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 케이블의 온도 상승 시험과 전류 허용 조건
실측 기반 사양 이해
EV 충전 케이블은 높은 전류가 오랜 시간 흐르는 구조이므로, 전선 내 전류 허용량(Ampacity)을 실측 기반으로 설계해야 합니다. 특히 고속 충전 시 전선 온도 상승을 제어하지 못하면 절연 손상, 차폐층 열화,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V 전선의 온도 상승 시험(Thermal Rise Test) 기준과 전류 허용 조건을 실무 관점에서 정리합니다.
🔥 1. 온도 상승 시험 개요
항목 | 내용 |
시험 목적 | 지정 전류 흐름 시 온도 상승 ΔT 확인 |
기준 문서 | UL 62 / IEC 60245 / IEC 62893 등 |
시험 조건 | 실온 20 ~ 25℃ / 100% 전류 인가 / 8 ~ 12시간 지속 |
측정 항목 | 도체 중심부/외피 온도 / 평균 ΔT 계산 |
✅ 대부분 ΔT가 50~60℃ 이상 초과하지 않는 선에서 안전 조건 판단
🔋 2. EV 전선 전류 허용량 기본 기준
도체 단면(AWG/mm²) | 허용 전류 (25℃ 기준) | 참고 규격 |
10mm² | 약 65~70A | IEC 62893-3 |
16mm² | 약 90~100A | |
25mm² | 약 120~140A | |
35mm² | 약 160~180A | |
50mm² | 약 200~240A | |
70mm² | 약 260~300A | |
95mm² | 약 320~360A |
📌 위 수치는 단심 기준 / 다심·차폐·트레이 밀집 시 Derating 적용 필요
🧪 3. 실측 온도 상승 시험 예시 (16mm² EV 케이블)
주건 | 수치 |
주위 온도 | 23.5℃ |
인가 전류 | 100A (정격전류) |
시험 시간 | 10시간 연속 |
도체 온도 상승 | ΔT = 52.3℃ |
외피 온도 상승 | ΔT = 43.1℃ |
시험 결과 | PASS (기준 이하 유지) |
✅ 도체온도 + 주위온도 ≤ 실리콘: 200℃, XLPE: 90~125℃ 범위 내면 합격
📏 4. 전류 허용량 설정 시 실무 변수
- 전선 구조: 단심 vs 다심, 차폐 유무, 절연 두께
- 설치 방식: 트레이 배선, 벽 부착, 관통 등
- 온도 환경: 고온 환경이면 Derating 적용 필수
- 케이블 외피 재질: XLPE vs TPE vs Silicone → 허용 온도 다름
- 연속 사용 시간: 1회 충전 vs 연속 급속 충전 구분
✍️ 90℃ 기준에서 1℃ 상승당 약 0.8~1.2%씩 전류 허용치 감소 적용
📦 5. 열화 방지를 위한 실무 팁
- 내부 도체 가공 시 공극(Pore) 방지 → 발열 균일화
- 차폐층 은도금 적용 시 열 확산성 ↑
- 외피 절연체는 열전도성 고려하여 XLPE or 특수 TPE 적용
- 열충격 테스트 병행하여 고온 노출 후 절연 균열 여부 점검
📌 충전 케이블은 기본적으로 온도센서 내장형 구조도 고려 필요 (안전 차단용)
🧾 마무리 요약
EV 전선의 전류 허용량은 단순 도체 크기만으로 판단할 수 없으며, 실제 온도 상승 시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Derating 설계가 필수입니다. 특히 고속 충전 및 연속 충전 환경에서는 외피 온도까지 실측하고, 전선 구조, 차폐 유무, 외피 재질, 배선 방식 등 전방위적 요소를 반영해야 합니다. 온도센서 내장형 전선이나 방열 구조 추가도 미래 설계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EV 전선의 UL 인증서 항목 해설 및 실무 적용법”으로 이어가겠습니다.
EV 전선의 UL 인증서 항목 해설 및 실무 적용법 - EV 전선 정보 #10.
🔋EV 전선의 UL 인증서 항목 해설 및 실무 적용법EV(전기차) 충전 케이블은 대부분 미국 UL 인증 기준을 기반으로 설계되며, 특히 UL62, UL758, UL2556 등이 주요 참조 규격으로 사용됩니다. UL 인증서는
wiredgrafia.tistory.com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내가 요즘 공부하는' 시리즈 > EV(Electric Vehicle) 전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 충전 케이블 설계 시 고려해야 할 환경 내구성 요소 (UV, 유분, 마찰, 오존 등) - EV 전선 정보 #11. (0) | 2025.05.13 |
---|---|
EV 전선의 UL 인증서 항목 해설 및 실무 적용법 - EV 전선 정보 #10. (0) | 2025.05.12 |
EV 케이블과 커넥터 사양 호환성 (CCS1, CCS2, GB/T 구조 비교) - EV 전선 정보 #08. (4) | 2025.05.11 |
EV 케이블의 충전 타입별 사양 비교 (AC vs DC vs V2G 전선 구조 분석) - EV 전선 정보 #07. (0) | 2025.05.11 |
EV 케이블의 Shielding 구조별 EMI 대응 전략 - EV 전선 정보 #06. (0) | 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