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고전압전선 6

실리콘 전선의 전기적 특성: 내전압, 절연저항, 유전율 기준 비교 - 실리콘 전선 정보 #17.

📚실리콘 전선의 전기적 특성: 내전압, 절연저항, 유전율 기준 비교실리콘 케이블은 고온·고유연성이라는 물리적 특성 외에도 전기적 성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보되어야산업기기, 센서, 고전압 배선 등 실무 환경에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리콘 전선의 대표 전기 특성인 내전압, 절연저항, 유전율을 기준 중심으로 비교 정리합니다.⚡ 1. 내전압 (Dielectric Withstand Voltage)📌 정의: 전선이 견딜 수 있는 최대 교류 전압시험 조건: 60초간 고전압 인가 후 절연 파괴 유무 확인실리콘 전선 기준:UL3135: 600V 정격 → 내전압 2,000V AC 이상UL3239: 3,000~15,000V AC까지 등급 다양🔌 2. 절연저항 (Insulation Resi..

EV 케이블 시장 주요 트렌드 및 차세대 개발 방향 - EV 전선 정보 #20.

🔋EV 케이블 시장 주요 트렌드 및 차세대 개발 방향EV(전기차) 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EV 전선(Electric Vehicle Cable) 분야도 기술 발전과 규격 정비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본 포스팅에서는 최근 EV 케이블의 시장 트렌드와 함께, 고전압·고전류·경량화·내열화 등 차세대 개발 방향을 정리합니다.📈 1. EV 전선 시장 성장 배경전기차 보급률 급증 (2023년 글로벌 전기차 판매 14%↑)충전 인프라 확산 → 고전력 충전 케이블 수요 증가OEM별 전선 독자화, 인증/규격 차별화 전략 확대🔌 2. 최근 EV 케이블 기술 트렌드고전압/고전류화 (800V 시스템 대응)고속충전용 수냉식 케이블 (Cooling EV Cable)EMI 차폐 강화 (복합쉴딩 구조)LSZH 소재 적용..

실리콘 케이블의 인증서 해석법과 고전압 Style별 정리 - 실리콘 전선 정보 #06.

📚실리콘 케이블의 인증서 해석법과 고전압 실리콘 전선 Style별 정리실리콘 전선은 UL 인증 Style에 따라 300V~30kV까지 다양하게 구성되며, 전압 등급에 따라 인증 문서에 기재되는 시험 항목과 구조 사양도 크게 달라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리콘 전선의 UL 인증서 해석법과 고전압 Style별 특성 정리를 중심으로 실무 체크포인트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 UL 인증서 기본 구성 항목항목내용Style 번호예: UL3135, UL3239 등정격 전압/온도300V / 600V / 30kV, 150~200℃절연체 재질실리콘 고무 (Silicone Rubber)도체 종류주석 도금 연선, 은도금 연선 등난연성 등급VW-1 또는 FT-2 등급인증 일자최신성 확인 필요제조사명 / 발급 기관UL, C..

UL3271. 고전압 내열 전선 설계 기준 해설 - 규격 정보 #71.

UL3271 – 고전압 내열 전선 설계 기준 해설이번에 학습한 UL3271 전선은지금까지 다뤘던 소형 단심 전선들과는 다르게"고전압 + 고내열" 조건을 동시에 만족해야 하는 특수 AWM 전선입니다.특히 600V급 전력선,고온 환경(125°C) 대응,차량용, 산업설비용, 제어기용으로 많이 사용되는데요,단순한 신호선이나 제어선보다 더 높은 전압과 열을 견디는 설계가 특징입니다.이번 71편에서는UL3271의 기본 구조, 정격, 시험 조건, 감리 대응 방법을상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 1. UL3271 전선이란 무엇인가?UL3271은 UL758 AWM 기준에 등록된 전선으로,고전압(600V)과 고온(125°C)을 동시에 요구하는 환경에서 사용됩니다.항목내용STYLE 번호UL3271정격 전압600V정격 온도125°..

EV 케이블 테스트 기준: 내전압, 절연저항, 전도체 저항 시험 해설 - EV 전선 정보 #15.

🔋EV 케이블 테스트 기준: 내전압, 절연저항, 전도체 저항 시험 해설EV 케이블의 품질은 외형보다도 전기적 성능 테스트 결과로 판단하는 것이 원칙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무에서 필수로 진행되는 내전압(VW, Dielectric Strength), 절연저항(IR), 전도체 저항(CR) 세 가지 항목의 시험 기준과 판정법을 상세히 해설합니다.🧪 1. EV 전선의 대표 테스트 항목내전압 시험: 절연층이 고전압에서도 파괴되지 않는지 확인절연저항 시험: 도체와 외부 간 전류 누설을 방지하는 성능전도체 저항 시험: 도체 자체의 전류 흐름 저항 측정⚡ 2. 내전압 시험 (Dielectric Strength Test)🔹 시험 방법: 규정 전압 인가 (예: 1,500 ~ 3,000V AC) → 1분간 절연 파괴..

EV, EVE, EVT 전선 구조와 적용 분야 비교 - EV 전선 정보 #03.

🔋EV, EVE, EVT 전선 – 구조와 적용 분야 비교EV 케이블 중 600V~1000V 등급의 고출력 전기차 충전기용 전선은 EV, EVE, EVT로 분류됩니다. 이들은 모두 UL62 기준의 Extra Hard Usage 등급에 속하며, 고전압, 실외 환경, 트레이 배선 등 보다 까다로운 조건에 맞게 설계되어 있습니다.이번 편에서는 EV / EVE / EVT 전선의 차이점과 구조적 특성, 실무 적용 사례를 비교 분석합니다.🧩 1. EV, EVE, EVT는 어떤 전선인가?항목EVEVEEVT전압 정격600V 또는 1000V600V 또는 1000V600V 또는 1000V온도 정격60~105℃90~105℃60~105℃사용 등급Extra Hard UsageExtra Hard + 내열 강화Extra Har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