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워더랑 물류 준비 얘기를 하다 보면 꼭 듣는 말이 있다.
“인보이스랑 패킹리스트도 주세요~”
처음엔 그냥 숫자랑 품명 적는 서류인가 보다 했는데,
알고 보면 이 두 문서는 수출입 물류에서 가장 기초이자 핵심에 해당한다.
이번 편에서는 Commercial Invoice(상업송장)과 Packing List(포장명세서)를
실무 기준으로 쉽게 정리해본다.
✉️ Commercial Invoice (상업송장)이란?
Commercial Invoice는 쉽게 말해,
“이 제품을 얼마에, 어떤 조건으로 팔았는지”를 적은 공식 청구서다.
포함 내용 예시 | 설명 |
Shipper / Consignee | 판매자 / 구매자 정보 |
품명 (Description) | 제품명, 모델명 등 |
수량 및 단가 | 예: 100EA × $2.5 |
총액 (Total Amount) | 전체 금액 |
결제 조건 | 예: T/T 100% 선지급 등 |
인코텀즈 조건 | EXW / FOB / CIF 등 |
이 문서는 통관 시 과세 기준으로도 쓰이고, L/C 거래나 해외 송금 시 은행 제출용 서류로도 사용된다.
📦 Packing List (포장명세서)는 뭘까?
Packing List는 이름 그대로, 박스 안에 어떤 제품이 어떻게 들어 있는지를 정리한 목록표다.
예를 들어 HDMI 케이블 1,000개를 10박스로 나눠서 포장했다면,
Box No. | 품명 | 수량 | 중량 | 포장 크기 |
1~5 | HDMI 1.5m | 500개 | 100kg | 60×40×40cm |
6~10 | HDMI 3m | 500개 | 120kg | 65×45×45cm |
이런 식으로 박스별 구성, 무게, 부피를 명확하게 정리해주는 역할이다.
통관 과정에서도 이 정보가 필요하고, 실제 화물을 받을 때도 정확히 들어왔는지 검수하는 데 쓰인다.
📌 실무에서 자주 생기는 케이스들
✔️ 인보이스에 인코텀즈 조건이 빠져있어서 다시 요청
→ 실무에서는 인코텀즈 조건(FOB, DDP 등)이 명시되어야 통관 세금 계산이나 책임 구분이 명확해진다.
조건 누락되면, 세관에서 문제 삼기도 함.
✔️ 패킹리스트에 박스 수량과 실물 포장 수량이 안 맞음
→ 선적하고 나서 통관하려고 보니, Packing List에는 20박스인데 실제 도착한 건 18박스인 경우.
→ 재작성 요청, 추가 조사, 물류 지연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 품명은 있는데 HS Code가 빠짐
→ 일부 세관에서는 HS Code(관세 코드)를 반드시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 Invoice나 Packing List에 HS Code까지 포함해두면 문제 없이 진행되는 편.
🧩 두 문서는 어떻게 다를까?
항목 | Commercial Invoice | Packing List |
용도 | 가격, 계약 조건 명시 | 포장 상세 내역 제공 |
핵심 내용 | 품명, 수량, 금액, 인코텀즈 | 품명, 수량, 중량, 포장 크기 |
주 용도 | 통관 세금, 결제, 회계 | 통관 검수, 포장 확인, 창고 입출고 |
둘 다 포워더나 통관사에 필수로 넘겨야 하는 서류다.
✅ 오늘의 정리
- Commercial Invoice는 계약 및 금액 중심의 문서,
- Packing List는 포장 기준 중심의 문서다.
- 실무에서는 두 문서 모두 정확성이 중요하고,
수량/무게/금액/조건이 서로 불일치하면 바로 문제로 이어진다.
다음 편에서는
원산지증명서(C/O, Form E 등)에 대해 다뤄보려고 한다.
FTA 혜택을 받기 위한 필수 서류 중 하나인데,
국가마다 종류도 다르고 준비 방식도 달라서 한 번 정리해둘 필요가 있다!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알아두면 도움되는 물류 > 물류 개요와 기본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forma Invoice vs Final Invoice / 견적과 실제는 어떻게 다를까? - 물류 개요와 기본 용어 #07. (0) | 2025.04.14 |
---|---|
원산지증명서란? FTA 혜택을 받으려면 꼭 필요한 그 서류 - 물류 개요와 기본 용어 #06. (0) | 2025.04.14 |
B/L은 왜 그렇게 중요할까? / 종이 한 장이지만, 실무에선 열쇠 - 물류 개요와 기본 용어 #04. (0) | 2025.04.13 |
포워더(Forwarder)는 어떤 역할을 할까? / 그냥 운송업체인 줄 알았던 그들 - 물류 개요와 기본 용어 #03. (0) | 2025.04.12 |
인코텀즈(Incoterms)란? / EXW부터 DDP까지, 생각보다 자주 마주치는 그 말 - 물류 개요와 기본 용어 #02. (1)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