전략 강화에 있다.이는 케이블 산업에도 직접적 영향을 주며,고전압 전선, EV 충전용 케이블, 해저망 등 핵심 품목에서미국 본토 생산을 확대하려는 흐름이 명확해지고 있다.🇺🇸 미국 에너지부, '전력망 현대화 법안' 세부 이행안 발표 (5월 15일)미국 에너지부(DOE)는 5월 15일,2024년 말 통과된 '전력망 현대화 및 회복력 강화법(Grid Modernizati..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