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 충전 케이블 설계 시 고려해야 할 환경 내구성 요소
EV 충전 케이블은 실내·실외, 이동·고정형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며, 이에 따라 케이블 외피에는 높은 수준의 환경 내구성(Environmental Durability)이 요구됩니다. 특히 UV, 유분, 마찰, 오존, 수분, 염분 등의 영향은 외피 열화, 절연 파괴, 안전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설계 단계에서 재질 선택과 시험 기준 대응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EV 케이블 외피 설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주요 환경 요인과 실무 대응 전략을 정리합니다.
☀️ 1. 자외선(UV) 내성
요소 | 내용 |
시험 기준 | UL2556 UV Resistance / ASTM G154 |
권장 외피 재질 | UV Stabilized TPE, TPU, XLPE |
실증 방법 | UV 램프 조사 후 외관 변화 및 인장 강도 확인 |
✅ 실외 설치용 케이블은 UV 인증 내역 반드시 포함
🛢️ 2. 내유성(Oil Resistance)
요소 | 내용 |
시험 기준 | UL Oil Res I / II, IEC 60811-404 |
주요 위험 환경 | 공장, 주차장, 오일 노출 가능한 충전소 |
재질 대응 | PVC (기본) < TPE < TPU (우수) |
테스트 항목 | 오일 침지 후 인장/연신률 변화율 |
📌 Oil Res I: 일반 내유성 / Oil Res II: 고온 고농도 내유성
🔁 3. 내마모성(마찰/굴곡 내구성)
요소 | 내용 |
시험 기준 | UL Abrasion / Taber Wear Test |
충전 시나리오 | 케이블 끌림, 바닥 마찰, 벽면 반복 접촉 |
설계 팁 | 외피 두께 확보 + 표면 경도 향상 재질 적용 |
✅ TPU가 TPE, XLPE 대비 가장 우수한 내마모성 제공
🌫️ 4. 오존(O₃) 저항성
요소 | 내용 |
시험 기준 | ASTM D1149 / IEC 60811-403 |
주요 환경 | 옥외 노출, 습한 도시 환경, 고도 지역 |
오존 영향 | 미세 균열, 절연 파괴, 표면 경화 |
✍️ Silicone, Fluoropolymer 외피는 오존 내성 우수 / 일반 PVC는 취약
💦 5. 수분·염분 내성
요소 | 내용 |
시험 기준 | Salt Spray (ASTM B117), IP67/IP68 등급 시험 |
적용 환경 | 해안가 충전소, 눈·비 많은 지역 |
설계 대응 | 방수 커넥터 + 흡수율 낮은 외피 재질 선택 |
📌 염분 및 수분 침투는 차폐선 부식과 절연 성능 저하로 직결됨
📏 6. 실무 설계 시 통합 대응 전략
- 외피 재질 조합 → 예: TPU + XLPE 구조로 복합 대응
- 시험성적서 확보 → 환경요소별 성능 인증 보장
- 사양서 기재 → UV / Oil / Ozone / Abrasion 등 내성 수치 명시
- 커넥터 일체형 설계 → 외부 침투 차단 + 마감 용이성 확보
- 유지관리 고려 → 오염/마모 부위 교체 편의성 확보
✅ 전선 외피 하나에 모든 기능을 담을 수 없으므로 사용 환경 중심의 재질 우선순위 설정이 핵심
🧾 마무리 요약
EV 충전 케이블은 단순히 전류를 전달하는 도체 기능 외에도 실외 환경에 대한 고내구성 외피 설계가 핵심입니다. UV, 오일, 마찰, 오존, 수분 등 다양한 위험 요소에 대해 각각 인증 시험 기준이 존재하며, 설계 단계에서 이에 대응하는 재질 선정과 시험성적서 확보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특히 고출력·고속 충전 환경에서는 환경 열화가 안전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므로 사양서부터 커넥터까지 통합 설계가 요구됩니다.
다음 편에서는 “EV 충전 케이블의 표준 외경(OD) 기준과 가공성 분석”으로 이어가겠습니다.
EV 충전 케이블의 표준 외경(OD) 기준과 가공성 분석 - EV 전선 정보 #12.
🔋EV 충전 케이블의 표준 외경(OD) 기준과 가공성 분석EV(전기차) 충전 케이블의 구조는 단순히 도체와 절연만으로 결정되지 않습니다. 특히 외경(OD) 은 충전 커넥터 호환성, 트레이 설치, 굴곡 반
wiredgrafia.tistory.com
해당 포스팅의 정보는 학습용으로 제작된 내용으로 단순 참조용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red Grafia -
''내가 요즘 공부하는' 시리즈 > EV(Electric Vehicle) 전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 케이블의 연선 도체 구조: Class 5/6, 주석 도금선 적용 사례 - EV 전선 정보 #13. (0) | 2025.05.15 |
---|---|
EV 충전 케이블의 표준 외경(OD) 기준과 가공성 분석 - EV 전선 정보 #12. (2) | 2025.05.14 |
EV 전선의 UL 인증서 항목 해설 및 실무 적용법 - EV 전선 정보 #10. (0) | 2025.05.12 |
EV 케이블의 온도 상승 시험과 전류 허용 조건 (실측 기반 사양 이해) - EV 전선 정보 #09. (0) | 2025.05.12 |
EV 케이블과 커넥터 사양 호환성 (CCS1, CCS2, GB/T 구조 비교) - EV 전선 정보 #08. (4) | 2025.05.11 |