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ies of technology, drawn in lines

선으로 기록하는 기술의 이야기

'알아두면 도움되는' 물류/물류 개요와 기본 용어

원산지증명서란? FTA 혜택을 받으려면 꼭 필요한 그 서류 - 물류 개요와 기본 용어 #06.

Wired Grafia 2025. 4. 14.

수입할 때마다 통관 담당자들이 꼭 물어보는 게 있다.

“이 제품 C/O 있어요?”

C/O? 처음엔 그게 뭔지도 몰랐는데, 알고 보니 이건
‘이 제품이 어느 나라에서 만들어졌는지를 공식적으로 증명하는 서류’,
바로 원산지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였다.


🌍 C/O, Certificate of Origin이란?

C/O는 말 그대로 제품의 생산국을 증명하는 문서다.
하지만 그게 끝이 아니다.

FTA(자유무역협정)이 체결된 국가들끼리는,
이 서류가 있어야 관세 면제나 인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 중국산 HDMI 케이블베트남으로 수입할 때
    Form E라는 C/O가 있으면 관세 0% 적용 가능

그래서 이 서류 하나가, 제품 가격 경쟁력에 영향을 주는 핵심이 되기도 한다.


📂 실무에서 자주 쓰는 C/O 종류

증명서 유형 적용 구역 특징
Form E 중국 ↔ 아세안 베트남 수입 시 자주 쓰임
Form D 아세안 국가 간 베트남 ↔ 태국, 말레이시아 등
Form AK 한국 ↔ 아세안 한국에서 베트남으로 수출 시 사용
일반 C/O FTA 외 국가 특정 혜택 없이 원산지만 증명

공급업체나 공장에서 이 서류를 발급해줘야 우리는 통관 시 FTA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다.


✏️ C/O에는 어떤 정보가 들어 있을까?

  • 수출자/수입자 정보
  • 제품명, 수량, HS Code
  • 원산지 국가명
  • 인보이스 번호와 일자
  • 발급기관 도장 및 서명

인보이스와 정보가 다르면 인정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내용 일치를 확인해야 한다!


🚨 실무에서 생기는 C/O 관련 이슈들

✔️ C/O 누락으로 관세 혜택 못 받음

물류는 다 끝났는데,
C/O가 누락돼서 통관 시 FTA 세율이 아닌 일반 관세율이 적용됨.
→ 비용 차이 발생. 특히 고부가 제품일수록 타격 큼.

✔️ 정보 불일치로 서류 무효 처리

C/O에 기재된 HS Code나 품명이 인보이스와 조금이라도 다르면
→ 세관에서 무효 처리하거나 보정 요청함.
→ 통관 지연 + 불필요한 서류 작업 발생.

✔️ 원산지는 맞는데 C/O 발급 안 된 경우

중국 공장에서 “우리 제품 중국산 맞아요”라고 해도, 공식 C/O를 발급 안 해주면
→ FTA 혜택 적용 불가.
공장에 사전 요청 필수!


💡 그래서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 수입 전에 C/O 발급 가능 여부를 먼저 확인
  • 공급업체에 Form E 등 적절한 양식으로 요청
  • 인보이스 정보와 C/O 내용이 정확히 일치하는지 점검
  • B/L, Invoice, Packing List, C/O 네 가지 서류는
    세트로 같이 준비하는 걸 기본으로 익혀두자!

✅ 오늘의 정리

  • 원산지증명서(C/O)는 생산국을 증명하고 FTA 혜택을 적용받기 위한 핵심 문서다.
  • 종류는 거래 국가에 따라 다르고, 베트남에서는 Form E, Form D가 자주 쓰인다.
  • C/O 없으면 관세를 더 내야 하고, 잘못된 정보가 있으면 통관 지연도 생긴다.
  • 실무에서는 공급처에 사전 요청하는 게 제일 중요하다!

다음 편에서는
실무에서 견적서를 요청하거나 줄 때 자주 등장하는 문서,
Proforma Invoice(견적서)와 Final Invoice(최종 인보이스)를 비교해 정리해본다.
이 두 개를 헷갈려서 생기는 실수도 꽤 많다고 한다!

 


더보기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반응형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