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만 보면 가격 흐름이 보인다
케이블을 견적서에서 보면
“왜 CVV는 이 가격인데, CVVS는 훨씬 비쌀까?”
“VCTF는 싸긴 한데 왜 감리에서는 제외될까?”
이런 의문, 다들 있으시죠?
저도 단가만 보다가 뒤늦게 구조와 재료 비중을 확인하고
‘이래서 가격이 이렇게 다르구나’ 하고 무릎을 탁 쳤던 기억이 납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 4가지 전선
CV / CVV / CVVS / VCTF의 원가 구조를
실제 계산 예시와 함께 비교 분석해봤습니다.
🧪 비교 대상 전선 (2C × 2.5㎟ 기준 / 100m)
전선 | 전압 | 구조 특징 |
CV | 0.6/1kV | XLPE 절연 / 외피 없음 |
CVV | 0.6/1kV | PVC 절연 + 외피 |
CVVS | 0.6/1kV | CVV + 차폐 |
VCTF | 300/500V | 유연한 코드선 / 저가형 |
📊 원가 구성 예시 (100m 기준 / 단가 단순화 예)
항목 | CV | CVV | CVVS | VCTF |
도체 | 42,000원 | 42,000원 | 42,000원 | 42,000원 |
절연 | 8,000원 | 8,000원 | 8,000원 | 9,000원 |
외피 | 없음 | 6,000원 | 6,000원 | 8,000원 |
차폐 | 없음 | 없음 | 7,000원 | 없음 |
가공비 | 4,000원 | 5,000원 | 6,000원 | 4,000원 |
인증/마진 | 3,000원 | 4,000원 | 5,000원 | 2,000원 |
총합 | 57,000원 | 65,000원 | 74,000원 | 65,000원 |
📌 VCTF가 저렴한 이유는 정격전압이 낮고 구조가 단순해서!
CVVS가 비싼 건 차폐층(알루미늄 + 드레인)이 추가되기 때문입니다.
📎 전선별 특성과 가격포인트 요약
✅ CV
- 구조: XLPE 단심선
- 장점: 고내열, 고전압용
- 단점: 외피 없음 → 설치 조건 제한
- 실무: 배관 내 전력용
✅ CVV
- 구조: 연선 + PVC 절연 + 외피
- 장점: 내마모성 보강
- 실무: 분전반~기기 간 고정 배선
✅ CVVS
- 구조: CVV + 차폐 + 드레인
- 장점: 노이즈 방지, 감리 우수
- 단점: 단가↑, 경직성↑
- 실무: 계장선, 인버터 주변, 신호선
✅ VCTF
- 구조: 유연 연선 + 얇은 절연 + 얇은 외피
- 장점: 저렴, 유연
- 단점: 감리 불가, 내열·내화학성 낮음
- 실무: 플러그, 전원 코드 등
🧠 실무에서 체크할 포인트
- 동일 단면적이라도 구조가 다르면 가격 차이 발생
- 설계 단계에서 “CVV로 충분한가? 차폐 필요한가?” 판단 필수
- VCTF는 코드선이지 제어/신호용으로 쓰기엔 부족함
- 감리 대상일수록 CVVS, LSZH 사용 요구 많음
🧾 정리하면서 느낀 포인트
예전엔 “다 2.5SQ니까 비슷하겠지” 생각했는데,
지금은 스펙만 봐도 ‘이건 단가 차이 나겠구나’ 직감하게 됐습니다.
📌 요약하자면:
- CV: 기본 전력선, 가장 간단
- CVV: 외피 보강 → 시공성↑
- CVVS: 차폐 포함 → 노이즈 대응용
- VCTF: 유연 코드선 → 고정 배선 X
- 단면적만 보지 말고 전체 구조를 함께 봐야 가격이 이해된다!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한눈에 보는 전선 정보 > 원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블 원가 계산 실전 / CVV 3C x 2.5, 100m 기준 분석 - 전선 원가 #29. (0) | 2025.04.18 |
---|---|
케이블 포장단위별 단가 비교 (릴, 코일, 커팅의 차이) - 전선 원가 #28. (0) | 2025.04.18 |
자투리 전선 활용법, 짧은 재고가 자산이 되려면 - 전선 원가 #27. (0) | 2025.04.18 |
케이블 외경에 따라 바뀌는 단가와 배관 시공성 - 전선 원가 #26. (0) | 2025.04.17 |
전선 단가 산정에 사용하는 LME 구리가격 보는 법 - 전선 원가 #25.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