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fep전선 7

테플론 전선의 유전체 강도, 유전율, 고주파 특성 시험 해설 - 테플론 전선 정보 #15.

🧯Teflon 전선의 유전체 강도, 유전율, 고주파 특성 시험 해설Teflon 전선은 단순히 고온 내성만이 아닌 고주파 신호 전달의 안정성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보여줍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Teflon 전선의 전기적 특성을 좌우하는 세 가지 핵심 항목인 유전체 강도 (Dielectric Strength), 유전율 (Dielectric Constant), 고주파 손실률 (Dissipation Factor)에 대해 실무 중심으로 해설합니다.⚡ 1. 유전체 강도 (Dielectric Strength)📌 정의: 절연 재료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전압 (kV/mm)PTFE 기준: 약 60~100 kV/mmPFA/FEP: 약 40~80 kV/mm시험 방식: 규정 전압을 절연층에 인가 → 파괴 여부 확인📈 2. 유..

EV 배선용 전선의 인장강도, 연신율 기준과 재료별 특성 비교 - EV 전선 정보 #22.

🔋EV 배선용 전선의 인장강도, 연신율 기준과 재료별 특성 비교EV 배선용 전선은 구동, 충전, 제어, 통신 등 다양한 환경에 사용되며, 기계적 물성인 인장강도와 연신율은 구조 안정성과 신뢰성 확보의 핵심 지표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EV 전선에 사용되는 재료별 특성과 함께 국제 기준값, 설계 권장 조건을 비교합니다.🧪 1. 인장강도(Tensile Strength)와 연신율(Elongation)의 정의인장강도: 전선 절연/외피가 찢어지기 전까지 버티는 최대 응력 (단위: MPa)연신율: 인장 시 늘어난 길이의 비율 (%) → 유연성/내마모성과 직결📊 2. 대표 재료별 특성 비교재료인장강도 (MPa)연신율 (%)특징XLPE12~20150~300열경화형 절연, 고온 내열Silicone6~10200~50..

Teflon Cable의 용도별 추천 구조 (의료, 통신, 시험장비 별 배선 설계 팁) - 테플론 전선 정보 #10.

🧯Teflon Cable의 용도별 추천 구조의료, 통신, 시험장비 별 배선 설계 팁Teflon 케이블은 고온, 고내화학, 정밀 신호 전송 등 특수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어 의료기기, 통신기기, 계측장비에 폭넓게 사용됩니다. 하지만 PTFE, FEP, PFA 각각의 소재별 특성과 신호 손실, 유연성, 차폐 요구 조건 등을 고려하지 않으면 설계 오류나 과잉사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용도별로 적합한 Teflon 전선 구조 설계 팁을 정리해 실무에서 도움이 되도록 구성했습니다.🏥 1. 의료기기용 배선 설계 팁요구 조건설계 방식 예시생체 호환성FEP or PFA 사용 (비투과성 + 무독성)유연성연선 도체 + 벽두께 최소화 구조고주파 신호전달Twisted Pair + 편조차폐 구조색상 구분내심..

PTFE, FEP, PFA 전선의 차폐 구조 비교 및 EMI 대응 전략 - 테플론 전선 정보 #06.

🧯 PTFE, FEP, PFA 전선의 차폐 구조 비교 및 EMI 대응 전략고주파 회로나 고정밀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테플론 전선은 전자기 간섭(EMI)에 매우 민감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해야 합니다. 따라서 PTFE, FEP, PFA 등 테플론 계열 전선은 대부분 정교한 차폐 구조(Shielding)를 통해 EMI를 억제하고 있으며, 이 차폐 방식은 전선의 구조 설계와 가격, 설치 방식에 큰 영향을 줍니다.이번 편에서는 테플론 전선의 주요 차폐 방식과 실무 EMI 대응 전략을 정리합니다.🛡️ 1. 왜 테플론 전선에 차폐가 중요한가?테플론 전선은 통상 고전압 or 고주파 회로에 사용됨고정밀 의료기기, RF 통신, 시험 장비 등에서 사용내열성 + 절연성은 우수하지만, EMI 대응은 차폐 구조에..

PTFE, FEP, PFA 전선의 실제 가공 사례와 이슈 정리 - 테플론 전선 정보 #03.

🧯PTFE, FEP, PFA 전선의 실제 가공 사례와 이슈 정리테플론 전선은 고온·고절연·내화학성을 갖춘 고성능 제품으로, 항공, 반도체, 의료기기 등 정밀 산업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하지만 실제 가공·설치 현장에서는 PTFE, FEP, PFA 각각의 특성 차이로 인해 탈피/압착/납땜/절연 손상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세 재질별 가공 난이도, 도체 대응, 절연 처리 팁을 실무 사례 중심으로 정리해봅니다.🧩 1. 재질별 가공 특성 요약항목PTFEFEPPFA가공성매우 낮음우수중간커팅 난이도매우 높음낮음중간유연성낮음우수중간열가공 반응불가 (압출 안됨)압출 가공 가능압출 가능표면 마찰력낮음 (미끄러짐)중간낮음 (약간 미끄러움)✅ PTFE는 압출이 불가능한 비열가소성 수지로 가공 난이도..

UL1332. FEP 절연 고온 전선(테플론 전선) 규격 해설 - 규격 정보 #70.

UL1332 – FEP 절연 고온 전선(테플론 전선) 규격 해설이번에 학습한 UL1332는지금까지 정리했던 PVC 계열 UL1007, UL1061과는 전혀 다른 성격의 전선입니다.UL1332는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절연을 사용하여,📈 고온(200°C) 대응,🛡️ 화학적 내구성 강화, 💨 낮은 연기 밀도를 모두 갖춘 고성능 AWM 전선입니다.반도체 장비, 항공우주, 고온 전자제품 등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전선으로,PVC 절연 전선과 비교하면 내열성, 내화학성, 전기적 특성이 월등히 뛰어납니다.이번 70편에서는UL1332의 전체 구조, 특징, 시험 기준, 설계 적용 포인트를체계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UL1332 전선이란 무엇인가?UL1332는 UL7..

테플론 전선 개요, PTFE / FEP / PFA 정의와 차이 - 테플론 전선 정보 #01.

🧯테플론 전선 개요 – PTFE, FEP, PFA 정의와 차이고온, 고절연, 고내화학 전선이 필요한 분야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전선이 바로 테플론 케이블입니다. 흔히 Teflon이라는 상품명으로 불리는 이 전선들은 실제로는 PTFE, FEP, PFA 같은 불소계 플라스틱 계열로 분류됩니다. 하지만 실무에서 정확한 구조와 인증, 성능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테플론 = 고급 전선' 정도로만 인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테플론 전선의 기초 정의부터 구조, 인증, 산업 적용, 각 재질의 차이점까지 종합적으로 정리합니다.🧪 1. 테플론 케이블이란?테플론 케이블은 절연 또는 외피 재질로 불소계 수지(Fluoropolymer)를 사용한 전선입니다.대표적인 재질은 아래와 같습니다:재질정식 명칭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