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반응형

emi차폐 5

실리콘 케이블의 쉴딩 방식과 고온용 전자파 차폐 전략 - 실리콘 전선 정보 #18.

📚실리콘 케이블의 쉴딩 방식과 고온용 전자파 차폐 전략실리콘 케이블은 고온 내성과 유연성이 핵심 장점이지만, 전자파 차폐 성능도 고온·고주파 환경에서 중요하게 요구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리콘 전선에 적용되는 쉴딩 방식(편조, 마일러, 복합구조)과 고온 환경에서의 전자파 차폐 전략을 실무 관점에서 정리합니다.🧲 1. 실리콘 케이블에 쉴딩이 필요한 이유고온 장비 내부에는 고전압·고주파 회로 다수 → EMI 유발고속 센서 신호선, 제어선이 인접할 경우 오작동 유발실리콘 케이블 특성상 절연 두께가 얇은 경우 쉴딩 필수🧵 2. 동편조 쉴딩 (Copper Braid Shield)차폐 성능: 60~90dB, 고주파에 효과적적용 방식: 실리콘 외피 안쪽 또는 외피 외부 위에 적용장점: 기계적 보호 + EMI ..

EV 고속 충전용 케이블 구조 분석 및 수냉식 설계 포인트 - EV 전선 정보 #24.

🔋EV 고속 충전용 케이블 구조 분석 및 수냉식 설계 포인트전기차 고속 충전의 보급이 확대되며, 전선의 발열 억제와 고전류 대응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습니다.특히 수냉식 케이블 구조는 고속 충전 시 과열을 방지하고, 충전 효율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기술입니다.⚡ 1. 고속 충전 케이블이 요구하는 특성전류 용량: DC 200A ~ 500A 이상열 관리: 발열 억제 → 도체/절연 온도 상승 제한유연성: 충전기 조작 편의성 확보안정성: 연소 억제 / 접촉부 과열 방지🧱 2. 수냉식 EV 충전 케이블의 구조 예시No.구성 요소기능1도체 (주석도금 연선)전류 전도 / 발열 최소화2절연층 (XLPE/FEP 등)내열 + 절연 보호3냉각튜브 (EPDM, 실리콘)냉각수 순환 경로4편조망 or Foil ..

PTFE, FEP, PFA 전선의 차폐 구조 비교 및 EMI 대응 전략 - 테플론 전선 정보 #06.

🧯 PTFE, FEP, PFA 전선의 차폐 구조 비교 및 EMI 대응 전략고주파 회로나 고정밀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테플론 전선은 전자기 간섭(EMI)에 매우 민감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해야 합니다. 따라서 PTFE, FEP, PFA 등 테플론 계열 전선은 대부분 정교한 차폐 구조(Shielding)를 통해 EMI를 억제하고 있으며, 이 차폐 방식은 전선의 구조 설계와 가격, 설치 방식에 큰 영향을 줍니다.이번 편에서는 테플론 전선의 주요 차폐 방식과 실무 EMI 대응 전략을 정리합니다.🛡️ 1. 왜 테플론 전선에 차폐가 중요한가?테플론 전선은 통상 고전압 or 고주파 회로에 사용됨고정밀 의료기기, RF 통신, 시험 장비 등에서 사용내열성 + 절연성은 우수하지만, EMI 대응은 차폐 구조에..

CVVSB란? 복합 차폐형 제어선의 끝판왕 - 전선 용어 #29.

제어선 중에서도 노이즈에 정말 민감한 회로,또는 주변에 고전압 전원선이 지나가는 환경이라면?단순 차폐로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이때 등장하는 고급 모델이 바로 CVVSB,즉 Foil + Braid 복합 차폐형 제어 케이블입니다.🧪 CVVSB란?CVVSB = Control Vinyl-Vinyl + Shield + BraidCVV: 기본 제어선 (PVC 절연 + 외피)S: Foil Shield (알루미늄 마일러 테이프)B: Braid Shield (편조 동선 차폐)📌 구조 구성:도체 → PVC 절연 → Foil Shield + Drain Wire → Braid Shield (주석 동선 편조) → PVC 외피💬 이중 차폐 구조로 고주파/저주파/임펄스 노이즈까지 강하게 억제합니다.📦 주요 특징정격 전..

Twisted Pair란? 신호선은 왜 꼬아야 할까? - 전선 용어 #12.

이더넷, 통신선, 제어선, RS-485…이런 케이블들의 사양서를 보면 꼭 등장하는 말이 있습니다.바로 “Twisted Pair (TP)”, 즉 꼬임쌍선이죠.그렇다면 전선을 굳이 꼬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Twisted Pair란?Twisted Pair = 두 개의 도체를 일정한 피치로 꼬아 만든 구조입니다.이렇게 꼬는 이유는 딱 하나, 바로 노이즈를 서로 상쇄시키기 위해서입니다.📌 간섭을 줄이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 설계입니다!⚡ 왜 꼬아야 하나요?전류가 흐르는 도체 주변에는 항상 자기장(EMI)이 생기는데,두 가닥을 서로 일정하게 꼬아주면→ 같은 양의 노이즈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유도되며 상쇄됩니다.📶 이 원리는 차동 신호 (Differential Signal)에서도 핵심이에요.📊 주요 특..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